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熾烈한 한 끼, 뒤끝 없는 華麗함|주간동아

週刊東亞 1074

..

김민경의 美食世界

熾烈한 한 끼, 뒤끝 없는 華麗함

서울의 매운 冷麵

  • 푸드칼럼니스트 mingaemi@gmail.com

    入力 2017-02-03 16:38:1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요즘에는 冷麵을 먹는 데 제때가 따로 없다. 겨울이 제맛이라니 요맘때 먹어야 하고, 여름에는 當然히 찬 飮食인 冷麵이 당긴다. 매끈한 목 넘김과 개운한 맛이 좋아 입이 깔깔해지는 가을과 봄에 먹기에도 無理가 없다. 요 몇 年 매스컴을 통해 冷麵의 價値와 魅力이 限껏 알려지면서 冷麵 사랑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그 사랑의 形態도 재미있다. 고기나 동치미로 만든 웅숭깊은 맛 국물에 툭툭 끊기는 메밀 面을 말아 내는 平壤冷麵을 對할 때 사람들은 자못 眞摯하다. 심심하면서도 섬세한 맛에 걸맞은 吟味의 時間이 必要하기 때문이다. 洪魚나 간자미 回 또는 명태식해를 올리고 참기름과 겨자를 곁들여 칼칼한 양념에 비벼 먹는 咸興冷麵의 時間은 좀 더 輕快하다. 뜨거운 肉水나 面數를 곁들여 리드미컬하게 冷麵 한 그릇을 비운다. 海物을 달여 發效한 肉水에 面을 말고 六典을 얹어 내는 晉州冷麵은 흔히 맛볼 수 없는 獨特한 魅力에 먹는 내내 感歎詞가 절로 나온다. 都大體 어느 별에서 왔는지 묻고 싶을 만큼 致命的인 魅力을 가진 매운 冷麵 亦是 빼놓을 수 없는 冷麵의 한 줄기다. 매우면 매울수록 더 뜨겁게 사랑받고 사람들은 熱狂的으로 熾烈하게 먹는다.

    서울 송파구 蠶室本洞에 있는 ‘海州冷麵’은 精神女中高를 나온 親舊의 손에 이끌려 찾은 곳이다. 심심하게 생긴 冷麵을 우습게 봤다가 큰코다친 곳이지만 발길을 끊을 수 없다. 冷麵치고는 물氣가 없고 차진 매운 양념 한 국자, 片肉 두 쪽, 달걀 半쪽(요즘에는 메추리알), 저민 오이가 무심하게 올려져 있다. 마늘과 고춧가루 等 韓國의 매운맛을 總集結시킨 양념은 먹을수록 맵다. 冷麵만큼 人氣 있는 뜨거운 肉水는 매운맛을 살살 부추긴다. 달콤하고 시원한 무절임으로 질깃질깃한 冷麵을 감싸 먹으면 그나마 견딜 만하다. 1983年 布帳馬車에서 始作한 ‘海州冷麵’은 只今의 양념을 完成하기까지 8年間 功을 들였다. 빈틈없이 매운맛과 카타르시스를 膳賜한다.

    종로구 숭인동에 있는 ‘깃대봉冷麵’은 풍문여고를 나온 親舊가 데려갔다. 처음 갔을 때는 ‘내가 이곳을 다시 찾아올 수 없겠구나’ 싶은 곳에 冷麵집이 있었다. 밤中에 마을버스를 타고 한참을 올라간 뒤 내렸더니 컴컴한 洞네였다. 밝기가 영 시원찮은 街路燈 아래 看板도 없는 집, 玄關이 無色하게 길가로 밀려나온 신발만 가득한 집이었다. 뜨끈한 房바닥에 앉아 먹던, 통깨가 잔뜩 떠 있는 매운 국물 冷麵 맛을 잊을 수 없다. 맵싸하고 시원한 국물 맛에 反해 훌훌 마시다 보면 콧잔등과 등줄기에 땀이 절로 맺힌다. 그때가 21年 前이고 只今은 崇仁洞으로 자리를 옮긴 ‘깃대봉冷麵’은 어느새 斑白 살이 됐다.

    용산구 보광동에 있는 ‘東亞冷麵’은 나의 첫 職場 ‘死守’를 따라갔다. 달고 맵고 시원하며 麵발도 톡톡 잘 끊기고 中毒性 剛한 肉水까지 있다. 짭조름한 고기소로 꽉 찬 찐饅頭를 매운 冷麵과 번갈아 먹는 맛도 일품이다. 물冷麵에 매운 양념을 곁들여도 좋고, 비빔冷麵에 찬 肉水를 보태 먹어도 맛있다.



    그러고 보니 나를 매운 冷麵의 世界로 이끈 사람은 모두 女子다. 校服 치마 펄럭이며 門턱 닳게 드나들던 學校 앞 粉食집의 鄕愁가 매운 冷麵과 닮아서인가.


    서울의 매운 冷麵집△‘깃대봉冷麵’ 서울 鍾路區 芝峯로12길 3, 02-762-4407, 午前 10時 30分~午後 9時 30分(年中無休) △‘海州冷麵’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12길 5-22, 02-424-7192, 午前 11時 30分~午後 9時(日曜日 休務) △‘東亞冷麵’ 서울 龍山區 雩祀壇로 5, 02-796-7442, 午前 9時 30分~午後 9時(年中無休)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