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콤, 시원, 살금살금 매운맛! 봄철 밥도둑 미나리 [김민경 ‘맛 이야기’ ?]|新東亞

달콤, 시원, 살금살금 매운맛! 봄철 밥도둑 미나리 [김민경 ‘맛 이야기’ ?]

  • 김민경 푸드칼럼니스트

    mingaemi@gmail.com

    入力 2021-02-27 10: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전남 나주 한 미나리 재배단지에서 농민들이 싱그러운 미나리를 수확하고 있다. [박영철 동아일보 기자]

    全南 羅州 한 미나리 栽培團地에서 農民들이 싱그러운 미나리를 收穫하고 있다. [박영철 동아일보 記者]

    3月 初 映畫 ‘미나리’가 開封한다. 1970年代에 美國으로 移住한 韓人 1世代의 現地 定着期를 다룬 作品이다. 아직 映畫를 보지 못했지만 가난한 東洋 異邦人이 그곳에서 얼마나 고달프고, 쓸쓸하고, 기댈 곳 없었을까 싶은 애잔함이 앞선다. ‘미나리’라는 題目이 안 된 마음을 더 부추긴다. 사람들이 밟기 꺼리는 축축한 濕地에 뿌리를 내리는 植物. 가느다란 줄기를 아무리 길게 뻗어도 영 힘이 없어 結局 땅에 누워 자라는 미나리. 


    길고 가는 줄기에 부드러운 이파리가 나풀나풀 달린 미나리는 깨끗이 씻어 날로 먹으면 가장 맛있다. [GettyImage]

    길고 가는 줄기에 부드러운 이파리가 나풀나풀 달린 미나리는 깨끗이 씻어 날로 먹으면 가장 맛있다. [GettyImage]

    그렇지만 濕地를 떠나 市場에 나오는 瞬間 미나리는 어엿한 봄의 主演이 된다. 미나리 자리를 代身할 菜蔬는 없다. 생생한 아삭함, 버怯地圖 가볍지도 않은 獨特한 香, 달고 시원한 가운데 살금살금 피어나는 매운맛. 길고 가는 미나리 줄기에는 부드러운 이파리가 나풀나풀 달려 있는데 그中 버릴 게 하나도 없다. 깨끗이 씻어 날로 먹으면 가장 맛있다. 아삭함이 남을 程度로 調理하면 우적우적 많이 먹을 수 있으니 또 좋다.

    맑은 복국에 미나리 듬뿍

    미나리를 넣고 담근 물김치. 미나리는 봄철 밥상에서 주연으로도, 조연으로도 손색이 없다. [김동주 동아일보 기자]

    미나리를 넣고 담근 물김치. 미나리는 봄철 밥床에서 主演으로도, 助演으로도 遜色이 없다. [김동주 동아일보 記者]

    맑은 복국, 生鮮 매운湯, 海物찜이나 아구찜 等에 미나리를 넣지 않으면 씹는 맛과 香이 쏙 빠진다. 副材料라기에는 存在感이 너무 크다. 오이무침, 봄동 겉절이, 비빔밥, 비빔국수, 묵무침 等에도 생생한 미나리를 조금만 넣으면 어떤 양념보다 앞서 나가 입맛을 돋운다. 單, 새콤 달콤 매콤한 맛은 미나리 個性을 가릴 수 있으니 지나치게 刺戟的인 양념은 避하는 게 좋다. 

    밀가루나 감자가루 반죽에 미나리 듬뿍 넣고 煎을 부치면 맛있고, 미나리를 잘게 썰어 양념간醬에 넣어도 잘 어울린다. 장아찌 담글 때 미나리를 조금씩 함께 넣으면 香도 맛도 좋아진다. 김치 담글 때 미나리를 조금씩 넣기도 하는데, 미나리만 갖고 열무처럼 시원하게 김치를 담그면 初여름까지 먹을 개운한 밥飯饌이 된다. 


    미나리를 듬뿍 얹은 매운탕. 미나리는 매운 국물 요리와 잘 어울린다. [GettyImage]

    미나리를 듬뿍 얹은 매운湯. 미나리는 매운 국물 料理와 잘 어울린다. [GettyImage]

    나물이나 볶음은 말할 것도 없다. 조금 색다르게 먹고 싶다면 칼국수나 수제비, 잔치국수에 고명으로 조금씩 얹어 본다. 油腐醋밥을 만들 때 양념한 밥에 미나리를 쫑쫑 썰어 섞거나 김밥을 쌀 때 다른 材料와 함께 넣어도 산뜻하고 맛있다. 



    미나리는 논미나리와 밭미나리가 있다. 우리가 흔히 만나는 길고 부드러우며 濕地에서 자라는 건 논미나리다. 밭미나리는 돌미나리라고도 하는데 물氣 없는 땅에서 자란다. 論미나리보다 줄기가 짧고, 잎이 많이 달렸으며 香이 剛하고 아삭한 맛이 더 좋다.

    미나리系의 슈퍼스타 旱災미나리

    쫄깃하고 고소한 미나리전. [동아DB]

    쫄깃하고 告訴한 미나리展. [東亞DB]

    엇비슷해 보이는 미나리 中에도 슈퍼스타가 있다. ‘旱災미나리’다. 慶北 淸道郡 한재마을(청도읍 초현리·음지리·평양리·商利 一帶)에서 나오는 미나리로, 깨끗한 물이 흐르는 濕地에서 자란다. 미나리는 代替로 속이 비었는데 한재미나리는 마늘종처럼 속이 차 있다. 그렇다고 줄기 껍질이 질긴 것도 아니다. 가볍게 베어 물면 톡 끊기는 아삭거림이 좋고 香이 豐盛하며, 촉촉하고 爽快한 맛이 가득하다. 論미나리와 밭미나리 性質을 같이 갖고 있어 남다르게 사랑 받는 것 같다. 

    여느 때 같으면 只今쯤 한재마을은 外地 사람으로 가득 찬다. 갓 收穫한 미나리를 求하려는 人波가 몰린다. 近處 食堂에서는 飮食마다 미나리를 곁들여 먹는 珍風景도 펼쳐진다. 特히 구운 돼지고기나 삶은 고기에 미나리를 곁들여 먹는 게 이 地域에서는 봄날의 儀式처럼 傳해지고 있다. 아쉽게도 只今은 사람 移動이 操心스러운 때이니만큼 미나리가 全國으로 바쁘게 移動하고 있지 싶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