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文人 雅號 周邊 - 어째서 可山일까|신동아

우리 文人 雅號 周邊 - 어째서 可山일까

  • 入力 2003-12-30 11:53: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우리 문인 아호 주변 - 어째서 可山일까
    편석촌(片石村)李 누구인지 今方 아시겠지요? ‘氣象圖’(1936)를 自費 出版한 모더니스트 金起林의 雅號이지요. 기림(起林)이 本名이겠는데, 그것만 해도 썩 本名스럽지 않음. 곧 筆名이거나 雅號級의 模樣새와 울림을 갖고 있지만 氏는 따로 굳이 雅號가 要望되었던 模樣. 이 雅號의 出處에 對해 氏는 이렇게 解明해놓고 있습니다. ‘孤雲편석촌(孤雲片石村), 度花柳수세(桃花流水世)에서 땄다’라고. 모더니스트다운 感覺이기에 앞서 實로 저 當時(唐詩)의 언저리입니다그려. 東洋의 市價를 싸잡아 ‘疲困한 午後의 詩’라 몰아붙이고 ‘午前의 詩論’을 펼치며 이를 實踐해온 氏의 또 다른 한 面이라 본다면 어떠할까요.

    이에 비해 ‘金講師와 T敎授’(1935)의 作家 兪鎭午의 雅號 현민(玄民)은 어떠할까요. 老子의 ‘道德經’에서 玄字를, ‘民衆’ ‘人民’ 等에서 民字를 땄다고 스스로 解明한 바 있습니다. 百姓이나 民衆, 人民 等이 氏의 마음에 들었다는 것, 그런데 그 위에 ‘道德經’을 올려놓아야 한다는 것, 여기에서 비로소 氏다운 均衡感覺이 엿보인다고 하면 어떠할까요. 知識人이란 그러한 存在여야 한다는 뜻이기보다 ‘滄浪亭記’(1938)로 表象 되는 古典的 氣品 쪽에 기울어진 그런 奇妙한 均衡感覺이라 하면 어떠할까요. 自己의 雅號에 對해 스스로 解明해놓지 않을 수 없을 만큼 事緣이 있는 文士에 김동리氏가 있지요.

    “文壇에 나올 무렵 나는 當選을 거듭하기 위하여 그 때마다 이름을 갈았었다”라고 그 複雜한 理由를 뚜렷이 해놓았더군요. 當時 文壇 데뷔의 正式 코스란 新春文藝였던 만큼 3代 日刊 新聞의 關門을 모조리 通過하겠다는 野心찬 靑少年의 꿈이 거기 꿈틀거리고 있었다는 것. 그 結果는 어떠했을까요.

    “처음 詩가(詩歌)가 入選되었을 때는 戶籍 이름이었고, 다음 해 小說이 當選되었을 때는 兒名을 썼었고, 맨 끝의 ‘散花’는 只今 쓰는 洞里(東里)란 이름으로 當選이 되었었다”(‘동리 便’).

    이처럼 氏는 3代 新聞을 모조리 突破한 實力者였음이 드러났지요. 市가 ‘白露’(‘東亞日報’, 1934. 1. 2)는 김창귀(金昌貴)로 되어 있어 戶籍 이름 그대로입니다. ‘花郞의 後裔’(‘中央日報’, 1935. 1)의 當選者는 김시종(金始鐘)으로 되어 있습니다. ‘散花’(‘東亞日報’, 1936. 1)에서 비로소 김동리(金東里)입니다. 이처럼 昌貴, 始鐘, 東里의 使用이 當選을 거듭하기 위한 方便이었는데, 그 뒤로는 어떻게 되었던가. 그런데 氏는 이렇게도 말해놓아 混線을 조금 일으키고 있습니다. “처음 이 이름(東里)을 쓸 때는 이것으로 號를 삼을 作定이었으므로 當選作 ‘散花’의 略歷 紹介에도 本名은 金始鐘이라 하여…”라고. 위에서는 金始鐘을 ‘兒名’이라 해놓고, 아래에서는 그것을 ‘本名’이라 했지 않습니까.



    이쯤 되면 戶籍名, 兒名, 本名에 對한 考慮가 不可避한 形局이지요. 果然 氏의 戶籍名은 昌貴로 되어 있습니다. 族譜에 있는 族名으로 하면 槍棒(昌鳳)이고요. 本人 말대로 始鐘은 아명일 터인데 또 氏는 이를 ‘本名’이라 하기도 했습니다. 戶籍名을 本名이라 부르는 쪽에서 보면 조금 混亂스럽지요.

    ‘무정’(1917)의 作家의 境遇도 알기 어려운 대목이 있습니다, 戶籍名은 分明 이광수(李光洙)로 되어 있고 와세다(早稻田) 大學 記錄에도 그렇게 되어 있지요. 그런데, 어째서 그 以前에 氏가 다니던 中等課程人 메이지(明治) 學院 中等部엔 이보경(李寶鏡)으로 되어 있을까요. 日語로 쓴 氏의 處女作 ‘愛か’(1909)엔 ‘韓國 留學生 이보경’이 아니겠습니까. 戶籍 對照가 없었던 時節, 兒名을 그대로 本名으로 쓴 境遇라고나 할까요.

    그건 그렇고, 東里의 根據는 무엇이었을까요. ‘三國遺事’ 列傳에 나오는 白결(百結) 先生이 살던 洞네 이름에서, 또 ‘論語’에 나오는 君子 洞里資産(東里子産)의 이름에서 各各 연유했다고 하고, 氏는 이에다 덧붙여 놓았군요. 自己의 白氏께서 지어주셨다는 것. 新羅千年의 古都(古都) 出身이라 自負한 氏이고 보면(미당은 新羅千年의 廢道(廢都)라 했거니와) 故人(古人)의 이름이나 살던 洞네에 연유한 東里가 마음에 들었을 뿐 아니라 그것이 實은 氏의 白氏의 지으심이라 함에 또 다른 某種의 무게를 놓고 있음이 드러나지요.

    白氏인 데도 氏는 꼭 ‘凡夫(凡父) 先生’이라 적었지요. 萬一 한글로 써야할 境遇 씨는 반드시 ‘汎步 先生’이라 적었지요. 父란, 社內 아름다울 ‘보’인 까닭. ‘龍飛御天歌’를 배운 사람이면 누구나 아는 事實. 이 汎步 先生의 族名은 기봉(基鳳), 戶籍名은 알지 못하나 著述 및 社會活動(國會議員)에서 使用된 이름은 定說(鼎卨). 解放空間의 저 左右翼의 소용돌이 속에서 文學家同盟과 맞선 右翼團體인 前朝鮮文筆家協會의 名單 첫머리에 놓인 人物이 바로 김정설입니다. 그 外郭 團體인 靑年文學家協會의 頭目이 김동리였고.

    이야기가 한참 무슨 抛(浦)로 빠졌군요. 눈과 확 트인 들판이 좋아 한설야(韓雪野, 本名 病도)라 할 수도 있고, 또 무슨 曲折이 있어 林和(林和, 本名 認識), 김남천(金南天, 本名 효식)이라 할 수도 있겠지요. 김여수(金麗水, 本名 박팔양)라는 석字로 된 境遇도 있습니다. 황순원氏처럼 本名으로 一貫하는 境遇도, 최재서 模樣 석경우(石耕牛), 石造慶弔(石造耕造), 石造京仁(石造耕人) 等 어느 쪽이 雅號이고 또 創氏改名인지 모를 境遇도 없지 않습니다. 저마다의 曲折과 事緣이 깃들여 있음에 雅號랄까 筆名이 지닌 意義가 있겠지요.

    그런 作家 및 作品을 좋아하는 讀者인 우리의 處地에서 보면 本名뿐 아니라 雅號의 由來나 그 曲折까지 안다면 한層 親近해지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雅號만 알고, 그 雅號의 曲折을 모르는 境遇가 있다면 어떠할까요. 어리석은 우리 讀者로서는 조금은 답답하지 않겠습니까. 作家 쪽이 平素 아무런 실마리도 남겨놓지 않은 境遇도 있을지 모릅니다. 工夫가 不足해서 그런 端緖가 있는데도 찾지 못하는 境遇도 있겠지요. 어느 쪽인지 잘 알지 못하나, 그런 事例의 하나로 可山을 들 수 있을까요.

    ‘메밀꽃 필 무렵’(1936)의 作家 李孝石의 雅號임은 모두가 아는 事實. ‘메밀꽃 필 무렵’을 쓴 다음해까지만 해도 氏에겐 雅號가 없었지요(‘삼천리’, 1937. 1, p. 224). 李光洙를 비롯, 重要 文士 29名을 對象으로 한 이 設問에서 李孝石은 分明 雅號 없음을 標나게 드러내놓고 있지 않겠습니까. 可山이란 雅號는, 아마도 썼다면 그 後이겠지요. 매우 딱하게도 可山에 對한 氏 自身의 說明을 찾아내기 어렵군요. 資料 不足 탓인지, 氏가 아무런 端緖도 남기지 않았는지는 모릅니다. 或是 氏의 故鄕 近處의 山 이름일까요. 그곳에서 물어보아도 무슨 실마리가 없더군요. 或是 氏가 좋아하는 外國 作家에 關聯된 것일까요. 바이런의 ‘카인’에 心醉해서 스스로 可人 또는 假人이라 한 少時적 벽초 模樣 말입니다.



    作家論으로 高明한 兪鎭午氏의 ‘作家 李孝石’(‘國民文學’, 1942. 7, 一問)에서도 다만 ‘作家 李孝石’ 또는 ‘氏는…’으로 一貫되어 있습니다. 그렇기는 하나, 追悼文의 性格을 띤 또 다른 글에서 兪鎭午氏는 이렇게 써놓았군요. “지난 5月25日 날 새벽 可山 李孝石은 36歲의 젊은 나이로 多彩한 一生을 끝막았다”(‘마지막 날의 이효석’, 한글, ‘大東亞’, 1942. 7, p. 124)라고.

    平素 이효석과 가장 親密한 親友라 天下에 所聞난, 또한 明晳하고 正確하기로 소문난 兪鎭午氏가 ‘可山’이라 해놓았던 것. 그러고 보면 可山이란 한層 궁금하지 않겠습니까.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