•  


‘흙수저’ 9級 公務員이 1級으로 退任한 成功 祕訣|週刊東亞

週刊東亞 1390

..

‘흙수저’ 9級 公務員이 1級으로 退任한 成功 祕訣

公職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成功은 準備된 者의 것이다

  • 송화선 記者

    spring@donga.com

    入力 2023-05-24 14:09:3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공직자의 성공 공식’ 송학 지음, 동아일보사, 340p, 1만8500원

    ‘公職者의 成功 公式’ 송학 지음, 東亞日報社, 340p, 1萬8500원

    여기 江原道 山골에서 超?中?高校를 卒業하고 9級 公務員으로 社會生活을 始作한 男子가 있다. 그는 가난한 形便 탓에 參考書 한 卷 못 社보고도 늘 上位圈 成跡을 維持했지만, 大學 進學은 꿈꾸기 어려웠다. 아니, 事實 高等學校 卒業조차 奢侈에 가까웠다. 月謝金(授業料)을 番番이 밀리는 그에게 擔任敎師가 “當場 敎室에서 나가라!”고 소리칠 程度로 힘든 나날을 버텨야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男子는 學校를 떠나지 않았다. 더 以上 侮辱당하지 않으려면, 태어나면서부터 이어진 差別을 넘어서려면 어떻게든 ‘成功’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피나는 努力 끝에 그가 얻어낸 건 겨우 ‘實業界 高校 卒業’ 履歷 한줄. 이것을 동아줄 삼아 公職을 始作한 靑年이 果然 ‘成功’이라는 꿈을 이룰 수 있었을까. 答부터 말한다면 ‘YES’다. 5月 15日 出刊된 冊 ‘公職者의 成功 公式’은 송학 ㈜댑컨설팅코리아 代表가 1977年 高卒 9級 公務員으로 出發해 2010年 1級 高位公務員으로 退任하고, 이어 ‘金·張法律事務所(金앤張)’ 拷問과 컨설팅業體 代表가 되기까지의 삶을 담고 있다. 宋 代表가 그사이 겪은 逆境과 克服 過程, 挑戰과 成就의 記錄은 한 篇의 드라마를 彷彿케 한다.

    特히 印象的인 것은 그가 오롯이 自身의 努力과 實力만으로 이 자리에 섰다는 것이다. 宋 代表는 “父母님 모두 以北 出身이라 依支할 만한 血緣이 없다. 公職生活 내내 故鄕 사람이라고는 만나본 적이 없으니 遲延도 있을 理 없다”고 했다. ‘學緣’ 또한 期待하기 어려웠을 터. 宋 代表는 48歲에 學事, 54歲에 碩士, 69歲에 博士學位를 받았다. 每番 自身의 子女 또는 孫子뻘 學生들과 工夫했으니 그들이 宋 代表를 끌어줬을 理 萬無하다.

    그런데 어떻게 그는 名實相符 엘리트 集團인 公務員 社會에서 最高 자리까지 올라갔을까. 또 退任 後 ‘金앤張’의 스카우트를 받고, 自身의 專門性을 바탕으로 企業體까지 세울 수 있었을까. 그 祕訣이 ‘公職者의 成功 公式’에 담겨 있다.

    宋 代表는 △‘첫 모습’을 잘 準備하라 △‘특별한 한 가지’를 갖추라 △겪어야 할 危機라면 正面 突破하라 △每事에 次善策을 準備하라 等 直接 整理한 ‘成功 指針’을 바탕으로 自身이 蓄積해온 삶의 智慧를 풀어놓는다. 著者가 온몸으로 世上과 부딪히며 體得한 이야기다보니, 事例가 具體的이고 助言에는 힘이 넘친다. 公職者로서의 成功을 꿈꾸는 公務員, 이제 막 社會에 進出하는 靑年들에게 一讀을 勸한다.



    공직자로서, 또 성공을 꿈꾸는 한 인간으로서 자신이 걸어온 길을 정리한 책 ‘공직자의 성공 공식’을 펴낸 송학 ㈜댑컨설팅코리아 대표.

    公職者로서, 또 成功을 꿈꾸는 한 人間으로서 自身이 걸어온 길을 整理한 冊 ‘公職者의 成功 公式’을 펴낸 송학 ㈜댑컨설팅코리아 代表.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