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뮤즈, 김향안의 이야기Ⅱ Timeless|新東亞

갤러리 散策

더 뮤즈, 김향안의 이야기Ⅱ Timeless

金煥基展

  • 글 · 이혜민 記者 | behappy@donga.com , 寫眞提供 · 환기미술관

    入力 2016-12-21 14:00:38

  • 글字크기 설정 닫기

    場所 서울 鍾路區 紫霞門로 40길 63 환기미술관● 一時 2016年 10月 28日~2017年 1月 15日 ● 觀覽料 成人 6000원, 一般 團體(20人 以上) 5000원, 學生·經路 4000원● 問議 02-391-7701




    美術館, 어쨌든 門을 열게 되었다. 完全히 無에서 始作한 美術館. “나는 뭐 죽어서 묻히는 것은 아무데서 묻혀도 괜찮아!”…그러나 ‘내 作品은 내 나라에, 서울에, 보내고 싶은’ 그 마음을 알기에, 집을 짓고 移徙가는 氣分으로 美術館을 始作했다. -김향안


    손만둣집이 有名한 紫霞門 近處엔 숨은 寶物이 있다. 그곳에 이런 글이 쓰여 있다. ‘寶物’은 1992年 11月 들어선 韓國 最初의 社說 個人 美術館인 환기미술관이다. 金煥基(1913~1974) 畫伯의 夫人 김향안(1916~2004) 女史가 세웠다.

    이화여전 出身의 文筆家 김향안은 1936年 天才 文學家 李箱과 結婚했지만 이듬해 死別했고, 1944年 金煥基와 再婚해 藝術 旅程의 同伴者가 됐다. 男便이 死亡한 다음 해부터 파리를 中心으로 喚起財團을 始作했고, 金煥基의 藝術 世界를 알리는 한便 作家들을 志願했다. 金煥基의 65歲 生日을 記念해 1978年 美國 뉴욕에서 喚起財團을 公式 出帆하고, 1979年 美 聯邦 政府에 登錄한다. 男便의 作品을 展示할 美術館을 만들기 위해 1989年 서울로 돌아온 그는 마침내 生의 프로젝트를 完成한다.  



     都心 속 旅行을 떠나고 싶다면 이곳을 둘러보길 勸한다. 환기미술관은 巨大한 美術館처럼 많은 作品을 품고 있진 않지만 그 德에 觀覽客은 餘裕롭게 다양한 앵글에서 作品을 鑑賞할 수 있다. 特히 이番 展示에서는 金煥基 作品을 보는 夫人의 ‘애틋함’ ‘懇切함’이 읽힌다. 作品 아래와 建物 壁, 기둥에 夫人의 壇上이 적혀 있기 때문이다. 門外漢도 空間의 餘白 속에서 金煥基를, 伴侶者의 意味를 斟酌하게 된다. 特히나 金煥基의 同伴者가 쓴 이 글句는 金煥基의 作品만큼이나 餘韻을 남긴다.



    비트라油는 中世紀 宗敎 文化로서 發達한 聖堂의 裝飾으로 琉璃에 그림을 그린 色琉璃, 파리의 노트르담 聖堂의 비트라油를 第一 아름다운 것으로 친다. 사르트르 聖堂의 것들과 같이. 나는 美術館을 만들면 手話(金煥基의 號)의 作品으로 꼭 비트라有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누구를 시키나? 勿論 發達한 고장의 腸이(artisan)를 시켜야겠다고 생각했다. 앞으로는 우리나라에서도 만들 수 있겠지만 오리지널을 한 샘플로 남기고 싶었다. (…)

    사람들이, 特히 作家들이 비트라油價 참으로 좋다고 感歎을 한다. 나도 바라보고 섰으면 그 아름다운 線들이 울려오는 것을 느낀다. 그 걸러진 狀態를 보고 싶어 했는데 나의 게으름으로 그가 世上을 떠나기 前에 보여주지 못한 것을 謝過한다. 手話는 “내가 죽고 나서라도 눈 있는 사람이 와서 내 그림을 볼 때 認定할 거라고” 自信滿滿했다. 그 눈 있는 사람은 實로 늦게야 나타났다. -김향안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