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곤지곤지, 잼잼, 도리도리만 잘해도 健康하게 산다|신동아

곤지곤지, 잼잼, 도리도리만 잘해도 健康하게 산다

氣工學 博士 1號 김기갑 敎授의 氣 健康論

  • 곽對中 < 자유기고가="">

    入力 2004-09-07 15:49: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氣孔이라면 ‘道士님’부터 聯想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仁川 才能大學 김기갑 敎授는 이런 先入見을 버리고 修鍊을 거듭하면 누구든지 氣功의 體化(體化)가 可能하다고 力說하는 氣 專門家다. ‘氣功 傳道師’로 나선 그에게서 마음만큼 몸이 따라주지 않는 中年을 위한 氣功 健康法을 들어보았다.
    ”손가락을 다쳐 피가 흐르면 어떻게 합니까? 傷處에 藥을 바르고 정성스레 治療하죠? 그런데 氣(氣)가 제대로 흐르지 않는다든가 損傷을 입는 것에 對해선 왜 그리도 무심합니까?”

    ‘國內 氣工學(氣功學) 博士 1號’로 불리는 仁川 才能大學 김기갑(41) 敎授는 氣功의 重要性을 强調하며 불쑥 이렇게 물었다. 그의 質問에서 피와 마찬가지로 우리 몸에 흐르는 重要한 에너지인 氣에 對해 一般의 認識이 너무도 不足하다는 안타까움과 섭섭함이 함께 묻어났다.

    힘이 없을 때 우리는 흔히 ‘기운(氣運)이 없다’고 한다. 또 갑자기 쓰러지는 境遇를 氣絶(氣絶)한다고 表現한다. ‘氣(氣)가 막힌다’는 表現도 자주 들을 수 있고, “젊은 사람이 왜 그리 氣力(氣力)이 없냐?”는 핀잔 아닌 핀잔을 듣기도 한다. 憂鬱하고 언짢으면 氣分(氣分)이 좋지 않다고 이야기하고, 어떤 環境이나 자리에 감도는 느낌을 雰圍氣(雰圍氣)라고 稱한다.

    天機(天氣), 勇氣(勇氣), 客氣(客氣), 狂氣(狂氣), 熱氣(熱氣), 毒氣(毒氣), 浩然之氣(浩然之氣), 氣象(氣像), 氣質(氣質), 氣品(氣品), 技倆(氣量)…. 우리 生活 속엔 이렇게 氣(氣)가 들어가는 낱말이나 表現이 숱하게 많다.

    金敎授는 이것들을 하나하나 列擧하며 “이처럼 氣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生活 곳곳에 이미 ‘存在하는 것’으로 자리잡아왔는데,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것에만 關心을 두다보니 그 存在를 否認하고 疏忽히 하는 傾向이 있다”고 强調했다. 氣를 다스리는 것이야말로 健康을 保存하고 增進하는 重要한 課題라는 게 그의 持論이다.



    氣功은 ‘氣’에 ‘공’을 들이는 行爲

    國語辭典에서는 氣를 ‘活動의 根源이 되는 힘’(두산동아 國語辭典)으로 定義한다. 그러나 物理學, 古代哲學, 東洋醫學에서 使用하는 氣의 槪念은 제各其 差異가 있다. 氣孔에선 大體로 ‘身體에 흐르면서 運動系, 內臟系, 호르몬界, 精神界 等의 活動에 影響을 주는 生命 에너지’를 基(氣)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공(功)’은 무엇일까. 氣功에서 共이란 時間을 들여 한 가지 일에 精誠을 쏟는 行爲, 거듭 訓鍊해 攄得한 機能을 일컫는다. 쉽게 말하면 우리 몸에 흐르는 生命 에너지인 ‘氣’에 ‘공’을 들이는 모든 行爲를 ‘氣功’이라 定義할 수 있다. 中國 武術을 흔히 ‘쿵후(功夫)’라고 하는데 여기엔 ‘공을 攄得하는 것’이란 뜻이 담겨 있다.

    “피가 머리로 쏠리는 等 그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면 바로잡아주어야 하듯, 祈禱 理致에 맞지 않게 한 곳에 쏠려 있든가 막혀 있으면 바로잡아줘야 합니다. 이것이 氣功입니다.”

    金敎授는 이러한 氣功의 必要性을, 相許하실(上虛下實)의 體型을 例로 들어 說明했다. 東醫寶鑑(東醫寶鑑)에는 人間의 理想的 體型을 ‘相許하실’이라 적고 있다. ‘位는 비워두고 아래는 실하게 한다’는 뜻의 이 말은 ‘몸의 上體는 비워두고 下體는 堅固하게 다져놓아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卽 氣의 70% 假量은 下體로 내려와 있고 30%는 上體에 머물러 있는 피라미드형이 돼야 中心 잡힌 몸이 된다는 말이다.

    그러나 金敎授가 調査한 바에 따르면 成人의 過半數 以上이 이와는 反對로 喪失하허(上實下虛)의 體型을 갖고 있다. 運動量이 絶對 不足한 現代人의 境遇 全般的으로 下體는 機가 不實한 데 비해 上體에는 過度한 業務와 스트레스 等으로 氣가 몰려 있어, 사람들이 大部分 ‘거꾸로 선 피라미드형’의 體內 基 分布圖를 갖고 있다고 金敎授는 그림을 그려가며 說明했다.

    “흔히 ‘上記(上氣)됐다’는 表現을 쓰는데 이 亦是 ‘氣가 위로 몰려있다’는 뜻입니다. 어떤 境遇에 上氣됐다고 말합니까? 興奮하여 얼굴이 화끈 달아올라 붉어졌을 때 上氣된 狀態라고 하지 않습니까? 이는 피가 몰린 게 아니라 氣가 올라왔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旗를 아래로 내려주었을 때 氣 흐름이 正常으로 돌아오면서 머리가 맑아지고 온 몸이 개운해집니다. 現代人들의 境遇 大部分 自身은 의식하지 못하고 있지만, 이렇게 上氣된 狀態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上氣된 狀態를 푸는 것은 硬直된 筋肉質 運動으론 不可能하며 자칫 더 크게 다치는 境遇마저 있습니다. 自己 몸의 理致에 맞는 柔軟한 運動인 氣孔을 해줘야 根源的인 治癒가 可能합니다.”

    氣孔에는 體操, 呼吸, 冥想 等 여러가지 手練法이 있다. 金敎授는 ‘氣에 功을 들이는’ 大衆的인 方法으로 이른바 ‘스포츠 氣功’을 主唱한 사람이다. 그는 “氣孔이란 世上과 담을 쌓고 山속에 들어가 鬚髥 기르면서 道 닦는 게 아니다”고 累累이 强調했다. ‘生活體育’이란 것이다.

    “中國에 가보면 廣場이나 公園, 거리의 閑寂한 곳에서 부드럽게 몸을 움직이며 氣功修鍊을 하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 사람들에게 ‘只今 뭘 하고 있냐’고 물어보세요. 모두가 ‘運動하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우리는 運動이라고 하면 흔히 剛하고 動的인 것, 激烈한 것만 생각하는데 이는 西洋的인 發想입니다. 氣功은 儼然한 運動이며 體操입니다. ‘스포츠 氣功’이란 이름도 氣孔을 大衆化하자는 意味에서 붙인 것입니다.”

    金敎授는 氣孔을 ‘東洋運動’이라고 잘라 말한다. 먼저 그는 西洋醫學과 東洋醫學의 差異點에 견주어 西洋運動과 東洋運動의 差異點을 說明한다.

    “西洋醫學이 內科, 外科, 耳鼻咽喉科, 産婦人科, 精神과 等으로 細分돼 自己 分野의 專門性은 뛰어난 反面 人間의 몸을 하나의 全體的인 有機體로 보지 못해 가끔 잘못된 處方을 내리곤 합니다. 그러나 東洋醫學은 머리가 아프면 손을 살피고 배가 아프면 발을 주무르는 式으로 全身의 連結과 循環을 생각합니다. 桐·西洋運動도 이렇게 比較해볼 수 있습니다. 西洋運動은 목運動, 팔運動, 허리運動 等으로 細分돼 있고 特定 部位의 機能을 强化하는 데 焦點을 맞추지만, 東洋運動은 全身의 고른 發達과 調和를 생각합니다. 말 그대로 全身運動이죠. 西洋運動이 에너지를 消費해 그것으로부터 快感을 얻는 運動이라면 東洋運動은 에너지를 蓄積해 몸을 報(補)하는 運動입니다. 또 西洋運動이 身體를 훈련시켜 精神을 調節하는 運動이라면 東洋運動은 精神을 訓鍊하여 身體를 調節하는 運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알고보면 金敎授도 처음엔 ‘西洋運動’을 했던 사람이다. 氣孔을 처음 接했을 때 그는 仁荷大 體育敎育科를 卒業하고 仁川 才能大學(當時 大憲專門大學) 社會體育科 講師로 在職中이었다. 그의 집안도 ‘體育 집안’이다. 父親 김영환氏는 仁荷大 體育敎育科 敎授로 정년퇴직했고, 兄 記號(45)氏는 한경대 體育科 敎授, 동생 起用(38)氏는 現在 中學校 體育敎師로 在職中이다.

    金敎授는 體育을 專攻한 아버지와 往年에 이름난 排球選手였던 어머니 膝下에서 자연스럽게 運動을 배우게 됐고, 中學校 때까지 陸上 및 蹴球選手로 뛰었다. 그리고 體育 指導者의 꿈을 키워 當然한 듯 講壇에 섰다. 그러다 人生의 轉換點을 맞게 된 것은 1990年 여름, 韓國氣功協會가 主催한 硏修에 招待되면서부터.

    當時 技工關聯 團體로선 最初로 大衆에게 선보인 이 協會 所屬의 氣功 講師들을 對象으로 體育學을 講義해달라는 付託을 받았는데 그때 그는 氣功協會를 ‘道士(道士)들의 모임’ 쯤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그런데 氣功協會 會員들을 보니 거의 다 멀쩡한(?) 젊은 사람들이더군요”라며 그는 허허 웃었다. 講義가 끝나고 그들이 하는 修鍊을 지켜보았다. “都大體 저게 무슨 運動이냐, 저런 건 나도 當場 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그 ‘運動 같지도 않은 運動’을 한番 따라해보았다.

    “30分 程度 한 것 같은데 온몸이 땀으로 흠뻑 젖으며 氣盡脈盡했어요. 恒常 健康하고 柔軟하다고 自信해왔는데 그때 처음으로 제 몸이 무척 硬直돼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물 속에서 發見한 氣功의 原理

    正式으로 배워야겠다는 생각에 다음날 起工協會의 門을 다시 두드렸다. 이것이 氣功과 그를 이어준 첫 因緣. 하지만 그도 率直히 얼마동안은 ‘氣의 흐름’ 같은 것은 느낄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러던 中 沐浴湯에서 하나의 ‘發見’을 하게 된다.

    어느날 浴槽에 몸을 담그고 앉아있다가 물 속에서 氣功 姿勢를 取해보았다. 손을 슬슬 움직여보았는데 그동안 제대로 되지 않던 動作들이 부드럽게 잘되는 것이었다. 갑자기 便해지면서 눈이 스르르 감기는 것도 느낄 수 있었다. 물 밖으로 나와 물 속에서 感知했던 銅雀乙 再現해보았다. 제대로 되지 않았다. 물 속에 들어가 해보고, 나와서 다시 해보길 여러 番…. 아르키메데스의 發見처럼 큰 깨달음을 하나 얻을 수 있었다. 물 속에서의 動作이야말로 人間의 가장 자연스러운 動作이라는 것.

    그때부터 줄곧 물 속에서의 動作과 그 原理, 이것을 물 밖에서 어떻게 再現할 것인가에 沒頭했다. 4年 동안 每日같이 沐浴湯에서 살다시피 했다. ‘우리 몸의 움직이는 法則’을 알게 되면서 氣感(氣感, 氣의 느낌)도 더욱 크게 다가왔다.

    여기서 잠깐 技監에 對해 알아보자. 氣의 느낌은 大體 어떤 것일까? 氣孔에서는 이것을 팔觸(八觸)으로 整理한다. 짜릿짜릿한 느낌, 따뜻해지는 느낌, 마음이 便해지는 느낌, 손이 묵직해지는 느낌, 그러면서 딱딱한 것이 풀리고 부드러워지는 느낌 等이 사람들이 氣를 느꼈을 때 一般的으로 經驗하는 現象들이다.

    어릴 적 흔히 ‘電氣놀이’란 것을 해보았을 것이다. 팔목을 잡고 피가 안 통하게 한 다음 自己 나이만큼 손을 오므렸다 펴고 거기에 손가락을 갖다대면 짜릿짜릿해지는데, 이를 前期놀이라고 했다. 金敎授는 이 놀이에서도 事實은 피가 통하지 않아 짜릿한 게 아니라 氣의 흐름을 막고, 거기에 氣가 흐르는 손가락을 갖다대니 짜릿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고 說明했다.

    氣孔을 誤解하는 사람들 中엔 이른바 ‘氣 治療’라 하여 높은 氣를 가진 사람이 氣가 虛한 사람에게 기운을 나눠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은데 金敎授는 이를 盲信하지 말라고 當付한다. 勿論 機가 衝天해 가까이 하기 힘든 사람이 있고 허약한 사람도 있지만, 氣는 서로 나눠주고 채워줄 수 있는 性質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金敎授는 “다른 사람의 氣를 받으려 努力하기보다 氣功修鍊을 통해 自身의 元氣를 回復하는 게 더욱 빠른 方法”이라고 말했다.

    氣功修鍊 初期에 技監이 없어 안타까워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이것도 別로 念頭에 둘 일이 아니라고 金敎授는 말한다. 技監이 빠른 사람이 있고 느린 사람이 있는데, 빠르다고 해서 決코 좋은 게 아니라는 것이다. 金敎授는 一般的으로 사람들이 氣를 느끼는 類型을 세 가지로 分類한다. 첫째는 緩慢한 上昇型으로 꾸준히 氣를 느끼는 사람이다. 둘째는 全혀 氣를 느끼지 못하다 一定 期間 修鍊이 쌓이면서 어느날 갑자기 垂直上昇刑으로 氣를 느끼게 되는 境遇이며, 셋째는 階段式으로 發展해가는 境遇다. 金敎授는 어떠한 境遇에도 나중에는 一定 水準에 到達하게 되며 아예 氣를 느끼지 못하는 境遇란 없다고 自信했다. 技監이 높다고 健康한 것은 아니라는 말도 덧붙였다.

    氣功에 心醉하면서 金敎授는 漸漸 머리가 맑아지고 性格까지 바뀌어갔다. 急하던 性格이 차분하게 바뀌었고 따라서 말套까지 變했다. 精神的으로도 漸漸 安定됨을 느꼈다. “이렇게 좋은 運動을 왜 이제야 發見했을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金敎授는 結局 敎授職을 그만두고 氣功에 專念할 생각을 하게 됐다. 그러자 그동안 걱정스럽게 지켜보기만 했던 家族들이 本格的으로 反對의 旗발을 들었다.

    “아버지는 제가 氣孔을 배우러 다닌다니까 저러다 머리 깎고 山에 들어가거나 異常한 藥 팔러 다니는 게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아내도 그랬습니다. 許久한 날 沐浴湯에서 사는 男便을 의심스럽게 생각했죠. 그런 거 배워서 어디에 써먹냐고 反對가 甚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正말로 辭表를 써서 學長에게 提出했다. 그런데 當時 學長이던 노진철(作故) 敎授는 그 자리에서 辭表를 찢어버리더니 대뜸 “協會長과 敎授의 差異를 아느냐”고 물었다. 金敎授가 敎授職을 그만두고 氣功에 專念해 뜻을 이룬다면 氣功協會長까지 오를 수 있겠지만, 果然 그것이 氣功 發展에 어떤 도움이 되겠냐는 물음이었다. “已往 하려면 아직 學界의 認定을 못받고 있는 氣功을 學問的으로 體系化해서 社會에 내놓아라, 그것이 敎授로서 當身이 할 수 있는 最高의 役割 아니냐”고 어깨를 두드리며 돌려보냈다고 한다. 이때부터 金敎授는 氣功의 理論을 세우고 學問的으로 實證·體系化하는 데 全力을 다하게 된다.

    1995年 金敎授는 한 가지 硏究를 實施했다. 氣孔運動이 果然 사람들에게 效果가 있는지를 確認해보기 始作한 것. 于先 氣孔을 習得하는 程度가 빠른 幼兒들을 對象으로 試驗해보았다. 仁川市內에 所在한 2個 幼稚園의 幼兒 86名을 平素 授業에 잘 適應하는 ‘適應行動集團’과, 周圍가 散漫해 集中力이 떨어지는 ‘不適應行動集團’으로 나누어 集中力의 程度와 平衡性, 협응性(協應性) 等을 測定했다. 그리고 不適應行動集團으로 分類된 아이들에게 一週日에 2回, 每回 30分씩 3個月間 氣功太極 15歲(氣功太極十五勢)를 가르쳤다.

    3個月 後 똑같은 檢査를 實施했다. 結果는 뚜렷한 差異를 나타냈다. 氣功 運動을 始作하기 前에는 不適應行動集團의 아이들이 適應集團 아이들에 비해 集中力과 平衡性이 多少 떨어졌으나, 氣孔運動을 實施한 以後에는 오히려 逆轉되어 不適應行動集團 아이들이 適應集團에 비해 모든 領域에서 월등한 成果를 보였다.

    檢證받기 始作한 氣功

    金敎授는 이같은 硏究結果를 1995年 서울에서 열린 世界氣功學術大會에서 ‘氣孔을 通한 不適應行動 幼兒와 適應行動 幼兒의 運動能力 比較分析’이란 題目의 報告書로 發表했다. 氣孔運動의 成果에 對한 實證的 硏究結果가 全無한 實情에서 金敎授의 報告書는 큰 反響을 불러일으켰다. 特히 고려대 體育學科 이천희 敎授가 크게 關心을 갖고 氣工學을 開拓해볼 것을 提議했다. 當時엔 氣工學이란 用語조차 없던 때라 망설였지만, “協會長이 되는 것보다 敎授로서 氣功 發展에 寄與하라”는 노진철 學長의 號令이 생각나 1997年 고려대에서 博士課程을 밟게 됐다. ‘國內 最初의 氣工學 博士’는 이렇게 해서 2000年 12月 誕生했다.

    金敎授의 氣工學 理論은 그리 어렵고 深奧하지 않다. 그는 늘 ‘쉬운 氣功’ ‘原理를 아는 氣功’을 强調한다. 1990年 氣功에 入門한 金敎授는 1992年부터 氣功運動을 主題로 한 講義에 나섰다. 처음엔 百貨店 文化센터 等에서 主婦들을 相對로 氣孔理論을 說明했고, 漸次 公務員, 敎師, 中·高等學生, 老人 等으로 對象을 擴大했다. 지난 10年間 그의 氣工學 講座를 들은 사람은 10萬餘 名.

    金敎授가 講壇에 설 때마다 빠뜨리지 않는 內容이 있다. 이제는 有名한 氣孔原理가 된 곤지곤지, 잼잼, 도리도리, 짝짜꿍. 金敎授는 이 네 가지도 重要한 氣孔運動이라고 强調한다.

    “저는 ‘어린이의 몸으로 돌아가자’고 사람들에게 얘기합니다. 알다시피 어린이의 몸은 어른의 몸보다 硬直돼 있지 않습니다. 硬直되지 않다는 것은 柔軟하다는 것이고, 몸이 柔軟할 때 基는 圓滑히 흐르게 됩니다. 그래서 氣가 잘 흐르는 몸으로 만들려면 어린이의 行動을 有心히 살펴보고 그대로 따라하면 틀림이 없습니다. 特히 嬰幼兒 때의 行動은 學習을 통해 만들어진 行動이 아니기 때문에 가장 자연스러운 行動이고 太初의 行動입니다. 곤지곤지, 잼잼, 도리도리, 짝짜꿍度 그런 行動들입니다.”

    먼저 곤지곤지. 곤지곤지는 한쪽 손가락을 펴 다른쪽 손바닥을 지긋이 누르는 行動이다. 아무것도 아닌 行動인 것 같지만 여기에도 健康해지는 祕訣이 담겨져 있다. 사람의 손바닥 가운데에는 老窮(勞宮)이란 穴이 있다. 곤지곤지는 이 老窮을 부드럽게 마사지해주는 效果를 갖고 있다. 老窮은 머리와 連結된 혈로, 이곳을 刺戟해주면 머리가 맑아지고 마음이 便해진다. 또 곤지곤지를 하는 손가락은 大槪 검指를 利用한다. 中止나 엄지, 새끼손가락으로 손바닥을 곤지곤지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何必 검指일까? 검指는 大槪 ‘눈(眼)李 따라가는’ 손가락이다. 어떤 事物을 가리킬 때 使用되는 손가락으로 검指는 눈의 기와 連結돼 있다. 따라서 검指 끝을 刺戟하는 것은 視力을 强化하는 데 寄與한다.

    잼잼度 마찬가지. 兩손으로 잼잼을 하면 네 손가락 모두 손바닥 中央을 向하면서 마사지한다. 이 亦是 老窮을 刺戟하는 等의 效果를 얻을 수 있다. 도리도리는 목을 使用한다. 사람의 身體部位 中 가장 硬直되기 쉽고 빨리 老化 되는 곳이 뒷목. 도리도리는 이를 刺戟하며 부드럽게 풀어주는 運動이라 할 수 있다. 짝짜꿍은 손바닥을 맞부딪힘으로써 몸 구석구석과 關聯된 모든 穴을 刺戟해주는 效果가 있다.

    “火가 나고 머리가 複雜할 때 혼자 조용히 곤지곤지를 해보십시오. 아마도 곧 便安한 느낌이 들면서 눈이 저절로 감기게 될 것입니다. 곤지곤지하면서 辱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곤지곤지하면서 呼吸이 가빠지는 사람도 없습니다. 마음이 安定되면서 呼吸도 가라앉습니다. 自然히 머리 끝을 向해 치솟았던 機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느낄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氣功입니다. 氣功은 먼 나라 道士님들의 拳法(拳法)이 아니란 이야기입니다.”

    金敎授는 學生들을 두 集團으로 나눠 똑같이 100m 달리기를 시킨 後 한쪽은 천천히 걸으면서 呼吸을 가다듬도록 하고 다른 한쪽은 곤지곤지를 시켰다. 意外로 곤지곤지를 한 쪽의 呼吸이 더 빨리 安定됐다. 金敎授는 또 高等學校 學生들을 對象으로 照會와 終禮, 授業時間에 먼저 곤지곤지 等을 하는 實驗을 實施했다. 2週間 反復 實施한 結果 散漫했던 敎室이 조용해지고 學生들의 授業 集中度가 높아졌다는 敎師들의 反應을 얻었다.

    先入見 脫皮는 氣功의 前提條件

    金敎授는 처음 氣功에 對해 講義하던 날을 追憶처럼 이야기한다. 어느 文化센터의 講義였는데 13名의 受講生 中 11名이 아픈 사람이었다고 한다. 當時만 해도 氣功에 對한 一般의 認識이 至極히 낮았던 때라, 氣孔講座라고 하니 當然히 氣를 통해 아픈 곳을 治療하는 醫療氣功쯤으로 생각하고 아픈 사람들이 모인 것이다. 그날 金敎授는 “氣孔이 健康하게 오래 사는 데 도움이 되는 運動임엔 틀림없으나 내가 醫師는 아니니 治療를 目的으로 오셨다면 돌아가도 좋다”고 이야기했다 한다.

    氣功 講義를 나가던 草創期를 돌이켜보면서 金敎授는 거의 모든 受講生들이 빈손으로 오던 것을 또한 잊지 못한다. 왜 筆記道具를 가져오지 않았냐고 물으면 受講生들은 大槪 “우리는 運動을 하러 왔지 무슨 理論을 배우러 온 게 아니다”고 對答했다. 그럴 때마다 金敎授는 “理論的 基礎가 없는 氣功修鍊은 모래 위에 집을 짓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說明하느라 津땀을 뺐다고 한다.

    金敎授는 갑자기 두 손을 ㅅ(시옷)字 模樣으로 祈禱하듯 가슴 앞에 모으고 아래쪽으로 徐徐히 내려보라고 시켰다. 腹部에까지 손이 내려가자 다시 徐徐히 가슴 쪽으로 올려보라고 했다.

    “숨이 어떻게 쉬어집니까? 正常的인 사람이라면 손을 내릴 때는 自然히 숨을 내쉬고 손을 올릴 때는 숨을 들이마시게 됩니다. 그리고 姿勢가 올바르다면 胸式呼吸(胸式呼吸)李 아니라 自然히 腹式呼吸(腹式呼吸)을 하게 됩니다. 呼吸이란 이렇게 자연스럽게 이뤄져야 합니다. 그런데 講義를 나가 氣功體操 動作을 說明하다보면 種種 ‘이때 呼吸을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묻는 분들이 계십니다. 예전에 呼吸法까지 一一이 說明해주던 氣孔運動을 배웠던 탓이죠. ‘그냥 便한 대로 하라’고 對答해줍니다.”

    그는 1990年代 中盤 以後 氣功, 요가, 丹田呼吸 等에 對한 關心이 暴發할 만큼 커졌지만, 如前히 生活 속의 體育으로 자리잡지 못한 理由가 이렇게 硬直된 敎育方式과 사람들의 先入見에 있다고 診斷한다.

    한番은 受講生들 앞에서 示範을 보이는데 갑자기 技監이 크게 다가와 따끔距離者 손가락을 까딱까딱 움직였다. 그러자 모든 受講生들이 이것을 따라했다. “왜 손가락을 움직이느냐”고 묻자 “강사님이 손가락을 움직이니까요”라고 한결같이 對答했다. 金敎授는 注入式 敎育의 弊害가 여기에도 있었나 싶어 啞然失色했다고 한다.

    筆者는 “氣功修鍊을 하는데 肉食과 菜食 中 어느 것이 더 낫냐”고 불쑥 물어보았다. 金敎授는 “氣孔에서는 飮食을 억지로 調節하지 않는다”면서 “그것 또한 氣功에 對한 先入見 中 하나”라고 指摘했다. 사람마다 體質이 다르기 때문에 肉食과 菜食 中 어느 것을 主로 하든 自己 몸에 맞으면 된다. 菜食을 한다고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란 얘기다.

    그리고 金敎授 自身은 “氣孔運動을 하기 前엔 술을 마시지 않았는데 氣功 運動을 한 다음 오히려 술을 더 자주 마시고 酒量도 늘었다”며 ‘무엇은 안된다’는 先入見을 버려야 健康해진다고 强調했다. 氣孔運動은 道人처럼 먹을 것 가리고 禁慾生活하는 게 아니란 點을 金敎授는 입이 닳을 만큼 數十 次例 强調했다.

    氣孔運動을 할 때 무슨 특별한 服裝을 입고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도 先入見이다. 金敎授는 그냥 가벼운 차림이면 되고 場所도 室內外를 가리지 않으나, 다만 時計나 半指 等은 빼는 게 좋다고 말한다.

    “아직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氣孔을 특별한 사람들이 하는 無道 修鍊人 줄 알아요. 제 親舊 中에도 제가 氣工學을 專攻했다고 하면 ‘金敎授, 자네 이제 하늘을 날 줄 아나?’ 하고 弄談 섞인 얘기를 건네는 사람들이 있죠. 그런데 氣功은 絶對 그런 게 아닙니다. 그냥 運動이에요, 運動!”

    그래서 金敎授는 요즘 氣孔을 ‘스포츠’로 大衆化하는 데 이어 ‘레크리에이션’으로 인식시키는 데도 큰 關心을 갖고 있다. 사람들이 모여 함께 즐기며 할 수 있는 재미있는 놀이에 氣孔運動의 原理를 適用할 수는 없을까 하는 發想이다.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을 묻자 그는 “老人들에게 알맞은 氣孔運動을 만들어 普及하는 것”이라고 했다.

    “곧 닥쳐올 高齡化 社會를 걱정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앞으론 老人들의 健康과 餘暇가 重要한 社會的 이슈로 擡頭될 겁니다. 머리 허연 老人들에게 硬直된 西洋運動을 勸해드릴 수는 없고, 가장 좋은 것은 靜的이고 부드러운 東洋運動을 普及하는 것이죠. 거리에서 골목에서 空터에서 스스럼없이 氣孔運動을 하는 모습, 참 아름답지 않겠습니까?”

    氣功에 미친 人生

    처음에는 挽留하던 家族들도 이제는 金敎授의 든든한 後援者가 됐다. 그의 父親은 藥장수가 되지나 않을까 慇懃히 걱정했던 아들이 氣孔을 學問的 領域에서 開拓해나가자 대견해한다. 夫人 공영자氏와 딸들도 그에게 氣功運動을 배우고 있다. 金敎授는 큰딸 진희(仁川 涌溢초교 5年)와 둘째딸 재희(仁川 涌溢초교 2年)를 모델로 ‘어린이 키 크는 體操’란 題目으로 어린이 氣功體操 비디오를 찍어놓았다.

    金敎授는 스스로 “지난 10年 동안 氣功에 미쳐 지냈다”고 述懷한다. 氣功 修鍊者들과 硏究者들을 만나기 위해 밤늦게까지 뛰어다녔고, 여름放學 때는 어김없이 中國으로 날아가 中國 ‘師父님’들에게서 太極拳을 傳受받았다. 겨울放學때는 中國에서 講師를 韓國으로 招請해 敎育을 받았다.

    함께 敎育을 받은 門下生들끼리도 ‘韓國진식혼원太極拳協會(韓國陣式混元太極拳協會·會長 황용인)’를 創立해 事務室을 내고 氣孔에어로빅 等을 創案해 普及하는 等 氣功 大衆化에 힘을 쏟고 있다.

    “氣功 硏究 때문에 財産도 相當히 날렸다”면서도 金敎授는 如前히 싱글벙글이다. “이 좋은 運動을 많은 사람들에게 紹介할 수 있어 기쁘다”는 것이다. 그는 앞으로도 氣功에 ‘미쳐’ 살 것 같다.





    健康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