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名品週 跳躍|新東亞

企業뉴스 | 下아트進路

글로벌 名品週 跳躍

하이트眞露 92年 釀造技術 結實 ‘一品進路’ 庶民의 술 燒酒

  • 김지은 客員記者 | likepoolggot@empal.com

    入力 2016-10-25 10:11:54

  • 글字크기 설정 닫기
    2013年 7月 하이트진로가 出市한 蒸溜式 燒酒 ‘一品進路’가 國內外에서 人氣몰이 中이다. 大衆主人 燒酒를 넘어 高級스럽고 洗練된 이미지로 好評을 받은 ‘一品進路’는 漸次 度數를 낮춰 出市하던 最近 燒酒 트렌드와는 反對로 알코올 度數를 25度로 높여 燒酒 特有의 剛한 魅力을 살렸다. 아울러 旣存 製品의 多少 剛한 香과 津한 뒷맛을 緩和하고 木桶 熟成으로 부드러운 香과 隱隱한 맛을 加味했다.

    一品進路는 熟成 方法부터 남다르다. 純쌀 蒸溜原液을 참나무 木通에서 10年 以上 熟成시킨 原液을 100% 使用했으며, 熟鍊된 釀造 專門家들의 匠人精神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1924年부터 이어진 ‘燒酒 名家’ 진로의 傳統과 노하우가 最高級 프리미엄 燒酒의 品格을? 높였다. 부드럽게 녹아드는 隱隱한 香은 生鮮膾와 잘 어울리며, 깔끔한 목 넘김과 오크香의 餘韻은 肉類의 기름지고 살짝 단맛과 調和를 이룬다.

    요즘 流行하는 炭酸水 칵테일이나 라임, 시나몬 等을 곁들인 캐주얼 칵테일의 알코올 베이스로도 좋다. 물과 稀釋해 부드러운 맛을 살리면 술이 弱한 이들에게도 덜 부담스럽다.



    海外에서도 好評

    多少 平凡해 보이던 原形의 甁 模樣도 高級스러운 死角 形態로 바뀌어 洗練된 이미지를 더했다. 旣存에 使用하던 製品名 書體는 韓紙 質感의 現代的인 캘리그래피로 交替돼 傳統的이면서도 感覺的이다.



    一品進路는 지난해에만 44萬 病이 팔려 年間 最多 販賣를 記錄한 데 이어 올해엔 5月까지 販賣量이 前年 同期 對比 150% 늘어나면서 成長勢를 이어가고 있다. 累積 販賣量도 200萬 甁을 넘어섰다. 價格帶가 比較的 高價인 프리미엄 燒酒임을 勘案하면 異例的이다.

    一品進路는 世界 3代 主流 品評會人 몽드셀렉션(Monde Selection), SWSC(San Francisco World Spirits Competition), IWSC(International Wine & Spirits Competition) 等에서도 잇달아 受賞의 榮譽를 안았다. 2016 몽드셀렉션에선 蒸溜酒 部門 大賞을 차지했고, 2010年부터 올해까지 國內 酒類로는 처음으로 7年 連續 對象 受賞의 快擧를 記錄했다. 이로써 몽드셀렉션에서는 3年 連續 對象 受賞 製品에만 附與되는 最高品質對象(International High Quality Trophy)을 連거푸 2回 受賞하며 世界 最高 水準의 프리미엄級 蒸溜酒로 認定받았다.

    또한 一品進路는 지난해 8月 世界 主要 프리미엄 主流와 함께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國際空港에서 市販되며 글로벌 旅行客들에게 大韓民國 프리미엄 燒酒를 알리게 됐다.

    하이트진로 關係者는 “一品進路는 10年의 기다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貴한 술로, 世界 名酒들과 견줄 만한 最高級 蒸溜式 燒酒”라며 “하이트眞露의 92年 釀造 技術力을 바탕으로 誕生한 品格 높은 一品進路를 國內外에 널리 알리겠다”라고 밝혔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