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대로 先生’, 5·18을 말하다|신동아

‘나대로 先生’, 5·18을 말하다

이홍우 畫伯 네 컷 漫畫로 돌아본 그날

  • 송화선 記者

    spring@donga.com

    入力 2019-05-13 10: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이홍우 상명대 特任敎授는 1980年부터 2007年까지 동아일보에 네 컷 漫畫 ‘나대로 先生’을 그렸다. 名實相符 우리나라를 代表하는 時事漫畫家인 그는, 5·18 民主化運動 當時 光州의 아픔을 新聞 紙面을 통해 最初로 世上에 알린 人物이기도 하다. 5·18 39周年을 앞두고 이홍우 畫伯을 만나 當時 이야기를 들었다.
    이홍우 상명대 특임교수  [홍중식 기자]

    이홍우 상명대 特任敎授 [홍중식 記者]

    1980年 5月 20日 全南日報는 異色的인 네 컷 漫畫를 실었다. 題目을 除外하고는 글씨 한 字 찾아볼 수 없다. 마지막 칸에 主人公 ‘미나리 女史’가 눈물 흘리는 모습이 담겨 있을 뿐이다. 燒酒를 앞에 놓고 담배를 피워 문 채 울고 있는 아내를 보며, 男便 또한 아무 말도 하지 못한다. 男便의 텅 빈 눈빛이 그가 느끼는 慘澹한 心情을 생생히 보여주는 듯하다. 

    이 漫畫의 作家는 이홍우(70) 상명대 特任敎授. 當時 그는 光州에 本社를 둔 新聞 ‘전남일보’(現 광주일보)에 ‘미나리 女史’를 連載하고 있었다. 李 敎授는 “바로 이때 光州에서 5·18 民主化運動이 始作됐다. 수많은 光州市民이 戒嚴軍의 銃칼 아래 苦痛받았다. 그러나 徹底한 檢閱 때문에 어느 言論도 그 慘狀을 報道하지 못했다. 눈물이 솟구치지만 아무 말도 하지 못하는 미나리 女史 處地가, 그때 바로 내 모습이다. 이 漫畫를 그리며 나도 무척 마음이 아팠던 記憶이 난다”고 했다.

    示威는 不法, 記事 檢閱은 合法

    1980년 5월 20일자 전남일보에 실린 그의 만화 ‘미나리 여사’.

    1980年 5月 20日子 전남일보에 실린 그의 漫畫 ‘미나리 女史’.

    李 敎授가 當時 光州에 있었던 건 아니다. 그는 서울 中區 배재빌딩에 入住해 있던 全南日報 서울支社에서 일했다. 전남일보는 그 時節 日刊紙와 더불어 ‘전일방송’이라는 라디오放送까지 가진 큰 言論社였다. 李 敎授를 비롯해 靑瓦臺 및 國會 出入記者 等 20名 넘는 사람이 서울에서 勤務했다. 光州 本社와 서울支社는 新聞 製作을 위해 電話와 텔렉스, 定期 行囊 等을 주고받으며 隨時로 取材 內容을 共有했다. 1980年 5月 18日 光州에서 戒嚴軍과 市民 사이에 衝突이 發生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서울支社로 곧장 생생한 現場 消息이 쏟아져 들어오기 始作했다. 

    當時 政局을 暫時만 돌아보자. 1980年 5月 18日 0時 최규하 大統領이 非常戒嚴 全國 擴大를 宣布했다. 꼭 한 時間 뒤인 같은 날 午前 1時, 이희성 戒嚴司令官이 ‘戒嚴布告’를 냈다. 이것으로 △모든 政治活動 中止 △政治 目的의 옥내외 集會 및 示威 禁止 △言論·出版·報道 및 放送 事前 檢閱 △大學 休校 等이 決定됐다. 하루아침에 모든 示威는 ‘不法’, 記事 檢閱은 ‘合法’인 世上이 열린 것이다. 

    곧 光州에서는 非常識的 措置에 抗議하는 市民들의 示威가 始作됐다. 戒嚴軍은 暴力으로 이를 制壓하려 나섰다. 그 過程에서 流血 事態가 發生했지만, 新軍部가 新聞·放送을 統制해 光州 바깥으로는 消息이 傳해지지 않았다. 서울에서 光州 狀況을 傳達받은 全南日報 서울支社 構成員들 또한 關聯 記事는 한 줄도 쓸 수 없었다. 



    바로 그때 최승호 全南日報 編輯局長이 서울에 있는 이 敎授에게 電話를 걸었다. 그는 “只今 光州에서는 戒嚴軍의 蠻行을 記錄한 모든 記事가 休紙桶에 들어가고 있다. ‘미나리 女史’를 통해 은유적으로 이 狀況을 傳達할 方法이 없겠느냐”고 말했다고 한다. 

    李 敎授 또한 같은 마음을 먹고 있었다. 그는 “檢閱을 通過해 新聞에 실리면서 同時에 光州의 아픔을 世上에 알릴 수 있는 漫畫를 그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苦悶하고 또 苦悶했다”고 밝혔다. 그 結實이 1980年 5月 20日子 ‘미나리 女史’인 셈이다.

    臺돌을 뚫는 물방울

    光州를 둘러싼 狀況이 하루가 다르게 惡化하면서 全南日報는 1980年 5月 21日부터 新聞을 發行하지 못했다. 그런데도 光州에 있는 이 敎授 同僚들은 新聞에 單 한 줄도 싣지 못할 內容을 取材하고자 危險을 무릅쓴 채 現場을 뛰어다녔다. 피 흘리는 光州 市民들의 모습은, 그들의 取材手帖과 寫眞필름 안에 담겨 繼續 서울支社 事務室에 到着했다. 當時 갓 서른 살 넘은 靑年이던 이 敎授는 그것들을 보며 憤怒와 無力感에 몸을 떨었다고 한다. 

    전남일보가 復刊된 건 光州市民의 抗爭이 完全히 鎭壓된 뒤인 6月 4日이다. 戒嚴軍의 言論 檢閱은 한層 强化됐고, 新聞 記事를 통해 5·18 民主化運動 當時 光州市民이 겪은 苦痛을 世上에 알리는 건 事實上 不可能했다. 이때 이 敎授가 다시 나섰다. 그는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던 慘酷한 現場, 힘없이 當한 市民들의 아픔을 紙面에 담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素材로 삼은 건 6·25戰爭이었다. 

    전남일보 6月 4日子에 실린 ‘미나리 女史’를 보자. 主人公은 6月 달曆을 보다가 문득 6·25를 떠올린다. 그러고는 國民 大部分이 歌詞를 아는 ‘6·25의 노래’를 부르기 始作한다. 서슬 퍼런 新軍部라도 問題 삼기 어려운 內容 展開다. 그러나 그 時節 光州市民이라면 누구나 알아차리지 않았을까. ‘미나리 女史’ 夫婦가 끝내 눈물까지 흘리며 記憶하는, ‘발을 굴러 땅을 치며 義憤에 떤 날’이 果然 언제인지 말이다. 

    이 漫畫를 보면 檢閱을 巧妙히 避하면서도 願하는 메시지를 分明히 傳達하는 이 敎授의 能力에 혀를 내두르게 된다. 그는 “어떤 사람은 그때 정작 ‘5·18’에 對해서는 한 마디도 못 하고 ‘6·25’를 代身 내세운 나를 卑怯하다고 여길지도 모르겠다”며 “그러나 當時 내가 가장 重要하게 생각한 건 新聞에 실릴 수 있는 漫畫를 그리는 거였다”고 밝혔다. 李 敎授의 말이다. 

    “言論 檢閱 狀況에서 ‘揭載 不可 判定’을 받을 게 뻔한 漫畫를 그리면 뭐하나. 그건 一種의 自慰行爲라고 봤다. ‘나는 軍部獨裁에 强力히 抵抗했다’는 自己滿足 말고 아무것도 남지 않을 테니 말이다. 나는 그러고 싶지 않았다. 메시지를 多少 醇化하고, 때로는 隱密히 감추더라도 어떻게든 新聞에 실릴 수 있게 그리고 싶었다. 그게 當時 내가 생각한 抵抗이다.” 

    李 敎授는 이 대목에서 ‘落水물’ 얘기를 했다. 단단한 臺돌을 깨뜨리는 건 한瞬間 거칠게 쏟아지는 소나기가 아니라 끊임없이 臺돌을 두드리는 작은 물방울이라는 얘기다. 그래서 이 敎授는 言論彈壓이 거세던 時節에도 檢閱 때문에 漫畫를 新聞에 내지 못한 일이 한 番도 없다고 한다. 

    “檢閱 當局이 揭載를 不許할 게 분명해 보이는 主題가 있다. 그런 걸 選擇한 날은 漫畫를 여러 篇 그렸다. 뒤로 갈수록 메시지를 조금씩 醇化했다. 檢閱官이 첫 番째 漫畫에 ‘揭載不可’ 圖章을 찍으면 두 番째 漫畫를 내밀고 또 ‘揭載不可’ 圖章을 찍으면 세 番째 漫畫를 내밀기 위해서였다. 그렇게 하다 여덟 番째 漫畫로 마침내 檢閱을 通過한 적도 있다. 讀者들은 그 漫畫를 ‘맹湯’으로 여겼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더라도 아예 아무것도 그리지 못한 것보다는 낫지 않았을까.” 

    李 敎授 얘기다. 그는 이렇게 펜으로 끊임없이 물방울을 그렸다. 그가 만들어낸 落水물은 1980年 6月에도 끊임없이 軍部獨裁의 臺돌 위로 똑똑 떨어졌다. 6月 6日엔 ‘顯忠日’을 素材로 삼았다. 이날 漫畫 主人公은 百合 한 송이를 들고 누군가의 무덤을 찾아가 엎드린다. 6月 7日, 6月 8日子 新聞에 실린 ‘미나리 女史’ 또한 ‘아는 사람 눈에는 分明히 보이는’ 行間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나대로 先生

    ‘미나리 女史’가 이처럼 連거푸 ‘光州의 눈물’을 다루자 全南日報 編輯局에는 讀者들의 應援과 激勵 메시지가 遝至했다. 反面 檢閱 當局의 눈초리는 날로 날카로워졌다. 李 敎授는 “1980年 6月 初부터 檢閱을 擔當하는 高位層이 ‘操心하지 않으면 ‘미나리 女史’를 없애버리겠다’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내게 傳해지기 始作했다”고 말했다. 全南日報 編輯局長도 ‘곧 言論인 肅淸이 있을 豫定이라는 情報가 돌고 있으니 操心하라’고 助言했다고 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新軍部가 눈엣가시였던 記者들을 골라 解雇하는 이른바 ‘言論人 解職 事態’가 벌어졌다. ‘似而非 言論 整理’ 等의 美名下에 新聞·放送도 統廢合됐다. 이런 狀況에서 이 敎授는 1980年 11月 全南日報를 떠나 동아일보로 자리를 옮겼고, 새로운 네 컷 漫畫 ‘나대로 先生’을 始作했다. 

    ‘나대로 先生’을 그리면서 이 敎授의 時事漫畫家로서의 名聲은 더욱 높아졌다. 전두환 政府의 言論 統制를 물 흐르듯 타고 넘으며, 奇拔한 아이디어로 讀者의 숨筒을 틔워준 德分이다. 1985年 2月 8日 동아일보에 실린 ‘나대로 先生’을 보자. 

    表面的으로는 싱겁기 그지없어 보인다. 2·12 總選을 앞두고 全國 各地에서 政治 演說會가 活潑히 열리던 時節이다. 그때 ‘나대로 先生’李 大衆歌謠를 듣는 게 全部 아닌가. 

    그러나 內幕을 알면 얘기가 달라진다. 그해 2月 8日은 新軍部가 美國으로 强制 追放했던 김대중 氏가 金浦空港을 통해 歸國한 날이다. 전두환 政府는 當時 野圈 有力人士이던 金氏가 注目받는 것을 막으려 했다. 모든 言論에 關聯 記事를 싣지 말도록 報道指針을 내렸다. 

    李 敎授는 ‘나대로 先生’을 통해 바로 그것을 無力化했다. 漫畫 세 番째 칸 ‘大衆歌謠나 듣자’ 文章에서 ‘大衆’을 유난히 큰 글씨로 썼고, 라디오에서는 ‘돌아오네 돌아오네 故國山川’이라는 노래가 흘러나오는 것으로 描寫했다. ‘行間의 意味’를 통해 政府가 禁止한 뉴스를 讀者에게 傳達한 것이다.

    “오늘 같은 날이면”

    李 敎授가 가진 ‘隱喩와 象徵’ 能力은 當時 드러내놓고 이야기하는 게 不可能했던 5·18 民主化運動을 漫畫 素材로 다룰 때도 빛을 發했다. 

    東亞日報 1985年 5月 18日子에 실린 ‘나대로 先生’李 한 事例다. ‘푹푹 찌는 날씨’에 우리의 主人公은 ‘시원한 無等山 수박’을 떠올린다. 

    1986年 5月 19日에는 ‘나대로 先生’과 知人이 낚시에 對한 이야기를 나누는 途中 光州 거리 風景이 그림으로 登場한다. 

    그 場面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무도 說明해주지 않는다. 하지만 얼굴에 傷處를 입은 채 거리를 걷는 市民과, 帽子를 쓰고 威壓的인 姿勢로 서서 그들을 지켜보는 이들 사이의 對備가 分明하다. 作家가 5月 19日에 이 漫畫를 紙面에 실음으로써 傳하고자 한 메시지는 ‘아는 사람 눈에만’ 보이는 것이다. 

    전두환 政府가 無所不爲 權力을 휘두르던 時節, 國內 主要 新聞 紙面을 통해 이처럼 持續的으로 5·18 民主化運動에 對한 關心을 換氣한 사람은 이 敎授가 唯一하다. 李 敎授는 그 까닭을 묻는 質問에 “전남일보 時節 알게 된 5·18의 眞實이 내내 마음에 남아 있었기 때문”이라고 答했다. 李 敎授 얘기다. 

    “當時 中央日刊紙와 放送社는 戒嚴 當局 發表를 引用해 光州에서 ‘暴徒의 亂動’이 벌어지고 있다고 報道했다. 그러나 우리 記者들이 取材한 內容은 달랐다. 戒嚴軍의 可恐할 暴力 앞에 市民들이 束手無策으로 스러지고 있었다. 1980年 5月 當時 全南日報 신복진 記者가 보내온 寫眞 中 한 張이 只今도 기억난다. 戒嚴軍이 小銃에 大檢을 꽂은 채 市民들을 向해 달려가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그런데 1988年 12月 열린 5·18 民主化運動 聽聞會에서, 當時 戒嚴軍 指揮官들은 하나같이 ‘示威鎭壓에 大檢을 使用한 일이 없다’고 거짓말을 했다. 只今까지도 수많은 거짓말 때문에 眞實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이 敎授는 5·18 民主化運動에 對한 漫畫를 繼續 그렸다. 그렇게 그린 作品이 줄잡아 40餘 篇에 이른다(상자 記事 參考). 더불어 軍事政權의 言論 記事 檢閱에 맞서 眞實을 드러내려는 努力도 繼續했다. 

    1986年 3月 24日 동아일보에 실린 ‘나대로 先生’을 보자. 이른바 ‘國防위 會食 事件’을 다룬 漫畫다. 

    事件 槪要는 이렇다. 그해 3月 21日 軍 高位 將星과 現職 國會議員들이 高級 술집에서 술을 마시다 서로 치고받는 亂鬪劇을 벌였다. 그 現場에는 박희도 當時 陸軍參謀總長 等 ‘하나회’ 核心 멤버가 多數 있었다. 박희도는 12·12 事態 當時 1空輸旅團長으로, 全斗煥 政權 出帆의 ‘1等 功臣’으로 꼽힌 人物이다. 이 事件이 世間에 알려지면 안 된다고 判斷한 政府는 곧장 言論 統制에 나섰다. 어느 言論社도 이 內容을 記事化하지 못했다.

    “눈앞에 별이 번쩍번쩍”

    그러나 이 敎授의 漫畫는 檢閱의 틈을 뚫고 들어갔다. 3月 24日 ‘나대로 先生’은 “會食하다 매를 맞았는데 눈앞에 별이 번쩍번쩍했다”고 말한다. ‘별’이라는 單語는 누가 봐도 술자리에서 暴力을 휘두른 將軍들에 對한 隱喩다. 그때까지 所聞으로만 떠돌던 事件은 이렇게 新聞 紙面에 登場하게 됐다. 

    李 敎授는 이 漫畫 때문에 ‘某處’에 끌려가 매를 맞는다. 그러나 以後에도 날카로운 펜을 꺾지 않았다. 

    李 敎授는 2001年 韓國 時事漫畫의 代父 김성환 畫伯이 制定한 ‘고바우漫畫上’ 1回 受賞者로 選定됐고, 2007年에는 동아일보 ‘東亞大上’을 받았다. 동아일보에서 局長級 編輯委員으로 活動하다 退社한 뒤엔 상명대에서 後學을 指導하고 있다. 

    5·18 民主化運動 39周年을 앞두고 그가 ‘신동아’를 만난 건 “이제는 5·18이 消耗的인 論爭의 對象에서 벗어나 韓國 現代史의 意味 있는 事件으로 尊重받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李 敎授는 “얼마 前 몇몇 國會議員이 主催한 5·18 民主化運動 關聯 公聽會에서 參席者들이 5·18 貶毁 發言을 했다는 얘기를 듣고 큰 衝擊을 받았다. 나는 慶尙道 사람이지만 1980年 5月 光州의 아픔이 우리나라 民主化의 밑거름이 됐다고 確信한다. 來年에 다가올 5·18 40周年에는 더 많은 사람이 뜻깊게 이날을 記念할 수 있게 되면 좋겠다”고 밝혔다.

    ‘나대로’의 눈으로 본 5·18 民主化運動

    이홍우 敎授는 每年 5月이면 5·18 民主化運動을 素材로 한 漫畫를 그렸다. 1989年 5月에는 프로野球 選手들의 등番號에 빗대 5·18에 對한 關心을 喚起했고, 1990年에는 光州에 내리는 빗줄기 속에서 ‘光州의 發砲’를 떠올렸으며, 1993年에는 ‘發砲 責任者를 밝히라’고 明示的으로 要求하기도 했다. 

    1996年 5月 18日 ‘나대로 先生’은 망월동을 비추는 달 위에 전두환 前 大統領 얼굴을 그려넣어 5·18 民主化運動 當時 最高 責任者였던 그의 責任을 强調했다. 2000年에는 美國의 責任을 물었고, 2005年에는 無等山 수박을 통해 光州의 아픔을 되짚었다. 李 敎授는 “無等山 수박의 붉은 속이 光州에서 숨져간 英靈들을 떠올리게 한다는 內容의 이 漫畫를 그린 뒤 全國 各地에서 많은 讀者의 電話를 받았다”고 回顧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