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이제 무엇으로 먹고살까?|신동아

우리 이제 무엇으로 먹고살까?

  • 金賢美│東亞日報 出版팀長 khmzip@donga.com

    入力 2009-01-02 16:53: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우리 이제 무엇으로 먹고살까?

    ‘製造業이 나라를 살린다’<br>에몬 핑글턴 지음/ 안춘식 옮김/ 知識旅行/ 326쪽/ 1萬2500원

    人間은 物件이 아니야. 會社는 社員을 위해 있는 거야.” 人間 中心 유토피아 經營神話를 만든 日本 미라이工業 創業主 야마다 아키오氏가 最近 韓國 言論과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資本主義는 하나도 바뀐 게 없어. 物件을 만들어 돈을 버는 資本主義의 基本은. 美國이 잘못한 것은 金融注意랄까. 正確히 말하면 디리버티브(derivertives·派生金融商品)가 失敗한 것이겠지. 돈을 움직이면 돈을 벌 수 있다는 資本主義.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줘서 집을 만들게 하고, 빌려준 돈을 證券化해서 反復해서 팔고 팔아 돈을 번다는 것. 아메리카 式으론 이것도 資本主義라 할 수 있을지 몰라도 普通 우리가 말하는 資本主義란 物件을 만들어 돈을 버는 것이지. 本來의 資本主義로 다시 돌아가야 하지만 아직 멀었어. 돈으로 石油를 사고, 옥수수를 사고, 밀가루를 사고. 如前히 돈을 움직여 돈을 벌려고 하는 버릇은 고쳐지질 않았어.”(조선일보, 2008.10.11)

    야마다 社長이 ‘머니게임’을 批判하는 理由는 簡單했다. 땀을 흘리지 않으니까. 이 대목을 읽는 瞬間 한 卷의 冊이 떠올랐다. 에몬 핑글턴 ‘製造業이 나라를 살린다(In Praise of Hard Indu- stries)’. 韓國語 初版 發行日이 2000年 10月. 原書 出刊은 1999年이다. 벌써 10年 前 冊이다.

    經濟 칼럼니스트인 에몬 핑글턴이 이 冊을 쓸 즈음 美國은 ‘脫工業化’의 薔薇빛 未來에 歡呼하고 있었다. 例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MS)와 같은 企業은 눈부신 成功을 거듭했다. 1998年 下半期 MS의 株式 評價額은 3254億달러로 印度 國民總生産에 匹敵하는 規模였다. 美國의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全世界 어린이들이 美國 大統領의 이름은 記憶하지 못해도 빌 게이츠는 알고 있다.

    1990年부터 1996年까지 7年間 美國 소프트웨어産業은 年 12.5%라는 높은 成長率을 보였다. 같은 時期 美國 經濟成長率의 2.5倍에 該當한다. 또한 이 무렵 소프트웨어業界 從事者들의 平均 年俸은 5萬7300달러. 이는 當時 美國 勞動者 平均年俸 2萬7900달러보다 2倍 以上 많다. 이러한 雰圍氣 속에서 매스컴들도 一齊히 世界를 繁榮으로 이끌어가는 것은 製造業이 아니라 컴퓨터·소프트웨어나 娛樂·金融과 같은 情報産業이라고 禮讚했다. 이처럼 可視的인 成果에도 핑글턴은 脫工業化에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陷穽이 있다고 말한다.



    1. 雇傭 밸런스가 나쁘다 2. 所得 腎臟이 鈍하다 3. 輸出競爭力이 弱하다.

    都大體 무슨 말일까. 다시 MS社의 例로 돌아가보자. 情報産業을 主導하는 MS의 成功모델은 누구에게나 適用될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 이 會社가 急激히 成長할 수 있었던 要因은 컴퓨터 OS의 標準을 獨占하고 있다는 것이다. 핑글턴은 1980年代까지 이 分野를 主導한 것이 IBM이라면 業界의 主導權을 引受받은 MS는 ‘紙幣를 印刷할 權利’를 얻은 것과 같다고 했다. 이는 다른 소프트웨어社들은 그런 特權을 누릴 수 없다는 말과 같다.

    또한 1997年 當時 MS의 美國 內 從業員 數는 1萬5000名. 포드사의 20分의 1에 不過하다. 勞動市場에서의 貢獻度가 떨어진다는 意味다. 더욱이 소프트웨어産業은 代表的인 頭腦集約型 産業으로 最高 人材만을 必要로 한다. 經濟 情報化가 進展됨에 따라 美國 前 勞動人口의 20%가 事實上 雇傭을 잃게 된다는 展望도 있다.

    脫工業化의 물결 그 以後

    이처럼 脫工業化의 過程에서 많은 勞動者가 犧牲되더라도 代身 國民所得은 上昇한다는 데 期待를 걸었다. 하지만 統計는 正確히 反對 結果를 보여준다. 1980年부터 1996年까지 16年間 OECD 加入 26個國의 國民所得 伸張率을 比較하면 韓國, 日本, 獨逸, 스페인, 아일랜드처럼 製造業을 强化해온 國家들이 例外 없이 美國(國民所得 伸張率 134%, 13位)을 앞섰다. 反對로 美國과 같이 熱心히 脫工業化를 進行시킨 나라들, 代表的으로 英國은 같은 期間 國民所得 伸張率이 106%로26개국 中 21番째였고, 비슷한 處地의 캐나다는 81%로 萬年 最下位인 멕시코에 이어 밑에서 둘째 成跡을 記錄했다.

    脫工業化의 셋째 艦艇은 貿易收支 惡化다. 여기서도 世界에서 가장 잘나가는 企業 MS社를 例로 든다. 이 會社는 1996年 總 賣上의 60% 以上을 海外에서 올렸지만 輸出實績은 總 賣上의 25%에 不過했다. 이 말은 海外 賣上의 半 以上은 輸出이 아니라 海外 子會社에서 나온 것으로, 大部分 그 地域에서 消費되며 實際 美國으로 流入되는 額數가 매우 작음을 의미한다. MS 總 從業員 數의 32%는 海外 子會社에서 勤務한다. 卽, 美國 內 雇傭創出이나 貿易收支 貢獻度는 期待에 미치지 못한다.

    巨大化된 寄生物 金融

    脫工業化産業 가운데에서도 핑글턴이 가장 批判的으로 바라보는 것은 金融産業이다. 그는 美國 金融市場을 ‘巨大化된 寄生物’이라고 했다. 金融 部分 中에서도 成長率이 높은 分野의 大部分이 一般 國民의 利益이라는 觀點에서 보면 全혀 生産的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有害하다는 것이다. 오늘날 美國發 金融危機의 原因을 따져보면 正確한 豫測이 아닐 수 없다.

    많은 經濟學者가 자유로운 金融市場이 效率的이고 金融資産의 價値를 보다 正確하게 反映한다고 믿어왔다. 資本이 가장 알맞은 投資處로 흘러들어가 最大의 經濟成長率을 이룩한다는 論理. 그러나 結果는 金融市場의 自由化가 進展될수록 市場은 不安定해지고 資産價値에 對한 評價도 合理性을 잃고 있다.

    例를 들어 1987年 10月19日 뉴욕 株式市場 大暴落(블랙 먼데이) 때 株價는 한 番에 22.6%나 急落했다. 萬一 株價가 企業의 未來 業績에 對한 妥當한 輿論을 反映하는 것이라면 이와 같은 株價의 急激한 變動은 일어나지 않았어야 한다. 株價 暴落 當日 美國 經濟界의 將來에 深刻한 問題로 豫測되는 實物經濟上의 事件은 없었기 때문이다. 株價 暴落을 가져온 것은 非理性的인 集團心理다.

    換率의 움직임도 合理性으로는 說明하기 힘들 만큼 널을 뛴다. 經濟學에서 換率을 決定하는 基本 要因은 各各의 貿易商品에 關한 各國의 比較競爭力이다. 國家 競爭力의 差異는 一般的으로 몇 年에 걸쳐 조금씩 變化하기 때문에 엔貨나 달러貨 같은 通貨의 換率은 1年에 기껏해야 몇 퍼센트 以內의 작은 幅으로 變動해야 한다. 하지만 1995年과 1998年 엔貨에 對한 달러貨의 價値가 한番에 80%나 뛰어오르는가 하면, 2個月도 채 안 돼 달러貨에 對한 엔貨의 價値가 30% 以上 急上昇하는 일이 벌어졌다.

    또한 經濟學者들의 期待와는 달리 外國換 市勢가 實物經濟와 一致하지 않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美國 經濟 沈滯期에 外國換市場에서 달러 價値가 크게 上昇하기도 하고, 日本 經濟의 成長率이 低調할 때 急速한 엔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反對로 日本이 主要 先進國 中에서 最大 成長率을 記錄한 1996年에 엔貨는 달러貨에 對해 9% 以上 下落했다.

    핑글턴은 外國換市場에서 이러한 暴騰과 暴落은 外國換 딜러에게 職場을 提供해주는 것 以外에는 거의 아무런 意味가 없다고 말한다. 더욱이 社會 全體的으로 보면 두 가지 마이너스 效果가 있다고 指摘했다. 하나는 優秀한 頭腦를 가진 딜러의 才能이 浪費되고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換率의 上昇과 下落은 將來를 豫測하여 長期的인 經營方針을 세우려는 企業 總帥에게 豫期치 못한 危險을 가져다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結局 누구를 위한 金融去來인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非難의 화살은 애널리스트 等 高賃金 金融 專門家들에게로 向한다. 월街의 金融 애널리스트가 特定 株式에 對해 肯定的으로 評價하면 機關投資家들은 앞 다퉈 그 株式을 買入하고, 몇 個月 後 그 株式에 對해 冷淡한 態度를 取하면 機關投資家들은 一齊히 그 株式을 내다판다.

    金融界는 끊임없이 새로운 商品을 開發하여 一般投資者들을 끌어모으고 높은 手數料를 支給하게 한다. 그럼에도 이들이 거둔 實績은 초라하기만 하다. 한 調査에서 1986年부터 1995年까지 10年 동안 여러 投資信託의 年間 利益率은 株價指數를 1.8%나 밑돌았다는 結果가 나왔다. 하나마나한 投資를 위해 投資信託會社는 높은 給料를 支給하고 포트폴리오 매니저를 雇用하여 平均 株價 以上의 利益을 올릴 것으로 豫想되는 優良株를 찾아내는 作業에 投入했다. 投資信託會社는 年間 預置資産 殘高의 約 1.7%라는 巨額의 運用費用을 쓰면서도 結局 제로 섬 게임을 한 셈이다.

    적어도 製造業은 正直하다

    10年 前 이런 指摘을 다시 꺼내 보며 무릎을 치는 것은 ‘소 잃고 외양間 고치는’ 格인지도 모른다. 또한 이 冊이 提示하는 것처럼 脫工業化産業이 아니라 資本集約的인 하이테크 製造業이 未來의 成長動力이라는 데 異見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야마다 會長의 말대로 적어도 ‘物件을 만들어 돈을 버는’ 製造業은 正直하다. 돈이 돈을 버는 虛像의 商品을 만들어 팔지는 않기 때문에다. 이 冊은 全世界가 ‘머니게임’에 휩쓸리는 동안 잃어버린 價値가 무엇인지 돌아보게 한다. 美國의 經濟 칼럼니스트 마이클 루이스가 쓴 ‘라이어스 포커’(위즈덤하우스, 2006)에는 이런 말이 적혀 있다.

    “내 아버지 世代는 確固한 믿음으로 成長했다. 그 믿음 中 하나는 이런 것이다. ‘한 사람이 벌어들이는 돈은 大體로 그 사람이 우리 社會의 福祉와 繁榮에 寄與한 水準에 比例한다.’ 그런데 아버지는 入社 2年次가 22萬5000달러를 받는 것을 보면서 돈에 對한 當身의 信念이 흔들릴 수밖에 없었다.”

    世上에 寄與하면서 돈을 벌 수 있는 일을 찾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다음 世代에게 가르쳐야 할 眞正한 資本主義가 아닐까.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