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標인지 꼬리票인지’ 大學 이름 적힌 敎生 名刹 論難|新東亞

20代 리포트

‘이름標인지 꼬리票인지’ 大學 이름 적힌 敎生 名刹 論難

不快한 敎生實習 記憶

  • 신소민 成均館大 프랑스語文學과

    somin7797@naver.com

    入力 2019-09-06 14: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臺에서 온 敎生”으로 불려

    • 隱然中 學閥 差別 느껴

    출신학교가 적혀 있는 교생 명찰들.

    出身學校가 적혀 있는 敎生 名札들.

    성균관대에 在學 中인 金某(24) 氏는 요즘 大田의 한 中學校에서 敎育實習을 했다. 每日 왼쪽 가슴에 잘 보이게 着用하는 敎育實習生(以下 敎生) 名刹에는 大學 이름, 大學 로고, 敎生 이름이 적혀 있었다. 

    그는 周邊 敎生들이 名札에 明示된 出身 大學으로 因해 本人 이름보다 學校名으로 記憶되는 境遇를 種種 봤다. 該當 中學校의 學生들은 勿論이고, 敎師들도 敎生을 이름 代身 “○○大 先生님”이나 “○○臺에서 온 敎生”으로 부르는 境遇가 頻繁했다고 한다.

    “英語作文과 英語讀解 配定할 때”

    名刹로 因해 在學 中인 學校가 露出되면서, 一部 敎生은 能力이 아닌 學閥로 差別을 느끼기도 했다. 

    “英語 科目에 온 敎生들이 各各 다른 大學 出身이었다. 中學生들이 名刹로 인해 敎生들이 어느 大學 所屬인지 알게 됐고 特定 大學 出身 敎生에게 배우고 싶어 하는 傾向이 나타났다. 工巧롭게도, ‘좋은 大學’에서 온 敎生에게는 英語作文이 配定됐고 그렇지 않은 敎生들에겐 英語讀解가 配定됐다. 學生들과 敎師들 사이에서 英語作文이 英語讀解보다 어렵다는 건 公公然한 事實이었다. 科目 配定에 實力을 測定하는 手段은 없었다.” (金氏) 

    敎生 名札에 出身 大學을 記載하는 理由는 무엇일까. 取材 結果, 名札은 大部分 大學 側이 敎生實習을 나가기 前 一括的으로 製作해 配付했다. 成均館大 師範大 敎生實習 關係者는 “敎生 名札에 學校를 明示하는 것은 慣行”이라며 “특별한 目的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서울교육대 敎生實習 關係者도 “慣行的 措置”라고 했다. 



    名刹로 인해 一部 敎生들이 不便함이나 不快함을 느끼더라도 名札 佩用이 大學 側의 自律的 매뉴얼이라 是正이 어렵다. 敎育部의 敎員資格檢定令에 따르면, 敎生實習 期間 名札을 佩用해야 한다는 規定은 따로 없다. 적지 않은 敎生들은 大學 이름을 明示한 名札 佩用에 拒否感을 보였다. 姨母(23·成均館大 敎生) 氏는 “序列化와 聯關 지어 생각하게 된다. 우리나라 中高校生들은 大學 序列化를 잘 認知하고 있고 關心도 많기 때문에 名札에 明示된 大學名을 보고 敎生을 判斷하지 않을까 하는 憂慮가 있다”라고 했다.

    “내 名刹에만 學校 이름 빠져도 不便”

    問題는 이런 憂慮가 몇몇 敎生이 大學 이름을 記載하지 않은 名札을 使用한다고 해서 解決될 것 같지는 않다는 點이다. 崔某(23· 晋州敎育大 敎生) 氏는 “敎育隊 特性上 名札에 大學 이름이 記載돼 있지 않다. 어떤 學校에 敎生으로 나갔을 때 내 名刹엔 大學 이름이 없고 다른 大學에서 온 敎生들의 名刹엔 大學 이름이 있으면 不便할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敎生조차 서열화하는 現象이 씁쓸하다”라고 덧붙였다. 

    ‘學閥 없는 社會를 위한 市民모임’은 最近 初·中·高校 敎生들이 出身 大學·學科 이름이 적힌 名札을 佩用하는 實態를 是正하도록 敎育部와 市·道敎育廳에 勸告하라는 陳情書를 國家人權委員會에 提出했다. 이 市民모임의 朴고형준 常任活動家는 “學閥主義를 助長하는 敎生 名刹 文化는 없어져야 한다”라고 했다. 全國 거의 모든 大學이 敎生 名刹 大學 表記를 一時에 中斷하지 않는 限, 時代의 흐름에 맞지 않는 이 慣行은 사라지지 않을 것 같다.

    ※ 이 記事는 成均館大 미디어커뮤니케이션學科 ‘言論實務敎育’ 授業 受講生이 신성호 敎授의 地圖로 作成했습니다.



    사바나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