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生사람 잡는 長期 寄贈 남이 한다면 말립니다”|신동아

“生사람 잡는 長期 寄贈 남이 한다면 말립니다”

어느 腦死者 家族이 겪은 ‘憤怒의 7日’

  • 정호재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demian@donga.com

    入力 2004-09-07 13:38: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스물다섯 생때같은 젊은이가 事故를 當해 蘇生不能 狀態에 빠졌다. 家族은 슬픔을 억누르고 長期 寄贈 意思를 밝혔다. 바로 그날부터 家族들의 苦痛이 始作됐다. 長期 寄贈者 家族이 “제발 臟器를 寄贈할 수 있게 해달라”고 哀願하는 現實, 長期 寄贈者를 限없이 지치고 無氣力하게 만드는 現實 앞에서 家族들은 할말을 잃었다. 都大體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
    지난 4月16日, 공주대학교 特殊敎育學科에 在學中이던 김한별(25)氏는 親舊들과 술을 마시고 歸家하다 담벼락 모서리에 머리를 부딪혔다. 親舊들은 쓰러진 金氏가 술에 醉해 잠든 것으로 알고 自炊房으로 데려가 눕혔다. 다음날 아침, 意識을 回復하지 못한 金氏는 公主 近處의 한 病院으로 옮겨졌고 狀態가 深刻해 大田 乙支大學病院으로 다시 移送됐다.

    腦出血이었다. 腦 속엔 이미 相當한 量의 피가 차 있었다. 骨 切除術과 血腫除去술을 받았지만 急激하게 蘇生不能 狀態로 접어들었다.

    仁川이 故鄕인 金氏는 障礙兒들을 돌보는 데 平生을 바치기로 決心하고 公主까지 가서 特殊敎育學을 工夫하던 健康한 젊은이였다. 家族들은 큰 衝擊을 받았지만, 언제까지 슬퍼하고 있을 수만은 없었다. 그래서 金氏가 社會奉仕에 獻身하고자 했던 뜻을 살리기 위해 家族會議 끝에 臟器寄贈을 決心했다. 아직도 숨을 쉬고 있는 사람을 너무 쉽게 떠나보내는 것 같아 마음이 아팠지만, “이런 狀態의 患者는 腦死로 進行될 뿐 살아날 可望이 없다”는 醫師의 判斷에 따라 마음을 다잡았다.

    ‘腦死’란 말 그대로 腦의 機能이 停止한 것. 이때 腦機能은 段階的으로 狀態가 나빠지기 때문에 腦는 醫學的으로 죽었지만 機械를 使用해 身體의 呼吸은 可能하게 만들 수 있다. 勿論 機械의 作動을 멈추면 呼吸도 멈춘다.

    이에 비해 ‘昏睡狀態’는 一時的인 腦機能 障礙로 身體活動을 暫時 멈춘 段階며, 植物人間 狀態란 大腦는 停止했지만 呼吸을 擔當하는 間腦가 살아있어 스스로 呼吸이 可能한 段階다. 따라서 이런 狀態에서는 腦死로 進行될 수도 있고 깨어날 수도 있다.



    金氏의 境遇 腦 全體에 深刻한 障礙가 있었고 事故 直後 迅速한 治療를 받지 못해 回復時期를 놓쳤다. 그래서 腦가 深刻하게 損傷되어 回復可能性이 거의 全無한 蘇生不能判定을 받은 것이다. 蘇生不能 狀態에서 腦死에 이르는 데는 짧게는 몇 時間에서 길게는 一週日 以上이 걸린다. 따라서 腦死者 臟器寄贈의 成功與否는 腦死判定 前後에 關聯 專門家들의 判斷과 醫療陣의 對應에 달려 있다.

    長期, 주고 싶어도 못 준다?

    金氏의 妹兄이 家族 代表로 나섰다. 直系家族은 이런 狀況에서 平常心을 維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는 于先 코노스(國立臟器移植管理센터, KONOS·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에 電話를 걸어 必要한 節次와 準備事項을 챙기기 始作했다.

    腦死者는 心臟이 멈춘 狀態가 아니므로 ‘客觀的 죽음’의 狀態가 아니다. 그래서 腦死者의 臟器를 寄贈하려면 專門家의 判斷이 介入돼야 하며, 意思決定을 本人이 아닌 家族이 代身하므로 行政的인 節次도 매우 까다롭다. 于先 腦死者 直系家族 2名의 同意가 없으면 臟器移植은 不可能하다. 家族을 잃은 마당에 身元確認을 위해 戶籍謄本을 떼러 들락거려야 하는 것이다.

    이런 事實을 미리 알고 있던 金氏의 妹兄은 蘇生不能判定이 나기 前에 迅速하게 書類를 準備해 主治醫에게 臟器寄贈 意思를 밝혔다. 하지만 書類만 갖췄다고 일이 끝난 것은 아니었다. 主治醫는 이렇게 答했다.

    “저희 病院에선 腦死判定만 할 수 있지, 臟器摘出手術은 不可能합니다. 코노스와 相議해서 手術이 可能한 近處 病院으로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코노스는 將棋의 ‘공정한 配分’을 原則으로 한다. 1990年代 한때 臟器移植手術이 特定 大型病院에 몰려 그 節次가 透明하게 管理되지 않자 全國을 3圈域으로 나눠 코노스가 當直病院 順番 대로 腦死者의 手術을 맡기도록 한 것이다. 이는 醫療界의 均衡있는 發展과 臟器移植 大記者를 統合 管理하기 위한 方法이다. 이에 따라 서울과 京畿地域을 第 1卷役, 충청남·北道와 全羅남·北道를 2卷役, 江原道와 經常南·北道를 3圈域으로 나눴고, 長期摘出 醫療機關(HOPO·Hospital-based Organ Procurement Organization)으로 指定된 一定 基準 以上의 病院에서만 長期摘出手術을 할 수 있도록 規定했다.

    金氏가 누워 있는 病院은 大田이고 故鄕은 仁川이었다. 그런데 코노스는 順番에 따라 全北 益山의 원광대學病院에서 手術을 받으라고 通報했다. 家族들은 “緣故도 없는 곳에 가서 手術을 받는 게 말이 되냐”고 抗議하며 “차라리 仁川으로 보내달라”고 呼訴했다. 하지만 코노스는 “仁川地域에는 準備된 病院이 없다”고 했다. 仁川地域 病院에 順番이 돌아오려면 멀었기 때문이다.

    HOPO로는 1圈域에 13個, 2圈域에 4個, 3圈域에 5個 等 모두 22個의 綜合病院이 選定돼 있다. 大戰·忠淸地域에서는 忠南大學病院이 HOPO로 指定돼 있었으나 지난해 醫藥分業關聯 罷業 때 이 病院이 제기능을 못했다는 理由로 指定病院에서 除外됐다. 그래서 大田·忠淸地域에는 長期摘出手術을 할 수 있는 病院이 한 곳도 없었다.

    病院 處地에선 이런 措置가 아쉬울 게 없다. 臟器摘出手術은 그리 달가운 일이 아니다. 그 病院 患者에게 줄 臟器를 摘出하는 것도 아니고 但只 코노스에서 順番을 定해주는 대로 手術만 할 뿐이기 때문. 게다가 여러 名의 醫師가 腦死者 옆을 떠나지 않고 모니터링해야 하는 等 病院으로선 한마디로 收支 맞지 않는 장사인 것이다.

    家族들은 하는 수 없이 蘇生不能 狀態인 金氏를 益山으로 옮기기로 했다. 그런데 또다른 問題가 생겼다. 臟器寄贈 節次를 主導할 主體가 不明確해진 것이다. 乙支大病院은 “腦死로 進行된다는 確信이 서야 患者를 보낼 수 있다”고 했다. 患者를 보내주지 않으니 원광대病院은 손을 놓고 있을 수밖에 없었다. 코노스 關係者는 現場에 없고 서울에서 電話와 文書로만 意見을 듣고 있으니 일이 제대로 될 理 없었다.

    그런 事情을 알 理 없는 家族들은 애가 탔다. 病院側에 哀願을 하다시피했다. “於此彼 臟器를 내주기로 했으니 빨리 원광대病院으로 보내달라”고. 主客이 顚倒돼 病院側이 家族에게 臟器를 寄贈하라고 說得한 게 아니라 家族이 醫療陣을 붙잡고 “제발 臟器를 寄贈하게 해달라”고 매달린 것이다.

    美國에서는 한 해에 5000件 程度의 腦死者 臟器寄贈이 이뤄진다. 中央에는 코노스가 본따온 ‘有노스(UNOS·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가 있고, 各 地域에는 腦死者만 專門的으로 管理하는 OPO(Organ Procurement Organization)가 있다. 이들은 腦死로 進行될 患者가 發生하면 卽刻 出動해서 患者의 狀態를 把握하고 移動, 手術 等의 日程을 總括해 責任진다.

    이와 對照的으로 코노스는 現場에 가지 않고 組織檢査 結果에 따라 對象者를 選定하고 通報하는 仲介機能만 擔當한다. 그런데도 코노스의 許諾 없이는 아무 일도 할 수 없기 때문에 一線 醫療機關의 決定은 더딜 수밖에 없다.

    結局 金氏 家族은 入院한 지 사흘 만인 4月20日 午前, 아무 緣故가 없는 益山 원광대病院으로 金氏를 옮겼다. 移送하는 날 아침 家族들은 直接 退院手續까지 밟아야 했다. 죽어가는 家族 앞에서 슬픔을 억누르고 治療費와 入院費를 치렀다. 將棋의 공정한 分配만 考慮했지 患者와 家族에 對한 配慮가 全혀 보이지 않는 대목이다. 臟器移植 關聯 病院에서는 코디네이터들이 家族을 돕지만, HOPO가 아닌 乙支大病院에서는 그런 이를 찾아볼 수 없었다.

    지나치게 嚴格한 腦死判定

    원광대病院으로 옮겨진 金氏는 重患者室에서 腦死判定을 기다렸다. 腦死判定 過程은 法에 明示된 基準과 醫學的 判斷, 그리고 行政的 節次가 共存하는, 徹底한 公的 領域이다.

    于先 醫療陣이 腦死라고 判定하기에 充分한 根據들을 調査한다. 呼吸狀態, 瞳孔固定, 腦幹反射, 無呼吸 等 腦死證候가 確認된 後 그런 狀態가 6時間 後에도 持續돼야 한다. 그後 腦波撮影에 들어간다. 이때 腦波가 나타나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 6時間 뒤에 再檢査를 實施한다. 이런 過程을 反復하면서 腦波가 停止한 狀態인 ‘平坦腦波’가 30分 間 持續되면 一旦 法에 明示된 醫學的 腦死로 판정난다. 그뒤 腦死判定委員會 委員 10名 中 7名 以上의 確認을 거치면 公認된 腦死狀態가 된다. 이때 비로소 臟器摘出이 可能하다. 特히 心臟과 허파 肝 等 重要 臟器는 腦死者로 부터만 제공받을 수 있기에 腦死者의 發掘과 管理가 重要視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腦死判定 節次가 지나치게 까다롭다는 것은 世界的으로 有名하다. 腦死判定委員會度 그 한 例. 이 委員會는 該當 地域의 宗敎人, 社會福祉士, 公務員 等으로 組織돼 있는데, 平坦腦波自家 發生하면 이들은 곧장 病院으로 召集되어 主治醫로부터 說明을 듣고 腦死가 認定된다는 데 同意해야 한다. 그러나 지난 2年 半 동안 腦死判定位는 腦死認定을 拒否한 事例가 單 한番도 없을 만큼 有名無實한 機構다.

    委員會는 醫師들의 責任을 덜어주고 腦死認定에 愼重을 期하는 安全裝置로 作用하지만, 7名 以上의 同意가 必要하기 때문에 臟器移植을 遲延시키는 障礙物이 되기도 한다. 7名을 빠른 時間 안에 召集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指摘을 받아들여 關聯法律 改正案은 最小 同意 人員數를 6名으로 줄였지만 醫療界는 實效性이 없다고 反撥한다.

    金氏는 1次 腦死判定 6時間 後 받은 腦波檢査에서 다시 腦波가 잡혔다. 그래서 6時間을 더 기다렸다. 워낙 健康했던 젊은이라 腦波가 끈질기게 살아 있었던 것. 6時間마다 檢査한다면 하루 네 番을 할 수 있어 腦死判定이 빨리 나오리라 期待했지만, 腦波檢査는 午前 9時와 午後 3時, 하루 두 番씩만 實施됐다. 病院 關係者는 그럴 수밖에 없는 理由를 이렇게 說明했다.

    “腦波檢査를 準備하는 데만 1時間, 檢査를 하는 데도 1∼2時間이 걸립니다. 이런 過程을 하루 네 番씩 反復할 수는 없습니다.”

    家族은 “밤에 腦波가 멈춰 牢死해버리면 臟器寄贈이 失敗할지 모른다”고 걱정했다. 그러나 돌아온 對答은 失望스러웠다.

    “안타깝지만 그럴 수도 있습니다.”

    法이 定한 ‘平坦腦波 30分’ 條項은 지나치게 嚴格한 基準이라는 게 醫學界의 衆論이다. 腦波의 存在가 腦死를 認定하는 客觀的인 條件이라지만 이를 絶對的인 條件으로 삼는 것은 無理라는 얘기다. 專門醫療人들은 無呼吸, 瞳孔固定 等 다양한 徵候를 바탕으로 死亡判定을 내릴 수 있게 하는 것이 臟器移植을 念頭에 둔 世界的인 趨勢라고 한다. 이에 비해 國內法은 生命 尊重 倫理를 지키겠다며 腦死 基準을 嚴格하게 定해놓고 있다.

    金氏 家族은 平坦腦波 判定을 기다리며 나흘을 흘려보내야 했다. 病院 複道에서 無酌定 待機하는 苦痛을 참다 못해 病院側에 家族이 起居할 수 있는 房을 내달라고 付託했다. 多幸히 원광대病院은 特室을 내주고 인터넷이 可能한 컴퓨터도 提供하는 等 最大限 便宜를 봐줬다. 하지만 金氏 家族처럼 客地에서 臟器寄贈 節次를 밟는 이들을 考慮한 規定은 어디에도 없다. 大部分 病院 近處 旅館에서 머물며 患者가 死亡하기만 기다린다는 게 한 코디네이터의 귀띔이다.

    며칠을 뜬눈으로 지샌 家族들은 心身이 極度로 衰弱해졌지만, 葬禮問題度 苦悶해야 했다. 長期摘出手術을 받은 腦死者의 屍身은 形體를 알아보기 힘들 程度로 毁損되게 마련이다. 將棋와 뼈를 다 빼낸 몸을 想像해보라. 때문에 家族들은 大部分 屍身을 火葬하고 納骨한다. 金氏 家族들은 아무 緣故도 없는 益山에서 葬禮節次를 準備했다.

    一旦 益山에서 化粧을 하고 大田이나 仁川의 市立納骨糖으로 갈 생각으로 益山 市立火葬場에 連絡했다. 그런데 “市立火葬場은 이곳 納骨堂에 安置할 屍身만 火葬할 수 있다”는 荒唐한 對答을 들었다. 그래서 부랴부랴 仁川市에 問議했지만 仁川에는 納骨堂이 없다는 것이다. 마지막 希望으로 大田에 連絡했다. 大戰納骨堂側의 對答은 지친 家族들을 또한番 脈빠지게 했다.

    “大戰納骨堂은 大田市民만 利用할 수 있습니다.”

    金氏의 住所地는 仁川으로 돼 있다. 結局 家族들은 京畿道 辟除火葬場으로 가야만 했다. 金氏의 屍身을 앞세우고 親知와 親舊들을 이끌고 上京해야 할 處地가 된 것이다. 辟除納骨堂 亦是 그곳에서 火葬한 遺骨만 納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事情을 알고 있는 코노스는 지난해 長期寄贈者를 爲한 納骨堂을 만들 計劃을 세웠지만 實踐에 옮기지는 못했다.

    4月20∼21日 週末 동안 이리저리 뛰어다니던 家族에게 누군가가 金氏의 住所地를 大田으로 옮기면 되지 않겠냐는 아이디어를 냈다. 그런데 患者가 死亡하면 住所地 以前이 不可能하므로 부랴부랴 行政機關에 連絡을 했다. 하지만 週末이라 行政網이 꺼져 있어 住所地를 옮길 수가 없었다. 結局 月曜日인 22日에야 大田으로 移轉할 수 있었다.

    이 무렵 家族들의 心境은 어땠을까. 家族을 代表했던 金氏의 妹兄은 “사랑하는 한별이가 빨리 죽기를 懇切히 祈禱했다”고 털어놨다. 臟器寄贈을 決心하고 나면 患者 家族의 關心은 얼마나 많은 臟器를 健康한 狀態에서 移植할 수 있느냐에 모아진다. 어이없이 家族을 잃은 이들에겐 그나마 寄贈된 將棋의 數字가 慰安이 된다고 한다. 그런데 患者는 蘇生할 可能性이 없는데도 ‘腦波’ 때문에 家族 全體가 꼼짝도 못하게 된다. 언제 腦死判定이 있을지 모르니 生業에 復歸할 수도 없다. 도와주는 사람도 없다. 그런 속도 모르고 사람들은 한마디씩 툭 던지고 사라진다.

    “마지막까지 抛棄하지 말라. 奇跡은 일어날 수도 있다.”

    “제발 빨리 죽어다오”

    事實 이 말처럼 腦死者 家族에게 傷處를 주는 것도 없다. 腦死에는 奇跡이 있을 수 없다. 家族들은 臟器寄贈을 決心하는 瞬間 患者의 小生은 抛棄한다. 家族들을 가장 고통스럽게 하는 것은 이렇듯 逆說的인 自身들의 마음가짐이며 이런 式으로 自身들을 몰아가는 狀況 그 自體다.

    22日. 다시금 1次 腦死判定이 나왔다. 6時間 後에 平坦腦波가 나오면 眞짜 腦死로 認定돼 狀況이 끝난다. 家族들이 겨우 몸을 추스리고 있는데 코노스에서 連絡이 왔다.

    “事件 申告는 하셨나요? 警察에 事件이 接受돼야 長期摘出手術을 할 수 있을 텐데요.”

    이건 또 무슨 뜬금없는 얘긴가. 하지만 節次가 그렇다니 어쩔 道理가 없었다. 가까운 警察署에 事件申告를 했다. 警察官이 病院으로 찾아왔지만 警察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1週日 前에 益山이 아니라 公州에서 일어난 事故가 아닌가. 患者의 죽음이 臨迫한 瞬間에 어처구니없게도 家族들은 警察에 自初至終을 說明해야 했다.

    警察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였다. 變死者의 境遇 申告가 接受돼야 葬禮를 치를 수 있지만, 腦死者 申告는 前例가 없는 일이었다. 그래도 申告가 接受된 以上 警察로선 다시금 事件을 되짚어 갈 수밖에 없었다. 몇 時間의 調査 끝에 警察은 “檢察의 承認을 얻어서 手術하라”는, 當然한 答辯을 보내왔다. 元來 이 節次는 病院의 코디네이터가 擔當한다. 群山地檢의 檢査와 팩스를 주고받으며 長期寄贈 承認을 받는 것이다. 金氏 家族은 또 쓸데없는 일에 내몰려 時間과 精力을 虛費했다. 코노스나 코디네이터에게 다양한 事例에 適用할 수 있는 明確한 매뉴얼이 없었다는 얘기다.

    이튿날(4月23日) 午後 4時. 全北 益山의 원광대病院 重患者室은 팽팽한 緊張感에 휩싸였다. 外科며 神經과 醫師들이 잰걸음으로 오갔다. 김한별氏의 두 番째 腦波檢査 結果가 나오는 時間이다. 外科팀은 事後 長期摘出에 對備하여 스탠바이에 들어갔다. ‘平坦腦波’였다. 모두가 기다리던 平坦腦波가 30分 동안 持續됐다. 이로써 金氏는 마침내 ‘公式的으로’ 腦死狀態에 들어갔다.

    “저희 神經팀은 患者가 腦死狀態에 접어들었음을 認定합니다. 患者 家族들은 暫時만 기다리시기 바랍니다. 곧 腦死判定委員會가 열려 法的인 死亡宣告가 있을 겁니다.”

    家族들은 ‘死亡’이란 말에 마른침을 삼켰다. 생때같은 피붙이를 떠나보내는 슬픔에 목이 메어왔다. 그러면서도 한便으론 安堵의 한숨을 내쉬었다. 金氏가 蘇生不能 狀態에 있던 지난 一週日間 참으로 당혹스럽고 慌忙한 하루하루를 보냈기 때문이다.

    死亡宣告가 내려지자 臟器寄贈·移植을 管理하는 專門看護師(코디네이터)들의 손길이 바빠졌다. 手術準備를 돕는 것은 勿論, 國立臟器寄贈센터에 狀況을 通報하고, 腦死判定委員會度 召集해야 했다.

    곧 委員들이 모여들었다. 擔當醫師는 서둘러 說明을 마치고 委員들로부터 署名을 받았다. 腦死者의 身體機能은 急激히 나빠지기 때문에 臟器의 狀態도 分秒를 다툰다. 臟器摘出팀은 곧장 手術에 들어갔다. 間, 두 個의 腎臟, 膵臟의 膵島, 心臟瓣膜, 팔다리 뼈 等 모두 9個의 臟器가 摘出되어 一部는 곧장 다른 病院으로 옮겨졌고 나머지는 冷藏狀態로 保管됐다. 그 光景을 지켜보던 家族이 놀란 表情으로 물었다.

    “先生님 心臟은요? 心臟은 移植하지 않나요?”

    “‘코노스’로부터 아직 心臟 受惠者를 찾지 못했다는 連絡을 받았습니다”

    “心臟移植이 必要한 患者가 없다니요? 저희는 무엇보다 한별이의 心臟이 누군가의 가슴속에서 다시 뛰는 것을 보기 위해 臟器寄贈을 한 건데요.”

    “글쎄요…. 어쨌든 코노스에서 連絡이 없었습니다. 아마 受惠者를 찾았다 해도 곧 해가 질 테니 移植할 수가 없을 겁니다. 헬기가 뜰 수 없으니까요.”

    “또 코노스가 問題니까. 코노스는 都大體 뭘 하는 곳입니까!”

    그래도 9個나 되는 臟器와 組織을 寄贈한 것은 最近 이뤄진 腦死者 臟器寄贈 事例 中에서 가장 記錄的인 數値였다. 心臟移植은 못했지만 心臟瓣膜은 寄贈할 수 있었다.

    家族들은 葬禮를 緣故가 없는 益山에서 치르느라 漠漠해 했지만, 多幸히 원광대病院은 宗敎團體에서 運營해 큰 어려움은 겪지 않았다. 規定에 따라 코노스로부터 200萬원을 葬祭費兆로 支援받았다. 追加로 200萬원을 더 支援받았는데 長期 受惠者로부터 모은 基金이라 했다.

    金氏의 屍身은 大田으로 옮겨져 化粧된 後 納骨堂에 安置됐다. 金氏의 親舊 100餘 名이 그의 마지막 가는 길을 함께했다. 家族들은 葬禮節次가 마무리되고 日常으로 돌아오고 나서야 참았던 울음을 터뜨렸다. 金氏를 두 番 죽인 것같은 未安함이 슬픔을 더욱 크게 했다. 9個의 臟器와 組織을 寄贈했다지만, 家族들은 누구에게 갔는지도 모르고 移植手術이 成功的이었는지도 알지 못한다. 臟器는 원광대病院에서 保管되다가 코노스가 指定한 病院으로 移送됐다. 원광대病院은 腦死判定과 手術을 擔當했을 뿐 金氏로부터 摘出한 長技를 單 하나도 쓸 수 없었다.

    김한별氏의 事例를 살펴보면 코노스란 都大體 어떤 組織인지 궁금해진다. 코노스는 ‘長期 공輿望’ 또는 ‘臟器移植 情報網’으로 볼 수 있다. 서울 乙支路 국립의료원에 자리한 코노스는 인터넷 電算網을 통해 全國의 臟器移植 登錄機關으로부터 長期寄贈者와 臟器移植 待機者에 對한 資料를 넘겨받아 데이터베이스를 構築·管理한다. 이를 바탕으로 寄贈者와 大記者를 連結하는 機能을 擔當한다.

    코노스의 機能과 限界

    하지만 코노스는 正規職員 14名과 契約職 13名이 勤務하는 단촐한 組織이다. 1年 豫算도 9億원에 不過하다. 電算處理 費用과 弘報費를 빼고 나면 人件費 대기에도 벅찬 現實이다. 美國의 유노스는 民間機關으로 OPO와 함께 敏捷하게 움직인다. 이에 비해 코노스는 保健福祉部의 一介 傘下機關일 따름이다. 專門人力도 絶對的으로 不足하다. 職員들은 大槪 看護師 出身이고 契約職이 全體 人員의 折半에 가까워 專門性을 蓄積할 餘地도 적다. 때文義 組織을 革新하고 安定性을 强化하는 게 時急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여러 市民團體를 통해 臟器寄贈 意思를 밝히는 사람들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有名人士들이 事後 臟器를 寄贈하겠다고 誓約하는 것도 자주 볼 수 있다. 하지만 臟器를 寄贈받기 願하는 移植 待機者들은 이보다 훨씬 더 많이 늘고 있다. 只今도 1萬名이 넘는 사람들이 臟器移植에 마지막 希望을 걸고 있다.

    그러나 現實은 慘澹하다. 1999年에 臟器를 寄贈한 腦死者는 162名이었지만, 코노스가 臟器移植管理를 獨占한 2000年에는 64名으로 急減했고, 지난해엔 52名으로 줄었다. 올해는 6月 中旬 現在 15名에 不過해 年末까지 가도 30名線에 그칠 展望이다.

    腦死者의 臟器寄贈이 가장 活潑하게 이뤄졌던 1999年에는 162名의 腦死者 中 40%인 69名의 臟器를 移植하는 手術이 서울峨山病院과 삼성의료원에서 이뤄졌다. 待機者度 病院에서 直接 管理했다. 그러자 臟器移植을 願하는 사람들이 두 病院으로 몰려들었다. 때문에 두 病院은 自體的으로 腦死者를 發掘하려고 애썼다. 그 結果 腦死者 臟器寄贈 件數가 急增했다.

    하지만 弊害도 작지 않았다. 大型 民間病院이 臟器移植에 對한 全權을 쥐게 되자 大記者 順序의 公正性에 疑惑이 提起됐다. 또한 大型 病院이 臟器를 武器로 地方 病院들을 줄세우는 現象도 생겨났던 것.

    이에 따라 保健福祉部는 ‘공정한 配分’이라는 모토를 내걸고 圈域別 順番制 摘出原則과 全國 待機者 統合管理를 强行했다. 이 業務를 맡은 코노스의 監視·監督機能을 大幅 强化했다. 그러나 이 대목에서 딜레마에 빠져버렸다. 이른바 有名 病院은 臟器移植에 必要한 좋은 施設과 人力을 갖췄으면서도 臟器移植手術을 제대로 못하게 되어 過去에 構築한 인프라가 無用之物이 된 것이다. HOPO로 指定된 病院도 1年에 두 番 程度 찾아올까 말까 한 機會를 오히려 부담스럽게 느끼게 됐다. 腦死者가 發生해도 摘出한 長技를 自己 病院에서 쓸 수 없으니 번거로운 行政節次를 甘受하면서 腦死者를 自進 申告할 病院은 없었다.

    事情이 이렇다보니 김한별氏의 境遇처럼 家族이 먼저 寄贈意思를 밝혀도 病院側은 團地 코노스가 이를 主導한다는 것만 알릴 뿐 仔細한 節次나 對處方法을 알려주지 못한다. 臟器寄贈 코디네이터를 맡고 있는 看護師들도 大部分 專門知識을 갖추지 못했거나 病院에서 다른 職務를 겸하고 있어 家族들에게 제대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實情이다.

    腦死者의 發掘과 寄贈, 移植으로 이어지는 過程은 法과 制度로만 管理될 수 있는 部分이 아니다. 長期 寄贈에는 遺族의 心境變化 等 다양한 突發變數가 作用하는 人間的인 領域이있다. 김한별氏의 境遇도 그가 生前에 臟器寄贈 意思를 밝힌 것은 아니지만, 막상 腦死에 이르자 家族들이 平素의 所信과 常識에 따라 臟器寄贈을 決心했다. 그런데도 코노스가 臟器寄贈 및 移植과 關聯된 모든 責任을 떠안고는 그 무게를 주체하지 못하는 現實이다.

    臟器寄贈과 關聯된 問題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腦死者 臟器寄贈이 實施된 지 10年이 지난 只今까지도 腦死判定 節次에서부터 臟器賣買를 둘러싼 論爭, 臟器寄贈者와 受惠者의 身元을 밝히는 問題 等에서 아직 社會的 合意를 이뤄내지 못했다.

    이같은 問題에도 不拘하고 분명한 것은 腦死者는 最大 9名에게 새로운 生命을 傳해줄 수 있다는 事實이다. 臟器移植은 生命工學의 發達로 臟器를 培養하는 것이 可能해지지 않는 限 醫術이 擇할 수 있는 마지막 堡壘다.

    우리나라에서 腦死者 臟器寄贈이 가장 活潑했던 1998∼99年度 美國의 事例와 比較하면 顯著한 隔差를 보인다. 우리보다 人口가 5倍 程度 많은 美國의 腎臟寄贈 件數는 우리보다 30倍 以上 많다(표 參照). 腦死者 1名이 寄贈한 將棋의 個數도 우리는 最近 몇 年間 平均 3個에 그친 反面 美國은 5個가 넘는다. 또한 申告된 腦死者가 모두 김한별氏 같이 寄贈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코노스의 統計에 따르면 腦死者의 臟器 寄贈 意思가 接受되어도 移植成功에 이르는 比率은 50% 未滿이다. 이러한 數値를 根據로 一角에서는 ‘臟器移植法’을 ‘臟器移植禁止法’이라 비아냥 거린다.

    保健福祉部와 코노스도 할말은 있다. 關聯法을 改正하려면 國會와 法制處, 保健福祉部 間의 意見이 一致해야 하는데 그 調律이 쉽지 않다는 것. 問題點을 把握해 改善策을 내놔도 關聯 部處間 意見調律過程에서 保守的인 氣流에 부딪쳐 挫折되곤 한다는 것이다.

    코노스 신상숙 長期囚級팀長은 “코노스는 但只 執行機關에 不過하다. ‘작은정부’라는 口號는 우리같이 힘없는 機關에만 適用된다. 노하우도 쌓이지 않는다”며, “그래도 주어진 現實에서 公正性을 지키기 爲해 最善을 다하고 있다”고 말한다.

    權限을 쥔 코노스가 제 役割을 하지 못하면서 그동안 臟器寄贈運動을 펼쳐온 宗敎界와 市民團體들도 많은 傷處를 입었다. 살아있는 사람으로부터 移植받을 수 있는 唯一한 長技인 腎臟 外에는 모든 臟器寄贈 節次를 코노스와 相議해야 했기 때문에 일이 效率的으로 進行되기 어려웠다. 市民團體가 할 수 있는 일은 살아있는 사람들의 伸張과 角膜寄贈을 連結하는 것과 弘報뿐이었다.

    사랑의 臟器寄贈運動本部 關係者는 “臟器寄贈 誓約者는 늘고 있지만, 우리는 코노스에 臟器寄贈者를 連結하는 일밖에 할 수 없다. 誓約한 사람 中에 누가 實際로 臟器를 寄贈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벌이는 臟器寄贈 誓約運動이 結果的으로는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腦死 家族의 臟器를 寄贈한 한 遺族은 답답한 듯 이렇게 털어놨다.

    “좋은 뜻에서 臟器寄贈 意思를 밝혔지만 移植手術이 끝날 때까지 苦痛과 傷處는 너무도 컸다. 이런 狀況이 改善되지 않는 限 臟器寄贈에 對한 認識은 나빠질 것이다. 이로 인해 臟器를 移植받으면 살 수 있는 사람이 죽어가고 있다. 生命을 나누는 高貴한 일이 왜 이다지도 어렵기만 韓紙 國會와 福祉部, 醫師들과 市民團體는 그 原因을 하루빨리 把握해 改善해주기를 呼訴한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