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金利引下 時計, 物價 鈍化勢 確認돼야 움직인다|주간동아

週刊東亞 1421

..

美 金利引下 時計, 物價 鈍化勢 確認돼야 움직인다

市場 期待와 달리 2024年 2分期 말에야 可能한 理由

  • 김유미 키움證券 投資戰略팀長

    入力 2024-01-03 09: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2024年 經濟와 金融市場을 바라보는 視角은 어느 때보다 差異가 크다. 景氣沈滯를 憂慮하며 危險 管理 必要性을 强調하는 意見이 있는가 하면, 京畿 軟着陸으로 金融市場 內 危險資産 選好가 높아질 것이라는 展望도 있다. 이렇게 意見이 엇갈리는 데는 다양한 理由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美國 聯邦準備制度理事會(聯準)의 通貨政策 行步가 主要 變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의 金利引下가 失業率 急騰과 景氣沈滯 發生 局面에서 斷行된다면 金融市場 내 衝擊이 不可避한 反面, 豫防的 또는 保險的 側面에서 先制的으로 斷行된다면 景氣 軟着陸 可能性이 커지기 때문이다.

    물가가 하향 안정될 때 선제적인 금리인하 여지가 있다고 밝힌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뉴시스]

    物價가 下向 安定될 때 先制的인 金利引下 餘地가 있다고 밝힌 제롬 파월 美國 聯邦準備制度理事會 議長. [뉴시스]

    聯準, 緊縮 사이클 終了 可能性 示唆

    그렇다면 2024年 연준의 通貨政策은 어떤 方向으로 進行될까. 一旦 2023年 12月 13日(現地 時間) 열린 聯邦公開市場委員會(FOMC) 定例會議는 연준의 通貨政策 方向을 바라보는 市場의 무게重心을 變化시킨 變曲點이라 볼 수 있다. 연준은 이番 定例會議에서 政策金利를 凍結했다. 物價가 如前히 聯準 目標値 2%를 上廻하지만 “通貨緊縮이 미치는 影響을 지켜볼 必要가 있다”는 立場을 反映했다.

    聲明書에서는 經濟 狀況 및 인플레이션에 對한 評價와 追加 緊縮 關聯 文句가 修正됐다. 經濟活動 擴張勢가 지난 3分期의 剛한 速度에서 鈍化됐다고 評價하고, 인플레이션은 如前히 높은 狀態를 維持하나 지난 1年間 緩和됐다는 表現을 追加해 最近 物價 鈍化 흐름을 反映했다. 또한 ‘追加 引上 程度(the extent of additional policy firming)’에 對한 文句에 ‘any’라는 制限的 表現을 追加(the extent of any additional policy firming)해 緊縮 사이클 終了 可能性을 剛하게 示唆했다.

    聯準은 經濟成長率과 物價, 點圖表에도 變化를 줬다(그래프 參照). 經濟成長率은 지난 9月과 比較할 때 2023年은 2.6%로 上向하고 2024年은 1.4%로 小幅 下向 調整했다. 物價는 2023年과 2024年 모두 下向 調整했다. 特히 2024年 根源 個人消費支出(PCE) 物價(食料品과 에너지 除外)는 2.4%로 9月 定例會議 때보다 0.2%p 낮추고 PCE 物價도 2.4%로 0.1%p 下鄕했다. 2024年 失業率은 4.1%로 2023年(3.8%)보다 높지만 從前 展望値를 維持해 勞動市場이 急激히 萎縮되지 않을 것임을 示唆했다.

    點圖表는 지난 9月 定例會議와 比較해 政策金利의 中間값을 낮췄다. 政策金利가 2024年 末 4.6%로 下落한 後 2025年 末 3.6%, 2026年 말에는 2.9% 水準이 될 것으로 豫想했다. 2024年 政策金利 中間값의 境遇 5.1%에서 4.6%로 下向 調整해 從前 2次例에서 3次例로 金利引下 幅이 擴大될 것으로 展望했다.



    제롬 파월 聯準 議長은 記者會見에서 市場의 過度한 政策 轉換 期待를 警戒하면서도 政策金利가 頂點 近方에 있으며 金利引下 時點에 關한 論議가 있었음을 認定했다. 追加 金利引上 可能性이 열려 있다고 言及했지만, 記者會見에서 質疑應答은 大部分 金利引下 條件과 時期에 맞춰졌고, 競技 軟着陸 可能性과 物價 鈍化勢가 持續될 境遇 金利引下가 可能할 수 있다는 餘地도 열어뒀다.

    12月 FOMC 定例會議 以後 金融市場의 關心은 金利引下 時期로 移動했다. 시카고商品去來所(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2024年 3月 金利引下 可能性은 65%까지 높아졌고, 한 해 6茶禮까지도 金利를 낮출 것으로 期待되고 있다.

    2023年 12月 FOMC 定例會議에서는 2024年 美國 經濟成長率 展望値를 1%臺로 낮추며 潛在成長率 水準(2% 程度로 推定)을 下廻할 것으로 展望했지만, 失業率 展望値를 維持하고 點圖表度 3次例 金利引下로 擴大한 點은 意味가 있다. 이는 景氣 軟着陸을 위해 聯準이 先制的으로 金利를 引下할 수 있다는 意味로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過去 美國 金利引下는 代替로 失業率 急騰과 競技 萎縮이 同伴되면서 斷行됐다.

    하지만 이番에는 景氣沈滯라는 極端的 狀況이 아니어도 物價가 下向 安定化될 境遇 可能할 것으로 보인다. 聯準 議長은 12月 FOMC 定例會議 後 記者會見에서 物價 目標値 2%에 到達한 後 金利를 引下할 境遇 經濟에 否定的일 수 있음을 指摘하면서 이보다는 先制的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點을 열어뒀다. 이는 聯準의 인플레이션에 對한 境界가 이어지고 있으나 以前처럼 物價 統制에만 焦點을 맞추기보다 競技 要人을 通貨政策에 考慮하기 始作했다는 意味로 解釋할 수 있다.

    연준과 市場 展望 乖離 줄어드는 過程 必要

    現在 美國의 名目 政策金利는 5.25∼5.50%지만 實質 政策金利는 物價 展望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聯準의 豫想보다 物價 鈍化 幅이 擴大된다면 그만큼 實質金利 水準이 높아져 緊縮 强度는 强해진다. 이 境遇 緊縮 副作用이 커질 可能性이 있기에 聯準 立場에서는 物價가 2%臺로 統制 可能한 範圍에 들어왔다고 判斷될 境遇 金利引下를 考慮해볼 수 있는 것이다.

    勿論 이 같은 展望에는 物價 鈍化勢가 持續돼야 한다는 前提가 必要하다. 聯準의 物價 展望値를 보면 2023年과 2024年 모두 下向 調整하며 인플레이션의 下向 安定化를 展望하고 있다. 또한 美國 根源 消費者物價指數(CPI) 上昇率이 前月 對比 0.2% 程度 速度로 움직인다고 假定할 境遇 2024年 2分期에는 前年 同月 對比 2% 初盤대로 物價가 鈍化될 可能性이 크다.

    다만 연준의 金利引下가 可視化되기 前까지는 金融市場 內에서 金利引下 時期를 두고 意見이 紛紛할 것으로 豫想된다. 點圖表에서 3次例 金利引下를 展望한 연준과 달리 金融市場은 2024年 3月을 始作으로 한 해 6次例까지 金利引下를 展望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金融市場 내 期待가 너무 앞서가는 것으로 보인다. 2024年 美國 物價上昇率은 鈍化될 展望이지만, 이를 確認하는 時間이 必要하고 金利引下 時期나 幅에 對한 연준과 市場의 乖離가 줄어드는 過程도 必要하다.

    最近 地政學的 리스크로 油價가 不安定한 흐름을 보이고, 供給網 蹉跌 憂慮가 다시 提起되고 있음을 考慮할 때 物價 鈍化 過程이 安定的이지 않을 可能性은 아직 남아 있다. 또한 物價 鈍化 흐름이 有效해도 市場 컨센서스가 相對的으로 낮게 形成될 境遇 이를 上廻하는 結果에 따라 金融市場 內 연준의 金利引下 展望은 隨時로 바뀔 수 있다.

    이를 考慮할 때 2024年 1分期에는 美國 物價의 鈍化勢 持續 與否를 確認하는 過程이 必要하고, 2分期 말 程度에 이르러서야 연준의 金利引下가 可能할 듯하다. 2024年 初 연준의 金利引下 時期를 둘러싼 不確實性으로 美國 달러나 金利 等 主要 價格 變數의 變動性이 커질 수 있지만, 2分期 말 연준의 金利引下가 可能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以後 流動性 與件이 緩和되면서 金融市場 內 投資心理도 改善될 것으로 期待된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各各 ‘매거진東亞’와 ‘투벤저스’를 檢索해 팔로剩하시면 記事 外에도 動映像 等 多彩로운 投資 情報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