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制服(祭服)과 땔감|新東亞

制服(祭服)과 땔감

  • 최성각│作家·풀꽃平和硏究所長

    入力 2013-01-21 14:23: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나이가 좀 들어 시골에서 겨울을 맞이한 게 벌써 아홉 番째, 50代 初盤부터 始作된 내 시골살이를 나는 靑服(淸福)으로 여기고 있다. 변변찮은 사람에게 비록 週中이지만 시골살이를 할 機會가 주어졌으니 말이다. 그러나 늘 땔감이 걱정이었다. 그렇다고 長斫을 돈 주고 사서 쌓아놓고 겨울을 난다는 것은 왠지 옳지 않은 일로 여겨졌다. 農事야 텃밭 水準이지만, 땔감만은 어떻게든 내 힘으로 解決하고 싶었다.

    길을 가다가도 땔감으로 쓸 만한 것들이 보이면 車로, 리어카로 熱心히 실어 나르곤 했다. 어디 山비탈에 間或 넘어진 나무가 눈에 띄었다 하면 어김없이 멈춰 서서 옮겨 나를 窮理를 하곤 했다. 마을 사람들에게 잘라가도 괜찮다는 許諾을 받은 뒤에 때로는 도끼로, 때로는 엔진톱에 기름을 넣고 山으로 들어가곤 했다. 엔진톱을 쓰든, 도끼질을 하든 텅 빈 山속에서 혼자 나무를 자를 때에는 그 勞動만큼의 騷音이 나는데, 도끼날이 나뭇결에 제대로 박혔을 때 나는 소리는 아주 맑고 아름답다.

    여덟 番째 겨울까지는 어떻게든 한 해 내내 모아 토막 내고 쪼개어 쌓아놓은 雜木들을 때는 것으로 그럭저럭 견뎌냈다. 그러다 지난가을에는 그만 福이 터졌다. 電報대보다 큰 잣나무 두 그루, 梧桐나무 한 그루가 거저 생긴 것이다. 작은 트럭으로 네댓 番쯤 실어 날라야 했던 그 엄청난 땔감은 山속 湖水가 옆 開豁地에 서 있던 것들인데, 땔감 欲心이 많기로 소문난 내게 마을에서 膳物을 한 것이다.

    “所長님, 요즘도 땔감 모으시지요? 저 위 湖水가 털풀님네 오두幕 가는 모퉁이 있잖아요! 거기 梧桐나무 하고 잣나무랑 세 그루가 있는데, 그거 잘라 가세요.”

    어느 날 좁은 마을길에서 서로 車를 비켜주다가 만난 里長이 車窓을 내리고 말했다.



    “아, 거기 梧桐나무라면 아주 오래된 놈인데…그걸 잘라 가지라고요?”

    “예, 며칠 前에 마을會議에서 崔 先生님한테 膳物하기로 決定했습니다. 右하핫!”

    나보다 열 살쯤 아래인 우리 마을 里長은 늘 한盞 걸친 것처럼 볼이 발그스레하다.

    “마을會議?”

    “아, 그렇다니깐요.”

    그러고 里長은 휑하니 사라져버렸다.

    그길로 나는 마을 꼭대기에 있는 湖水가의 現場으로 치달렸다. 오래前에 누군가 湖水가 옆에 집을 지으려고 基礎工事만 해놓은 空터 가장자리에 잣나무 두 그루, 그리고 梧桐나무가 나란히 서 있었는데, 그것을 마을에서 통째로 내게 膳物을 한 것이다. 우와, 그때의 感激이라니. 四時長철 온 마을을 헤집으며 부러지고 버려진 나뭇가지나 주워 모으던 내가 멀쩡한 나무를, 그것도 세 그루나 얻었으니 어찌 감격스럽지 않았겠는가.

    며칠 뒤, 移葬을 다시 만났다.

    “그거 멀쩡한 나무들인데, 正말 잘라 써도 되는 거요?”

    “그 땅이 本是 우리 마을 金氏네 땅인데, 於此彼 거기 집을 짓자면 잘릴 것들인데, 이番에 마을會議에서 金氏가 氣分 좋게 崔 先生님한테 내놓았지요. 그러니 神經 쓰지 말고 잘라 가세요.”

    며칠間 나는 興奮 狀態로 보냈다. 그 나무를 어떻게 잘라 硏究所로 실어 나를 것인가, 앉으나 서나 그 걱정뿐이었다. 내 지프로는 語不成說의 作業이었고, 그렇다고 湖水까지 리어카로 作業하기에는 不知何歲月의 作業量이었다. 트럭이 한 臺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눈만 뜨면 그 생각뿐이었다. 마침 그즈음 마을 入口에서 마農事를 짓는 後輩가 건넛마을 골짜기에 사는 한 親舊가 20萬km쯤 굴렸다는 古物 트럭을 팔려고 한다는 情報를 줬다. 그 消息을 듣자 댓바람에 트럭이 있다는 곳으로 달려갔다. 나는 흥정엔 누구를 만나도 ‘鳳’인지라 한푼도 못 깎고 古物 트럭을 100萬 원에 購入했다. 나로선 트럭 값이 매우 無理였으나 나무를 실어 나르자면 그 手밖에 없었다.

    트럭은 廢車 直前 狀態였다. 定期檢査를 하고, 타이어를 바꾸고, 머플러까지 交替하는 데 든 돈이 트럭 값보다 더 많았다. 우리는 그 트럭을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는 말을 줄여 ‘배배꼽’이라 불렀다. 無理해서 배배꼽을 救하고, 車가 제 구실을 하는 데 적잖은 돈이 들었지만, 그 費用을 不辭한 것은 오로지 거저 얻은 多量의 땔감 때문이었다.

    겨우 세 그루였지만, 나무를 자르고, 얼추 토막을 내서 싣고, 다시 硏究所 마당에 내리고, 내린 나무들을 다시 짧게 토막을 내어 처마 밑에 쌓는 데 자그마치 한 달餘가 걸렸다. 날품으로 사는 弟子가 와서 며칠 도와줬지만, 만만찮은 作業이었다. 그러나 그 時間 내내 땔감 欲心이 없는 사람은 到底히 理解할 수 없는 幸福에 겨워 困한 줄도 몰랐다.

    왜 마을에서 이 나무들을 내게 膳物했을까. 어렵게 생각할 것 없이, 그것은 昨年 正月에 내가 일하는 硏究所 이름으로 마을에 膳物한 制服(祭服) 때문이었을 것이다. 우리는 그렇게 느끼고 있고, 里長 또한 그런 暗示를 稀微하게라도 한 것만 같다.

    制服 이야기는 이렇다. 昨年 겨울, 마을 總會 때였다. 總會가 끝나고 50代 以上 男子들만의 술자리가 벌어졌는데, 그때 팔씨름도 하고 발씨름圖 하고, 노래房 機器를 틀어 노래도 불러쌓고 한바탕 잘 놀았는데, 그러던 즈음, 누군가가 마을의 洞祭(洞祭) 이야기를 꺼냈다.

    “마을에서 每年 洞祭를 지내는데, 崔 先生, 그걸 알고 계시우?”

    내게 팔씨름은 이기고 발씨름은 晉 前 里長 鄭氏가 막걸리 沙鉢을 건네며 물었다.

    “듣긴 들었지만 仔細히는 모른다”고 했더니, 옆에 있던 다른 이가 말하기를, “우리 마을 洞祭는 陰曆 三月三日 밤에 지낸다”고 했다. 祭官(祭官)이 셋인데, 祭官들은 그 열흘쯤 前부터 夫婦生活이나 몇 가지 禁忌를 지키며 조신하게 洞祭를 기다린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쪽으로 이야기가 번지자 “논 한가운데에 있는 서낭이 비록 초라해 보여도, 예전에 댐을 짓기 前의 큰 洪水 때 周邊의 집들이 모조리 쓸려나갔어도 그 서낭堂만은 멀쩡했다”고 누군가 보탰다. 말하자면, 마을에서 그곳을 매우 영험하고 신령스러운 곳으로 여긴다는 이야기였다.

    마을의 安寧과 豐饒를 祈願하는 洞祭를 지내는 이 나라 어느 마을에도 있을 법한 이야기였다. 醉中이었지만 마을 서낭堂 이야기를 하는 이웃들의 表情은 眞摯했고, 瞬間 정갈했다. 그래서 나 亦是 例를 다한 얼굴로 洞祭 이야기를 듣다가, “祭官들은 그날, 制服을 입고 祭祀를 지내겠군요?”라고 깊은 밤 洞祭를 올리는 祭官들을 떠올리며 묻게 되었다. 그 瞬間, 마을 사람들은 머쓱해지면서 “아니, 아직까지 뭐, 제복은 못 갖추고, 그냥 깨끗한 옷을 입고 그저 精誠을 다해…”, 지낼 뿐이라는 이야기였다. 그 말을 듣자, 그러잖아도 마을 사람들에게 늘 받기만 하고 준 게 없었다는 생각이 든 나는 “아, 그렇담, 或是 괜찮다면, 祭官들이 洞祭에 입으실 制服을 저희 硏究所에서 마련해드려도 될는지요?”라고 操心스레 韻을 뗐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가볍게 놀라는 얼굴들이었다.

    그리고 한 달쯤 지난 後, 우리는 여기저기 알아본 뒤에 한 不具點(佛具店)에서 흰色 두루마기와 검은 허리띠, 그리고 祭官(祭冠)까지 求했고, 그것을 정성스레 粉紅 褓자기에 싸서 마을 里長에게 傳達했다. 制服을 救하기 위해 여기저기 알아보고, 이 나라 다른 마을에서는 洞祭를 올릴 때 祭官들이 어떤 服飾을 取하는지 알아보는 時間도 다시 생각해보니 즐거운 時間이었다.

    總會 뒤풀이 때 술자리에서 한 約束을 硏究所에서 잊지 않고 지키자 마을 사람들이 받은 작은 感動이 强烈했던 模樣이다. 그러곤 아마도 이런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겠나 싶다.

    “거 참, 우리가 貴한 制服 膳物까지 받았는데 硏究所 崔 先生을 어떻게 하나? 그 兩班이 平素 뭘 좋아하실까?”

    제복(祭服)과 땔감
    최성각

    1955年 江原 江陵 出生

    1979年 중앙대 文藝創作學科 卒業

    1986年 동아일보 新春文藝로 登壇, 環境團體 풀꽃世上 創立

    等의 小說集과 生態에세이集 를 펴냄

    敎保環境文化相 受賞

    現 作家 兼 環境運動家, 풀꽃平和硏究所長


    “그분이야 撐天에 땔감, 땔감 하는 분이지요.”

    “아 그래요? 그렇담, 우리가 그 兩班한테 겨울 땔감이나 膳賜하는 게 어떨까?”

    아마도 그렇게 이야기가 돌아가지 않았겠나, 推測된다.

    올겨울의 寒波는 前例없이 酷毒하건만, 나는 이 寒波를 그리 차고 매섭게 여기지 않으니, 곧 마을 사람들에게 받은 푸짐한 땔감 때문이다. 暖爐 속에서 치솟는 불길을 바라보면서 내가 받은 것이 꼭 땔감뿐이었을까, 생각하게 된다. 사람 사는 곳 어디나 그렇겠지만, 시골에서는 가끔 난데없이 感動的인 일이 일어나곤 한다.



    에세이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