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缺乏을 통해서만 사랑은 자라난다 - 윤가은의 '우리들'|동아新春文藝

동아신춘문예

缺乏을 통해서만 사랑은 자라난다 - 윤가은의 '우리들'

by   김세나

  • 作品專門
  • 審査評
  • 當選所感
  • 언제였는지 아득하기 만한 殘像들이 떠오른다. 같은 집 方向이면 登校길에 들러 같이 學校에 가고 돌아오던 그때. 下校 길 마주하는 周圍의 對象들은 모두가 好奇心과 關心의 世上이던 그 時節. 헤어지기 아쉬워 저녁 時間이 다 되도록 나의 집에 돌아가지 않고 눈치 없이 그 집 밥을 같이 하던 그때가 말이다. 윤가은의 ‘우리들’은 자라나는 아이들이 겪고 있는 缺乏과 愛情에 對한 相關關係를 따뜻하면서도 本質的으로 그리고 있다. 사랑과 愛情의 鑑定은 果然 缺乏된 아이들의 마음을 보듬어 줄 수 있을까?

    외톨이처럼 學校生活을 보내는 ‘先’은 ‘보라’의 무리들과 親해지고 싶지만 좀처럼 끼어 들 수 없는 狀態다. 墡膩가 보라의 生日파티에 함께 하고 싶어 하는 눈치를 보이자, 그女는 잘못된 住所가 적힌 招待狀을 일부러 주면서 間接的으로 親해지고 싶지 않다는 意思를 보인다. 왜 나는 그 무리에 낄 수 없는 것인지, 좋아하지 않는 理由가 무엇인지 線에게는 그 무엇보다도 重要하고 解決해야만 宿題로 남는다. 그렇게 始作되는 放學 일에 解答처럼 ‘지아’가 왔다. 새롭게 누군가와 사귄다는 일은 언제나 설레고 조심스럽다. 相對에게 꼭 맞는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에 서로가 서로를 配慮하면서 共有하는 追憶이 쌓여갈수록 西로는 서로에게 길들여지게 된다.

    ‘우리들’은 善과 지아가 단둘이 ‘祕密’을 共有할 만큼 가까워지는 瞬間 깨져버리는 場面을 그려낸다. 親密한 關係일수록 祕密은 共有되고 하나 以上을 가질 수도 있다. 스스로 남에게 알려서는 안 되는 祕密을 만들고 他人에게 發說하는 瞬間의 內密함은 그 얼마나 隱密하고 부끄러운 感情이던가. 가까워지게 되면서 지아는 先에게 父母님의 離婚 事實을 告白한다. 墡膩도 이때 그에 應答하듯이 內密한 祕密 하나를 마련해 내줄만 한데 ‘같이 바다 보러 가자’는 말로 함께 하고 싶은 일을 發說하고 있다. 이는 왜일까? 아마도 線은 家族이라는 테두리 안에 지아와는 다른 式으로 묶여 있는 存在이기 때문은 아닐까.

    世上에 나를 드러내는 일이 成人들보다 아이들이 더 힘들 수 있다는 前提는 ‘아이들’을 끌고 가는 묵직한 울림으로 드러나고 있다. 나의 規定은 어린 少女들에게는 敏感하면서도 온 世上의 問題로 다가오게 된다. 보라의 生日 파티에 膳物을 사지 못하고 直接 팔찌를 만들어가거나, 英語學院에 같이 다니자는 지아의 付託에 어려운 집안 事情을 먼저 떠올려야 하는 墡膩의 모습은 每事 自身 없고 率直한 態度를 갖지 못하게 作用한다. 하지만 지아 亦是도 父母님의 離婚 事實에 주눅이 들긴 매한가지다. 墡膩가 엄마와 多情하게 스킨십하며 응석부리는 모습에서 지아는 다 갖고 있어도 單 하나 갖지 못하는 寶物처럼 느끼며 嫉妬한다. 西로는 各自 缺乏을 느끼는 部分들이 있다. 스스로를 限定짓게 되는 缺乏은 相對方에게 비춰질 것으로 認識한 스스로가 만들어낸 部分들이다. 相對가 나를 어떻게 여기고 있는지를 먼저 判斷하여 만들어낸 結果인 것이다.

    알리고 싶지 않은 祕密을 共有한 사이가 멀어지게 되면 喪失感이 倍加되어 暴露의 感情을 불러일으킨다. 線은 보라와 가까워지면서 멀어진 지아가 보라로부터 멀어지는 場面을 捕捉해낸다. 홀로 울고 있는 보라에게 손手巾을 건네며 慰勞를 한다고 지아의 家庭事를 傳達한 것은 어떤 마음에서였을까? 아마 善은 보라와 가까워지기 위해서 지아의 家庭事를 밝히며 둘만의 祕密을 만들어내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勿論 ‘다른 사람에게 얘기 하지 말아주’라는 第 1原則을 보라가 먼저 깨기 때문에 唐慌하기는 하지만 말이다. 그렇다면 ‘왜 나한테 얘기 했느냐’는 보라의 末에 線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누군가와 親해지기 위해서는 相對가 願하는 祕密, 그것이 내 것이 아닐지라도 相對가 願하는 것이라고 錯覺하게 되면 共有해야 한다는 墡膩의 意識은 어느새 지아에게 길들여진 모습은 아니었을까. 學級 親舊들 앞에서 서로의 家庭事가 暴露戰으로 亂打되는 場面은 祕密로 주고받은 內密한 告白의 內容만을 다루고 있지 않게 된다. 單 둘만의 追憶과 時間들은 이제 스스로가 相對의 缺乏들을 把握했던 惡夢의 時間들이 되는 것이다.

    그저 하나의 親舊를 갖는 일이 이렇게 恥事하고도 血鬪가 일어나는 일이었나 싶기도 하지만, 가장 內密하고도 羞恥스러운 部分이 共有된 關係였다는 點에서 充分히 理解받아야 할 일이다. ‘때리면 나도 때리고 또 때리면 나도 또 때리는’ 사이는 果然 어떻게 回復할 수 있을까. 동생 尹의 愚問賢答을 통해 線은 그 解答을 찾는다. 더불어 缺乏을 그대로 내버려둔 채 다시 가까워지기 위한 試圖를 하게 되는데 이는 할아버지의 죽음을 통해서 느낄 수 있다. 先에게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關係는 좋지 않은 富者로 느껴진다. 아버지는 할아버지의 臨終을 앞둔 狀況에서도 直接 對面 못하다가 臨終 以後에야 ‘어떤 和解’가 이뤄진 것처럼 墡膩는 느낀다. 그렇게 어른이 되면 ‘다시’의 關係가 生成될 수 없음을 墡膩는 어렴풋하게 느낀 건 아닐까.

    사랑은 언제나 곳곳에서 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사랑은 缺乏을 治癒해주지는 못한다. 보듬고 덮으려 하면 할수록 鬱火처럼 튀어 올라 相對에게 생채기를 남길 수 있다. 그러니 이제 質問은 다시 始作되어야 한다. 오직 缺乏된 者만이, 사랑을 키울 수 있다고.
    김세나

    김세나

    1985年 全北 群山 出生

    한양대 國文科 博士 課程 修了

  • 김시무 映畫評論家

    應募作 中 ‘哭聲’을 다룬 批評이 가장 많았다. ‘釜山行’과 ‘아가씨’를 다룬 글이 次例로 뒤를 이었다. 批評的 觀點도 다양했다. ‘아가씨’를 近代性의 觀點에서 分析한 글은 박찬욱의 映畫 스타일을 ‘오페라’에 比喩해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限定된 紙面에 너무 많은 例示를 끌어들여 焦點이 빗나가고 말았다. ‘釜山行’을 다룬 글 中 ‘同一性의 自己複製와 現代性의 破局’이라는 話頭로 論議를 展開한 글은 좀비映畫의 現況을 詳細하게 分析해 注目할 만했다. 하지만 論文 式의 展開方式이 아쉬움을 남겼다.

    ‘哭聲’은 映畫 自體가 열린 構造여서 다양한 解釋이 可能하다. 厭世主義라는 테마로 該當 作品을 分析한 글은 ‘哭聲’李 旣存 장르映畫의 慣習을 한참 벗어났는데도 觀客을 사로잡은 理由를 說得力 있게 分析했다. 斷定的인 文章이 欠이랄까. ‘哭聲’을 神學的 觀點에서 解釋한 글도 두 篇 있었다. 그中 ‘誤認된 世界와 本能의 主體’라는 話頭로 論議를 展開한 글을 最終 當選作으로 選定했다. 이 글은 劇中 主人公이 破滅하는 것은 外部의 不可解한 힘(惡魔)李 아니라 主體의 本能에서 비롯된 絶對的 確信(卽 盲信) 때문이었음을 緻密하고 차분한 論理로 立證하고 있다. 文章도 安定的이다. 文章力은 좋은 評論家의 必須要素다.
  • 김세나

    김세나

    1985年 全北 群山 出生

    한양대 國文科 博士 課程 修了

    5年 동안 每週 서울과 群山을 移動했다. 學校에 일이 있을 때는 한 週에 두세 番도 往復했다. 스스로 選擇한 일이라며 지칠 때마다 마음을 다잡곤 하지만, 5年이란 時間은 내게 惰性을 만들어 이제는 허약한 精神狀態를 克服하기 어렵다고 스스로를 診斷하곤 한다. 길 위에서 흘려보내고 잃어버린 다짐들은 어디 즈음 있을까. 언제인가부터는 잃어버리지 않기 爲해, 아예 約束을 하지 않으려 妥協하는 나를 마주하게 되었다. 惰性에 젖은 나를 叱責이라도 하는 듯, 當選 消息이 들려왔다.

    始作을 했으면 끝을 봐야지 않겠는가. 이제라도 부랴부랴 잃어버렸던 다짐과 約束을 찾아보고 살펴봐주어야겠다. 그 뿐이랴. 새로운 다짐을, 새로운 約束을, 새로운 覺悟를 누구보다도 積極的으로 만들 準備가 되었다. 者, 다시 서울行 버스를 탈 準備를 하자.

    父母님께 感謝하다는 말을 해 본 經驗이 없다. 感謝할 일이 없었다는 게 아니라 뻣뻣한 내 表現 能力 탓일 것이다. 제멋대로 決斷하고 恒常 一方 通報만 해오던 딸을 默默히 믿어주시고 지켜봐주시는 父母님께 이 자릴 빌어 感謝 人事를 드리고 싶다. 무덤에 들어갈 때 或 홀로 남게 될까봐 걱정되어 나 죽거든 같이 묻고 싶은 나의 물밥, 男便 有名길에게도 感謝 人事를 드린다.
  • 作品專門
  • 審査評
  • 當選所感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