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마네콩티 vs 페트뤼스|新東亞

로마네콩티 vs 페트뤼스

부르고뉴 벨벳 女人 vs 보르도 聖骨 伯爵

  • 調整用│와인評論家 고려대 講師 cliffcho@hanmail.net│

    入力 2009-01-06 15:58: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世界 와인의 中心地인 프랑스에는 傳統을 고스란히 간직한 貴族 와인이 많다. 그中에서도 로마네콩티와 페트뤼스는 最高 中 最高다. 피노누아와 메를로의 참 맛이 各各 그대로 드러나는 로마네콩티와 페트뤼스는 胎生的으로 다르지만 感覺的으로 닮았다. 한 甁에 數百萬원 하는 이들 럭셔리 와인의 祕密은 무엇일까. 와인評論家 調整用氏가 新年號부터 와인 世界의 흥미로운 뒷얘기를 담은 ‘라이벌 와인’을 連載한다.
    로마네콩티 vs 페트뤼스

    프랑스 부르고뉴 地方의 代表的 葡萄밭人 ‘라 로마네’

    點과 線을 使用한 話法으로 有名한 美術家 李禹煥은 세 子女로부터 眞珠婚式 記念 膳物로 로마네콩티(Roman′ee-Conti) 1990年産 한 甁을 받았다. 子女들은 그 와인을 사기 위해 돈을 모았다. 와인 審美主義自認 畫家는 最上의 와인을 받아 들고는 그 精誠에 感服한 나머지 그것을 決코 딸 수 없었다고 著書 ‘時間의 여울’에서 告白했다.

    로마네콩티는 地球上에서 가장 熱望받는 와인이다. 누구에게 물어도 오직 하나의 와인만을 꼽으라면 서슴없이 로마네콩티를 말한다. 그 맛의 特徵은 벨벳, 蠱惑, 미스터리로 要約된다. 緋緞결처럼 부드럽고 優雅한 質感이 무척이나 魅惑的이라서 都大體 이런 맛과 香의 根源이 무엇일까 하는 知的 好奇心을 誘發한다.

    로마네콩티는 地域이나 마을 이름을 와인 이름으로 삼는 부르고뉴의 平凡한 原則을 따르지 않는다. 代身 葡萄밭 이름을 와인 이름으로 쓴다. 마을 最高의 와인에만 適用되는 原則이다. 그래서 라벨에는 葡萄밭 이름이 標示된다. 로마네콩티, 그것은 바로 葡萄밭 이름이다.

    로마네콩티 vs 페트뤼스
    라 로마네 葡萄밭과 콩티 王子

    로마네콩티는 어떻게 생겼을까. 元來 ‘로마네’라는 葡萄밭이 있었고, 그 南쪽 上段 部分을 콩티란 사람이 사들여 그 區域 이름을 로마네콩티로 바꾸었다. 콩티는 콩티 王子(Prince de Conti·1717~1776)로, 프랑스 國王 루이 15歲의 長조카다. 그는 아버지가 일찍 死亡하고 열 살 나이에 王子 稱號를 얻어 以後 49年間 王子로 지냈다. 그 先祖의 故鄕인 콩티-쉬르-셀르(Conti-Sur-Selles)의 콩티를 따서 王子 稱號를 붙였다. 풀어쓰면 콩티 마을 出身의 王子인 것이다.



    루이 15歲의 愛妾으로 베르사유를 휘저었던 마담 퐁파두르는 콩티 王子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 絶對 權力을 貪한 그女에게 王의 長조카는 恒常 걸림돌이었을 것이다. 王子는 이 葡萄밭을 購買할 때 퐁파두르에게는 徹底하게 祕密로 했다. 事事件件 트집 잡는 그女가 무슨 떼를 쓸지 몰랐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結局 그女의 謀陷으로 콩티는 베르사유를 떠나게 되지만, 代身 그는 自身의 이름이 最高의 와인에 붙는 榮光을 누렸다. 1760年 王子는 當時 周邊 葡萄밭의 11倍에 該當하는 額數인 9萬2400리브르를 주고 이 葡萄밭을 사들였다. 葡萄밭을 購買한 情況은 美國 飮食 評論家 리처드 올네의 著書 ‘로마네콩티’에 詳細히 記述돼 있다.

    이 葡萄밭의 피노누아 品種은 1584年에 심었는데, 콩티 王子가 밭을 차지했을 때에도 그대로 維持됐고 以後 1945 빈티지까지 같은 葡萄로 양조돼 왔다. 16世紀의 葡萄가 20世紀 中盤까지 이어져왔다니 참 놀라운 일이다. 뿌리도 프랑스産, 줄기도 프랑스産으로, 卽 360年 동안 純粹 프랑스 土種 피노누아로 傳해 내려왔다. 그러나 王子의 食卓에 오른 로마네콩티는 오늘날과는 좀 달랐다. 그 當時에는 피노누아 外에도 피노블랑을 같이 심어 混合해 만들었다.

    1880年代부터 1910年代까지 氣勝을 부린 필록세라(葡萄뿌리 혹벌레) 影響으로 프랑스 葡萄밭 生態系는 根本的인 變化를 겪는다. 이때 葡萄나무 뿌리가 거의 시들어 죽었다. 작지만 生命力이 질긴 진드기에 由緖 깊은 葡萄밭들이 脈을 추지 못했다. 필록세라에 耐性이 있는 美國産 대목에 프랑스産 줄기를 접붙이는 方法이 唯一한 打開策이었다. 그러나 로마네콩티는 美國産 대목을 탐탁지 않게 여겼다. 代身 葡萄나무 繁殖의 方法을 달리하거나, 二酸化黃을 밭에 뿌려서 相當 期間 피노누아의 純粹性을 지켰다.

    그럼에도 필록세라를 이길 수 없었다. 結局 1946年 로마네콩티 釀造場도 白旗를 들고, 葡萄나무를 모조리 뽑아버리고 말았다. 그러니 1946年부터 1951年까지는 와인이 生産되지 못했다. 땅을 完全히 갈아엎고 이듬해인 1947年에 다시 葡萄를 심었다. 이렇게 해서 2008年 基準으로 로마네콩티의 나이는 거의 還甲이 된다.

    最初의 거라지 와인

    오늘날의 밭 面積은 王子가 살아 있던 時代 그대로다. 1.8헥타르( 135m2 內外의 面積)의 ‘손톱만한’ 밭에서 每年 平均 約 500箱子(6200甁)가 나온다. 거라지 와인(倉庫를 뜻하는 garage에서 온 말로 少量 生産 와인을 일컬음), 컬트 와인(崇拜의 뜻을 지닌 cult에서 온 말로 이 亦是 少量 生産된 高級 와인을 일컬음)이란 말은 1990年代 프랑스와 美國에서 생긴 新造語이지만, 따지고 보면 로마네콩티가 이들의 元祖다.

    로마네콩티의 生産量은 보르도의 샤토無痛로쉴드의 50分의 1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年平均 4000箱子를 甁入(甁入)하는 보르도의 最高價 와인 샤토 페트뤼스의 5分의 1밖에 되지 않는다. 그래서 로마네콩티를 最初의 거라지 와인, 最上의 컬트 와인이라고도 한다. 생테밀리옹의 撥亂드로(年間 約 1000箱子 生産), 라 몽도트(藥 800箱子 生産) 或은 美國 拿罷밸리의 스크리밍 이글(藥 600箱子 生産)보다 적다.

    로마네콩티 vs 페트뤼스

    高級와인 ‘페트뤼스’를 生産하는 張 피에르 무엑스 社長.

    로마네콩티의 와인 製造作業은 手作業 收穫, 極甚한 가지치기, 여름날의 열매 솎기 等을 통한 品質 向上이 特徵的이다. 2007年 6月 筆者가 로마네콩티를 찾았을 때 葡萄밭에서 일하는 젊은 일꾼을 보았다. 그는 나무 하나 하나를 살피며 꽃망울이 터진 송이의 個數를 세고 있었다. 季節이 가면 그中 相當 部分은 열매가 익기도 前에 잘려나간다. 남은 송이에 糖分이 集中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葡萄열매가 좋아야 와인이 좋다. 釀造場에서는 되도록이면 工程에 干涉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와인이 만들어지도록 한다. 自由放任型이라고 할까. 어찌 보면 하는 일이 거의 없을 程度로 내버려두는 것이 가장 까다롭지만 가장 效果 있는 일이다.

    그럼에도 로마네콩티만의 獨特한 釀造 方式은 있다. 이곳은 葡萄송이에서 葡萄알을 골라내지 않고 全體를 釀造桶에 집어넣는다. 그러면 가지에서 나오는 타닌을 確保할 수 있다. 로마네콩티는 品質이 좋지 않은 송이를 골라내기 위해 오래前부터 컨베이어 벨트를 使用했다.

    釀造場에 따라서 或은 빈티지에 따라서 어떤 境遇에는, 卽 葡萄알의 타닌이 充分하다면 가지를 除去하고 알만 골라 발효시키기도 한다. 發效 後에는 통 바닥에 沈澱된 酵母 찌꺼기를 完全히 除去하지 않는다. 한 番 程度만 빼내고 그대로 둔다. 그러면 酵母 찌꺼기에서 비롯되는 아로마와 맛의 힘을 얻을 수 있다. 맑은 와인을 얻기 위해 濾過作業은 遂行하지 않지만, 달걀 흰자로 精製 作業을 한다. 오크桶을 製作하는 것도 남다르다. 오크 널빤지는 3年 동안 乾燥해 使用한다. 와인에 過度한 오크 香臭가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로마네콩티 vs 페트뤼스

    프랑스 보르도 地域의 한 葡萄밭. 뒤쪽에 지롱드 江이 보인다.

    로마네콩티에 쏠리는 關心은 事實 作名 方法 或은 釀造 特徵에 있지 않다. 바로 價格에 있다. 世界에서 가장 비싼 와인이 로마네콩티다. 價格이 비싼 理由는 于先 供給을 휠씬 뛰어넘는 需要에 있다. 한때 코스닥에 벤처 烈風이 불었다. 어떤 投資者들은 벤처 株式 買入보다는 公募株에 期待를 걸었다. 小規模 會社의 企業 公開에 數兆원이 몰리는 일도 茶飯事였다. 競爭率이 數百 對 일에 이르니 고작 몇 週를 받는 境遇도 있었다. 로마네콩티度 마찬가지다. 每年 數千 甁을 甁入할 뿐인데, 全世界 와인 仲介商들이 서로 사겠다고 아우聲이니 價格이 오르는 것은 當然하다. 競爭이 熾烈한 發行市場人 셈이다.

    甁當 600萬원 高架 와인

    둘째 理由는 流通市場에서조차 賣物을 發見하기 힘들다는 事實이다. 一般的으로 投資 等級 와인을 購買한 愛好家들은 一部는 消費하고 一部는 競賣場에 내다 팔지만, 로마네콩티는 그렇지 않다. 少量이다 보니 再販賣보다는 直接 飮用을 目的으로 한다. 결론적으로 發行市場에서 限껏 부푼 價格은 賣物 部族이란 魅力을 지니고 流通市場에서 다시 天井不知로 上昇한다.

    로마네콩티는 와인의 至尊으로 日本 漫畫 ‘神의 물방울’의 素材이기도 하다. 그 作家는 偶然히 接한 그 와인 한 盞으로 審美眼이 생긴 것일까. 그는 누이와 함께 眞摯한 作品 探究의 길로 들어섰다. 이를 통해 프랑스人조차 흥미롭게 읽을 漫畫를 製作했다. 와인 愛好家들이 넘치는 日本에서도 亦是 로마네콩티는 꿈의 와인이다.

    大部分의 와인은 빈티지에 따라 喜悲가 交叉한다. 좋은 빈티지는 맛도 좋다. 價格이 비싸도 그 맛을 보려는 欲求로 인해 人氣가 높다. 하지만 빈티지가 좋지 않으면 人氣도 같이 시들해진다. 勿論 價格도 내린다. 그러나 로마네콩티는 例外다. 重力의 法則에서 벗어나 있는 物件이 있을 理 萬無하지만, 로마네콩티만큼은 全혀 새로운 世上에 있는 存在 같다. 이처럼 貴한 로마네콩티가 30年 程度 잘 익으면 日本에서는 ‘神主(神酒)’라고 表現하며 이 世上 最高의 와인으로 認定한다. 神主라, 얼마나 貴해 또 얼마나 대단해서 그 말을 쓴단 말인가.

    一般人이 로마네콩티를 만나는 唯一한 方法은 競賣場에 가는 것이다. 2006年 맨해튼에서의 일이다. 1999 빈티지 36甁이 다양한 容器에 담겨서 出品됐다. 落札價는 21萬1500달러. 甁當 約 600萬원이었다. 하지만 國內 狀況은 사뭇 다르다. 2005年 조선호텔에서 열린 아트옥션 와인競賣에 로마네콩티 1999年産 1甁이 出品됐다. 350萬원부터 入札을 받았다. 周圍가 좀 騷亂해지면서 ‘너무 비싸다’는 말이 들리기도 했다. 只今 생각해보면 터무니없이 낮은 價格이다. 로마네콩티 한 甁이, 그것도 世紀의 빈티지라 할 만한 게 350萬원에 그쳤으니 놀랄 일이 아닐 수 없다.

    葡萄밭의 巡禮者들

    그러나 競賣에 臨한 應札者들은 이런 事實을 잘 몰랐던 것 같다. 入札 競爭은 시시했고, 結局 로마네콩티는 370萬원을 提示한 中年의 紳士 품으로 날아갔다. 와인 情報가 들쑥날쑥한 서울에서 가끔 있는 이런 해프닝은 눈 밝은 愛好家들에게는 橫財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지난 11月 海外뉴스에서는 2005年 로마네콩티 한 甁이 2萬유로의 價格表를 붙이고 有名 와인가게에 陳列되어 있다는 記事가 나왔다. 엄청난 富를 거머쥔 中國人들이 뒤늦게 와인에 눈을 떠서 特定 와인의 價格을 터무니없이 올려놓곤 한다.

    로마네콩티 vs 페트뤼스

    갤러리아百貨店 名品館의 와인숍 에노데카를 찾은 顧客들이 샤토 페트뤼스(1945年産)와 샤토 무통 로쉴드(1945年)를 구경하고 있다.

    2004年까지만 해도 서울에서 로마네콩티 求하기란 그리 힘든 일이 아니었다. 勿論 돈만 있다면. 그러나 이젠 돈이 있다고 해도 求할 수 없다. 先見之明이 있는 愛好家들로 이미 購入 豫約者 名單이 꽉 찼다. 그들은 로마네콩티 한 甁을 얻기 위해 다른 種類의 와인 열한 病을 負擔 없이 함께 購入한다.

    葡萄밭의 區分이 그리 분명하지 않은 부르고뉴에서 로마네콩티 찾기는 식은 粥 먹기다. 본-로마네 마을 뒷山으로 이어지는 傾斜길을 조금만 걸으면 十字架를 만난다. 높이 솟아 있어 멀리서도 보인다. 그 十字架 왼便이 로마네콩티다. 비 오는 날에도 그 近處엔 恒常 旅行者들이 몰려 있다. 十字架 周邊에 서서 葡萄밭을 뚫어져라 쳐다보는 各樣各色의 旅行者들은 自由服裝으로 길을 떠난 巡禮者 같다. 그들은 聖地에 온 양 조용히 속삭이며 예순을 바라보는 나무와 땅을 마냥 바라보고 있다.

    프랑스 와인의 兩大 山脈 부르고뉴와 보르도는 各其 다른 歷史와 傳統에 基盤을 둔 特徵的인 와인을 많이 保有하고 있다. 로마네콩티가 부르고뉴를 代表한다면 페트뤼스(Chateau Petrus)는 보르도를 代表한다. 修道士들에 依해 맛의 源泉이 밝혀진 以後 오늘날 와인 審美主義者들의 食卓에까지 오른 로마네콩티는 어떠한 不況에도 끄떡하지 않는 와인이다. 페트뤼스는 由緖 깊은 보르도에서도 歷史나 傳統이 全혀 받쳐주지 않는 無名 샤토였으나, 完璧主義를 追求하는 釀造場 管理人에 依해 오늘날 盛大한 잔치의 主人公 와인이 되었다. 特히 1945年에 生産된 페트뤼스는 와인 評論家 ‘로버트 파커’가 97~100點을 준 와인으로 價値 및 稀少性이 더욱 높다.

    英國 엘리자베스 女王 婚事에 登場해 喝采를 받은 페트뤼스는 케네디 家門의 行事에도 자주 쓰여 大西洋을 넘나들며 큰 사랑을 받고 있다. 1945年 以前까지는 無名의 釀造場이었던 페트뤼스는 이제 보르도에서 最高로 빛나는 寶石 같은 存在가 됐다.

    보르도의 帝王, 페트뤼스

    興味롭게도 페트뤼스는 보르도 와인이지만 보르도答紙 않다. 卽 여느 보르도 와인처럼 여러 品種을 混合해 만드는 傳統的인 釀造方法을 쓰지 않고 代身 부르고뉴처럼 單一 品種으로 와인을 만든다. 페트뤼스는 보르도 釀造 特性을 따르지 않으면서도 보르도를 代表하는 逆說的인 와인이다. 메를로만으로 釀造했는데도 어찌 그리 와인이 힘찬지 마시는 사람마다 놀란다. 特히 빈티지가 좋은 境遇의 페트뤼스는 數十年 以上을 熟成하면서 올곧은 質感 속에 감추어진 단단한 속을 드러내며 愛好家들의 마음을 흔들어댄다.

    길을 나서 샤토 페트뤼스를 찾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보르도의 젖줄기 지롱드 江의 오른便에 자리잡은 마을인 포므롤에서 比較的 쉽게 눈에 띈다. 흰色 바탕의 建築物인데다, 멀리서도 알아볼 수 있을 만큼 이름을 크게 새겼기 때문이다. 江 오른便 出身이란 뜻을 지닌 무엑스(Moueix)를 姓(姓)으로 쓰는 一家가 現在 페트뤼스를 經營하고 있다. 보르도에서 가장 작은 規模의 原産地인 포므롤은 바로 이 페트뤼스 때문에 決코 無視할 수 없는 ‘작은 巨人’이다.

    이곳 主人인 張 피에르 무엑스는 부지런한 세일즈맨이었다. 페트뤼스를 실은 수레를 끌고 이 마을 저 마을, 더 멀리는 보르도 구석구석을 누비며 와인을 팔았다. 그는 성실함과 完璧한 品質을 追求한 德分에 後날 샤토의 持分을 거머쥐었다. 그가 世上을 뜨고는 페트뤼스의 生産과 流通은 두 아들이 맡았다. 全世界를 돌면서 페트뤼스의 이름을 알리고 있는 크리스티앙은 流通을 맡고 있다. 最近에는 크리스티앙의 아들 에두아르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로마네콩티 家族은 韓國에 한 番도 오지 않았지만 페트뤼스 家族은 여러 次例 訪韓했다.

    페트뤼스는 英語 피터(Peter)에 該當하는데, 聖經에 나오는 베드로와 같은 이름이다. 예수의 열두 弟子 가운데 首弟子로 꼽히는 베드로가 이 와인의 라벨에서 오른손으로 열쇠를 쥐고 있다. 그 열쇠는 天國의 열쇠를 象徵한다. 노란 바탕에 붉은 글씨로 쓰인 페트뤼스는 그 안에 最高 와인의 祕密이 담겨 있다는 메시지로 읽힌다.

    페트뤼스의 祕密은 其實 葡萄밭에 있다. 마을 大部分이 자갈이나 모래 土壤인 데 反해, 페트뤼스는 진흙으로 된 단춧구멍 같은 表土層이 特徵이며, 그 아래에 자갈 土壤이 자리 잡고 있다. 또 그 아래에는 鐵分이 豐富한 土壤層이 形成되어 있다. 總體的으로 倍數에 能한 構造다. 鐵分 含有量이 높은 土壤이라 色이 검어 자갈과 모래가 表面을 이룬 隣近 葡萄밭과 區別된다.

    사랑하지 않을 수 없는 와인

    페트뤼스 葡萄밭도 由緖 깊다. 어떤 카베르네프랑의 守令은 80年이 넘는다. 1956年 포므롤을 휩쓴 冷害로 많은 葡萄밭에서 葡萄나무가 뽑혀나갔지만, 페트뤼스 葡萄밭에서는 추위를 이겨낸 나무들을 남겨두었다. 이것이 오늘날 깊게 뿌리박은 메를로의 맛을 孕胎했다. 葡萄밭 面積은 10.9헥타르인데, 이는 로마네콩티의 5倍에 該當한다. 부르고뉴 基準으로는 넓을지 몰라도, 보르도에서는 雅淡한 釀造場이다.

    葡萄밭의 95% 面積에는 메를로가 자라고 있고, 나머지는 카베르네프랑이다. 그러나 카베르네프랑은 1960年代 以後 釀造에 잘 쓰이지 않는다. 葡萄나무가 氣力이 衰하면 나무 대 나무로 交替하는 方式이 있고, 一定 區域의 힘 빠진 나무를 모두 한꺼번에 바꾸는 方式이 있는데, 페트뤼스에서는 後者를 擇하고 있다.

    페트뤼스 釀造場의 特徵을 한마디로 하자면 完璧主義日 것이다. 面積當 收穫量이 적어 여느 釀造場의 折半에도 못 미친다. 크리스티앙이 責任을 맡은 後부터 所出量 統制에 더 힘을 썼다. 튼實한 葡萄알을 얻기 위해 미리 송이 크기를 制限하는 方法이다. 여름에 葡萄가 여물기 前에 송이의 一部를 잘라내며, 가을에 익어가는 동안에도 부지런히 葡萄밭을 오가며 송이 크기를 살핀다. 빈티지가 좋은 境遇라면 좀 다르지만, 빈티지가 좋지 않다면 所出 制限은 品質 確保의 唯一한 方法이다.

    葡萄가 골고루 다 잘 익지 못하는 結果를 빈티지가 좋지 않다고 말한다. 빈티지가 좋지 못할 때 生産量은 줄어든다. 잘 익은 걸로만 골라야 하기 때문이다. 2002年이 그랬다. 日照量이 充分하지 못해 品質이 좀 떨어졌다. 빈티지가 좋으면 5萬甁 程度 生産하는데 그해에는 2萬甁 程度밖에는 甁에 담지 못했다. 葡萄의 品質이 極히 나빴던 1991年에는 아예 페트뤼스를 生産하지 않았다. 葡萄 品質에 對한 完璧主義의 한 例다.

    페트뤼스는 單番에 확 사로잡는 입맛이 斷然 一品이다. 映畫 ‘머큐리’에서 主人公 브루스 윌리스가 페트뤼스 甁을 들고 喇叭을 불며 마시는 場面이 나오는데, 그 亦是 確實하고 强力한 입맛을 잘 表現한 것 아닐까. 단단한 타닌의 構造가 어찌 그리 剛한지 모르겠다. 아주 男性的이며 힘찬 氣像이 느껴진다. 하지만 香氣 속에 감춰진 妙한 나무 냄새는 페트뤼스만의 個性이라 하겠다. 이런 方向은 로마네콩티에서도 풍긴다. 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찬 森林에 들어섰을 때 나는 나무 냄새 같은 植物性 香氣가 있다. 그것이 强하지는 않아 淸楚하고 優雅한 東洋蘭을 聯想하게 만든다. 純潔하고 端雅한, 自然스러운 香내는 100% 純宗만이 孕胎할 수 있는 性質이다. 사랑하지 않을 수 없는 와인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