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면 생각|新東亞

라면 생각

  • 入力 2005-06-30 11:32: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라면 생각
    週末午後 ‘飢餓 體驗’이라는 TV 프로그램을 보고 있자니 불현듯 라면 생각이 났다. 飢餓까지는 아니지만 먹을거리가 턱없이 不足하던 어린 時節, 라면은 끼니를 때우던 第2의 쌀이었다. 저물녘, 집으로 가는 길목에서 라면 서너 個씩을 옆구리에 끼고 돌아오던 親舊들을 만나곤 했다.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는 집이 우리집만이 아니었다. 只今은 부엌 饌欌에 라면 서너 個씩 놓아두지 않은 집이 없지만 예전에는 그런 餘裕도 없었다. 사들고 가는 라면 個數를 보면 자연스럽게 그 집 食口數도 가늠되던 時節이었다.

    입 하나 줄여도 시원찮은데 그 무렵 우리집은 그야말로 軍食口들로 넘쳐났다. 慶尙道와 忠淸道에서 서울로 올라온 四寸들이 運轉을 배우고 機械를 다루는 技術을 익힐 동안 우리집에 寄宿했다. 서울이란 낯선 곳에서 그들에게 비빌 언덕이란 우리집밖에 없었다. 우리집은 비록 邊두리이기는 하지만 서울에 있는 마당 딸린 번듯한 집으로 아버지 名義였다. 어머니와 아버지 쪽 四寸들은 서로 一面識이 없었지만 같은 房을 썼다. 말套는 勿論 性格도 다르니 한 房을 쓰기가 便치 않았을 것이다. 그러던 四寸들이 어느 날부터 불쑥불쑥 相對便 사투리를 내뱉어 사람들을 웃겼다.

    아버지의 薄俸으로 軍食口들 입까지 堪當하긴 어려웠다. 밥床에 밥보다 라면이 올라오는 回數가 많아졌다. 때마침 國家 政策으로 混粉食(混粉食)李 奬勵되던 참이었다. 밀가루 飮食을 먹으면 西洋 사람처럼 키가 큰다는 말이 돌았다. 우리집은 낱個 包裝된 라면을 사지 않았다. 다섯 個가 한 묶음인 德用 包裝의 라면을 한 끼에 두 封紙나 끓였다. 냄비에 물이 끓기를 기다리는 동안 石油 곤로 옆에 앉은 어머니는 열 封紙의 라면을 一一이 半으로 분질러 놓았는데 그 量이 만만치 않았다.

    여름이면 石油 곤로에 끓이지만 겨울이면 煉炭불에 끓였다. 라면 열 個를 끓일 수 있는 커다란 알루미늄 냄비가 집에 있었다. 直徑이 길어 아궁이에 겨우 들어맞던 그 냄비는 아파트로 移徙 오던 어느 해에 어머니가 未練 없이 버렸다.

    火力이 세지 않아 煉炭불에 올려놓은 라면은 한쪽에서는 삶아지면서 한쪽에서는 佛語터지기 始作했다. 밥床에 올라오면 라면의 特色인 꼬불꼬불한 麵발은 거의 풀어져 있었다. 大廳 마루 가득 앉아 김치 하나를 飯饌으로 뜨거운 라면발을 후루룩거리던 얼굴 검은 四寸들의 모습이 떠오른다.



    中學生이 되어서도 如前히 내 곁에는 라면이 있었다. 學校 賣店의 라면 맛은 特異했다. 注文을 받고 一一이 끓여낼 時間이 없었기에 面을 미리 삶아뒀다가 손님에게 낼 때 따로 끓여둔 라면 국물을 부어줬다. ‘스프’를 같이 넣고 끓이는 라면 맛과 대번에 差異가 났는데, 아직도 나는 가끔 이런 方法으로 라면을 끓여 먹는다. 麵발에서 우러나는 기름氣를 버리기 때문에 느끼한 맛이 줄어든다. 라면 한 그릇에 여러 名의 女學生이 달라붙었다. 머리를 박고 허겁지겁 라면을 먹었다. 꼬불꼬불한 麵발을 입으로 빨아들이다가 하얀 校服에 라면 국물이 튀는 일이 茶飯事였다.

    꼬불꼬불한 麵발은 라면의 特性이다. 곱슬곱슬하게 파마한 머리를 보고 아이들이 ‘라면 머리’라고 불렀다. 라면 生産 過程에서 라면을 날라주는 컨베이어의 速度를 라면이 나오는 速度보다 느리게 하면 가닥이 꼬불꼬불 위로 겹쳐 올라간다고 한다. 이렇게 麵발을 꼬불거리게 만드는 데는 理由가 있다. 于先 부피가 줄어 包裝하기에 便利하다. 營養價를 높이면서 流通 期間을 늘리려면 튀김 工程에서 빠른 時間에 기름을 많이 吸收해 튀겨야 하는데 꼬불꼬불한 麵의 빈틈으로 水分이 재빨리 蒸發한다. 또한 그 틈으로 뜨거운 물이 스며들어 條理 時間을 짧게 해주는 效果도 있다.

    나는 우리 學校 賣店 라면을 좋아했다. 한눈에도 눈이 어두워 보이는 할머니 한 분이 늘 라면을 끓여내셨는데, 어느 날부터인가 賣店을 둘러싼 괴괴한 所聞이 돌았다. 라면과 함께 人氣 메뉴이던 오징어 튀김을 만들면서 할머니가 오징어 다리를 튀긴다는 것이 그만 눈이 어두워 쥐꼬리를 튀겼다나 어쨌다나. 이런 根據 없는 所聞도 라면 人氣를 사그라들게 하지는 못했다.

    그 무렵 汝矣島廣場으로 롤러스케이트나 自轉車를 타러 다니던 아이들 사이에서 ‘컵라면’이라는 말이 나오기 始作했다. 뜨거운 물만 부으면 바로 익혀 먹을 수 있다는 컵라면을 나는 高等學校에 들어와 맛을 보았다. 그때는 라면 勇氣가 컵이 아닌 沙鉢 模樣으로 나와 ‘沙鉢麵’이라고 불렀다. 通學 時間만 往復 세 時間이 걸리던 學校까지 오면 點心時間이 채 되기도 前에 배가 고팠다. 賣店에 備置된 保溫桶의 물은 늘 미지근했다. 그 물에 라면이 익기를 기다리다가는 授業 始作鐘이 울리기 일쑤였다. 설익은 라면맛을 혀가 記憶하고 있다. 라면은 麵발도 重要하지만 亦是 국물맛과 냄새가 한몫을 한다고 생각한다.

    1980年代 後半, 이른바 라면 우지(牛脂) 波動으로 나라 안이 들썩였다. 라면을 튀기는 기름으로 工業用 쇠기름을 使用했다는 匿名의 投書가 날아들면서 일어난 일이었다. 그 때문에 1963年 처음 라면 市場에 뛰어들어 乘勝長驅하던 라면 會社는 以後 不振을 면치 못했다. 오랜 時間이 지나 그 會社의 無罪가 밝혀졌지만 이미 다른 會社에 市場의 主導權을 내준 뒤였다. 그리고 언제부턴가 라면은 半으로 부러뜨려 끓이지 않아도 되었다.

    라면의 援助國이라는 日本에 到着해서 가장 먼저 찾은 곳이 라면집이었다. 삿포로, 오사카, 도쿄의 라면집에서 ‘라멘’을 맛보는 동안 ‘亦是 라면은 우리 라면이 第一’이라는 생각을 했다. 日本의 젊은이들에게 우리 라면이 人氣가 있어 슈퍼마켓에서 심심찮게 그것을 볼 수 있다. 非常用으로 가지고 간 라면 한 封紙를 유스호스텔에서 만난 日本人에게 膳物하기도 했다.

    어머니는 그때 생각은 하기도 싫다고 한다. 이집 저집 다 處地가 어렵던 터라 子息을 맡기면서도 親戚들은 쌀은커녕 돈 한 푼 보태주지 않았다. 어머니 허리만 휘었다. 우리집을 거쳐 간 四寸들은 여기저기로 흩어져 家庭을 꾸렸다. 四寸 中의 한 名은 每日 라면만 주는 것이 질렸는지 어머니에게 밥과 飯饌 좀 달라고 투정을 부렸다고 했다. 故鄕 旅行길에 그 四寸을 만났는데, 그 時節을 돌이키며 監査하다면서 用돈을 내놓더라고 했다.

    라면을 먹던 時節, 라면으로 不足해서 한 四寸은 기름氣 묻은 作業服 차림으로 退勤을 해서 水道물을 벌컥벌컥 들이켰다. 기껏해야 열아홉, 스무 살이었으니 먹고 싶은 게 참 많았을 것이다. 그런데도 한참 나이 어린 서울 四寸동생인 내게 가끔 100원짜리 銅錢을 쥐어주곤 했다. 그렇게 받은 돈으로 나는 學校 가는 길에 가게에 들러 군것질거리를 사는 재미에 들렸다. 그때 그 젊은이들이 우리나라의 産業 일꾼들이었다. 그리고 그들을 움직인 것의 8割이 라면이었다. 그래서 라면 생각을 하면 그 오빠들 생각이 난다.

    1963年 많은 農民이 일을 찾아 都市로 都市로 몰려들었다. 農民은 勞動者가 되었다. 政府에서는 쌀값을 내리고 쌀을 代替할 食糧을 찾았다. 그때 ‘삼양라면’이 出市됐다. 라면은 왜 꼬불꼬불한가요? 아이들의 質問에 飯饌 없이 라면발을 후루룩거리던 아버지와 어머니들은 생각했을 것이다. 이렇게 구불구불한 것이 人生이라고.

    영남대 박현수 先生과 對話하다 라면 이야기가 나왔다. 라면은 인스턴트 飮食으로 負擔 없이 빨리 먹을 수 있지만 라면에 담겨 있는 그 時節의 生活相은 그리 가볍지만은 않았다. 朴 先生과 切親한 親舊의 아버지가 라면의 人氣를 보고 힌트를 얻었다. 이탈리아 搜査의 도움을 얻어 마카로니 工場을 열었는데 結果는 뻔했다. 工場은 얼마 안 가 門을 닫고 말았다.

    요즘도 라면을 먹고 먹지만 옛날 그 맛이 나지 않는다. 大型 마트에 山더미처럼 쌓여 있는 알루미늄 냄비를 사다 라면을 끓여 보았다. 鶴이 그려진 商標의 그 냄비가 분명한데 그때 그 맛이 아니다. 그때 냄비들은 하나같이 찌그러져 있었다. 그런 생각을 하던 次에 냄비를 바닥에 내려뜨려 운두가 조금 찌그러졌다. 그래도 그 맛이 아니다. 아무래도 飮食이란 그릇도 그릇이지만 불이 重要한 模樣이다. 火力이 센 가스불로 끓이니 그 맛이 나지 않는 것이다.



    學校 近處에는 粉食집이 있게 마련이다. 가게 앞을 지나다가 粉食집 窓門에 라면이라고 적힌 글字를 보면 나도 모르게 가게 앞에서 걸음을 멈춘다. 요즘 라면만큼 變化無雙한 飮食이 없다. 콩나물을 넣고 햄, 치즈를 넣고 김가루를 뿌리고 볶고 튀기고 우리 아이는 甚至於 牛乳를 부어 먹는다. 하지만 가장 맛있는 라면은 亦是 달걀만 푼, 노란 단무지를 飯饌으로 먹는 그 라면이다. 그때 라면 그릇에 머리를 디밀고 라면을 먹던 그 親舊들은 다 어디로 갔나.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