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男性 ‘아야’· 女性 ‘엉엉’, 理由가 있다|신동아

男性 ‘아야’· 女性 ‘엉엉’, 理由가 있다

  • 이현경 동아사이언스 記者 uneasy75@donga.com

    入力 2005-08-25 11:31: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남성 ‘아야’· 여성 ‘엉엉’, 이유가 있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 MBC 드라마 ‘茶母’에서 視聽者의 心琴을 울렸던 從事官의 名臺詞다.

    하지만 最近 硏究 結果에 따르면 從事官은 多少 ‘오버’한 것으로 보인다. 男性과 女性이 똑같이 “아프다”고 말할 때 그 苦痛은 서로 다르기 때문.

    于先 苦痛의 頻度. 專門家들은 女性이 男性에 비해 實際로 痛症을 느끼는 回數가 더 많다고 指摘한다. 偏頭痛이 代表的인 事例다. 女性은 男性보다 3倍假量 자주 偏頭痛을 呼訴한다.

    苦痛의 强度는 어떨까. 사내아이는 넘어지면 입술을 실룩거리는 程度지만 같은 狀況에서 女子아이는 울음을 터뜨린다. TV 드라마에서 자주 보는 場面이다. 女子아이가 弱한 척 엄살을 부리는 것이라고? 아니다. 實際로 女子아이는 男子아이보다 더 큰 痛症을 느낀다. 痛症에서만큼은 ‘剛한 男性, 弱한 女性’의 關係가 成立한다.

    男女의 苦痛이 다른 理由는 뭘까. 腦에서 痛症을 處理하는 回路가 서로 다르다는 것이 專門家들의 說明이다. 이 때문에 男女에 따라 鎭痛劑의 ‘藥발’도 다르다. 例를 들어 産苦(産苦)와 싸우는 産母에게는 鎭痛劑로 날파인이 더 效果的이다. 하지만 男性에게는 모르핀이 效果가 더 좋다.



    男女가 痛症에 反應하는 메커니즘이 다르기 때문에 苦痛을 느끼는 程度가 다르다는 主張도 있다. 英國 바스대 에드 커프 敎授팀은 男女의 팔을 얼음물에 담그게 한 뒤 맨 처음 痛症을 느끼는 時點과 더는 참을 수 없을 만큼 痛症을 느끼는 時點을 各各 測定했다.

    그 結果 女性은 ‘지레 겁먹기’ 때문에 더 일찍, 더 자주 고통스러워한다는 事實이 밝혀졌다. 차가운 얼음물에 오랫동안 팔을 담그면 아플 것이라는 恐怖나 두려움 같은 感情이 고스란히 痛症으로 이어진 것. 反面 男性은 實際로 팔에 느껴지는 感覺에만 忠實했다.

    男性이 女性보다 苦痛에 더 잘 견디도록 鎭火한 理由는 아직까지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다만 痛症을, 우리 몸이 스스로 自身을 保護하기 위해 내보내는 危險信號로 볼 때 이런 解釋은 可能하다. 男性은 女性보다 싸우고 다칠 可能性이 많기 때문에 苦痛에 더 무뎌야 유리하다는 것.

    한便 女性은 痛症을 더 자주 더 크게 느끼는 만큼 自己 몸을 더 돌보게 되고, 그 德分에 男性보다 平均壽命이 길다는 解釋도 可能하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