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種 毒感 바이러스 잡는 SK케미칼 ‘4價 백신’|新東亞

企業뉴스 | SK케미칼

4種 毒感 바이러스 잡는 SK케미칼 ‘4價 백신’

  • 김지은 客員記者 | likepoolggot@empal.com

    入力 2016-10-20 15:31:14

  • 글字크기 설정 닫기
    急性 바이러스 感染疾患人 毒感은 每年 世界的으로 成人의 10%, 小兒의 30%에게서 發病한다. 이로 인해 約 500萬 名의 重症患者와 50萬 名의 死亡者가 생긴다. 豫防醫學의 發達로 毒感은 豫防接種만 잘해도 막을 수 있다고 알려졌지만, 最近에는 豫防接種 後에도 毒感 患者가 發生하는 境遇가 늘고 있다. 旣存 백신에 包含되지 않은 새 바이러스가 뒤늦게 流行하기 때문이다.

    季節性 毒感 백신은 世界保健機構(WHO)의 勸告에 따라 A型 바이러스 2種 ‘H1N1’ ‘H3N2’와 B型 2種 ‘빅토리아’ ‘야마가타’ 中 그해 流行할 것으로 豫想되는 바이러스를 組合해 開發한다. 旣存에 接種되던 3街(價) 毒感 백신은 A型 2種 및 B型 2種 中 하나만 包含됐다. 따라서 백신에 包含되지 않은 B型 바이러스가 流行할 境遇 2車路 毒感에 걸릴 수 있다. 이것이 이른바 ‘B型 미스매치(mismatch)’다.

    더욱이 最近에는 B型 바이러스 두 가지가 同時에 流行하는 事例가 報告돼 豫防 範圍가 더 넓은 4街 백신의 必要性이 擡頭됐다. 美國에서는 4街 毒感 백신 接種을 통해 年間 患者 3萬 名, 死亡者 700名 程度가 줄어드는 것으로 分析됐다. WHO와 유럽醫藥品廳(EMA), 美國 疾病管理本部(CDC)는 2013~14 시즌부터 4街 毒感 백신을 接種하는 것이 더 폭넓은 豫防效果를 提供할 것이라고 發表했다.

    國內에서도 B型 毒感 바이러스 2種을 모두 豫防할 수 있는 백신을 導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國內의 境遇 2011~2012年 檢出된 毒感 바이러스는 A兄이 B型보다 發病率이 約 5% 높았지만 2013~2014年에는 B兄이 A型보다 發病率이 約 12% 높아지는 逆轉 現象을 보였다. 이에 대한감염학회는 지난해 成人豫防接種 가이드라인에 4街 백신 使用 勸告를 追加했다.





    3歲 以上 全 年齡帶 接種

    多幸히 올해부터는 國內에서도 4街 毒感 백신 接種이 本格化할 展望이다. 지난 8月 4街의 細胞 培養 生産 技術을 椄木한 次世代 毒感 백신이 世界 最初로 國內에서 開發됐기 때문이다. SK케미칼이 開發한 ‘스카이셀플루4價’는 한 番의 接種으로 4種類의 毒感 바이러스에 對한 廣範圍한 豫防이 可能한 毒感 백신으로, 國內에서 生産되는 4街 毒感 백신 中 唯一하게 滿 3歲 以上의 全 年齡에서 接種이 可能해 B型 毒感 바이러스의 미스매치를 解決할 代案으로 注目받고 있다.

    스카이셀플루4街의 臨床을 主導한 翰林大 江南聖心病院 感染內科 李載甲 敎授는 “스카이셀플루4가는 國內 成人 1503名, 小兒 454名을 對象으로 한 臨床試驗을 통해 全 年齡帶에서 免疫原性을 立證했다”고 說明했다. SK케미칼 關係者는 “스카이셀플루4가는 豫防效果와 安全性 側面에서 旣存 3街를 넘어서는 特長點을 갖고 있다”며 “世界 最初의 毒感 백신으로 國民 保健에 寄與할 것”이라고 말했다. ?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