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部, 名聲 믿고 傲慢하지 말라 破滅하고 말脂膩|新東亞

部, 名聲 믿고 傲慢하지 말라 破滅하고 말脂膩

東·西洋 文明 첫 衝突 : 페르시아 戰爭

  • 김기영│서울대 講師·文學博士 kimky@snu.ac.kr

    入力 2010-12-22 17:58: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連載를 始作하면서…

    西歐 列强이 ‘文明(civilization)’의 電波라는 名分을 내세워 植民地主義를 正當化했을 때 ‘文明’이라는 單語가 ‘野蠻’의 未成年을 벗어난 成年期 人類의 敎化된 狀態를 의미했다면, 植民 支配를 강요받은 이들에게 ‘文明’은 무엇보다도 銃과 大砲로 대표되는 武力과 그 可恐할 만한 暴力을 生産해낸 科學技術을 가리켰다.

    朝鮮 末期 韓半島를 휩쓸었던 ‘斥和’와 ‘開化’의 對立과 葛藤은 日本 强點을 거쳐 南北 分斷의 現實에 이르기까지 解消되지 않은 채 所謂 ‘西洋’에 對한 無分別한 羨望과 根據 없는 蔑視라는 兩 極端 사이에서 다양한 樣相으로 展開되고 있다. 只今 우리에게 ‘文明’은 果然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가 살고 있는 ‘文明’의 現住所는 어디인가? 그리고 이 文明의 未來는 무엇인가?

    이제 西洋이 ‘文明’이라는 말을 獨占하는 時期는 지났고, 東洋에도 ‘文明’이 儼然히 存在했다는 게 널리 認定되고 있다.



    이리하여 東洋文明 代 西洋文明이라는 對立 構圖가 文明 談論의 基本 틀로 쓰이곤 한다.

    하지만 世界史의 地平이 넓어지면서 그러한 單純 對立 構圖에 잘 맞지 않는 境遇들이 發見된다. 例를 들어, 아랍의 國家들은 어느 쪽에 屬하는가? 또 印度는?

    ‘同壻’라는 單純 對立 構圖를 脫皮해서 여러 文明圈으로 나누어놓고 보더라도 한 文明圈 안에서 異質的인 여러 文明의 要素들을 만나게 되고, 그 文明의 要素들조차 仔細히 보면 時代에 따라 變貌해왔음을 알 수 있다.

    서울대학교 人文學硏究員 HK文明事業團과 ‘신동아’가 共同으로 企劃·連載하는 ‘文明의 交叉路에서’ 시리즈는 世界史에서 ‘文明’으로 일컬어지는 다양한 現象에 注目해, 異質的인 ‘文明들’이 서로 어떻게 만나고 부딪쳤는지를 照明하고자 한다. 文學, 歷史, 哲學, 宗敎, 地理 等 相異한 學問的 背景을 지닌 人文學者들이 讀者 여러분을 具體的인 文明의 交叉 現場으로 引導할 것이다.

    文明의 交叉路에서 벌어진 文明의 交流와 衝突에 對한 微視的인 接近은 特定 時代와 場所에 登場한 文明들의 相互 作用뿐만 아니라 只今 여기 우리가 몸담고 있는 ‘文明’의 多層的이고 複雜한 樣相을 理解하고, 나아가 人類 文明史에 對한 巨視的 眺望을 試圖하는 데 寄與할 것이다.

    者, 이제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文明의 交叉路들을 向해 出發하자!

    - 송유례·서울대 人文學硏究員 HK敎授


    文明이 交流하고 衝突하는 劇的인 樣相은 戰爭이다. 戰爭은 世界觀의 差異, 政治와 經濟의 問題, 宗敎와 慣習의 對立, 科學과 技術의 成果 等을 克明하게 보여주는 歷史의 舞臺인 것이다. 集團이나 種族, 民族이나 國家는 自己(自己)의 敍事로 戰爭의 經驗을 再構成하고, 打者(他者)를 分析할 뿐만 아니라 他者의 正體性과 對比되는 自己의 正體性을 發見하면서 그것을 確立하고자 한다.

    古代 그리스 世界에서 戰爭은 여러 都市國家 사이에 日常的으로 벌어지는 一般的인 事件이었다. 작은 都市國家들 모두 저마다 獨立을 熱望하고 各自 優越性을 確保하고자 마치 運動 競技에 參與한 選手들처럼 서로 競爭하고 鬪爭했다. 戰爭은 또한 西洋文學을 탄생시킨 搖籃이었다. 西洋文學의 始作을 알리는 序曲人 ‘일리아스’는 트로이 戰爭을 素材로 한다. 이 作品은 그리스 本土와 小아시아 地域 사이에 벌어진 戰爭을 다루면서 두 文明의 衝突에 對한 記憶을 담고 있다. 하지만 트로이 戰爭이 實際로 일어난 歷史的 事件이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페르시아 戰爭

    歷史時代에서 東西洋 文明이 첫 衝突限 事件이 페르시아 戰爭(紀元前 492~479年)이다. 페르시아 戰爭을 經驗한 그리스인들도 自己 觀點에서 그 戰爭을 바라봤으며, 페르시아人들을 分析하면서 그들의 正體性과 對比되는 自己 正體性을 確立하고자 했다. 悲劇 時人 아이스킬로스의 ‘페르시아人들’과 歷史가 헤로도투스(紀元前 484~424年)의 ‘歷史’가 그 代表的인 事例다.

    페르시아 戰爭은 유럽 歷史에서 매우 意味深長하다. 다윗이 골리앗을 물리친 것처럼 작은 都市國家 市民이 巨大 帝國의 百姓을 물리쳐 勝利한 豫想外 事件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萬若 페르시아 戰爭에서 그리스 陣營이 敗했더라면 그리스의 都市國家들은 自由國家로 남지 못했을 것이고, 아테네에서 자라기 始作한 民主主義 싹도 開花하지 못하고 告傳旗 文明도 사라져버렸을 것이다. 그럼에도 페르시아 帝國이 成就한 業績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페르시아 帝國은 오리엔트를 統一한 最初의 巨大 帝國으로 여러 民族을 分割해 統治하는 政策을 具現하며 平和와 秩序를 保障함으로써 多人種·多文化·世界國家의 可能性을 後代에 보여줬기 때문이다.

    헤로도투스는 ‘歷史’를 통해 페르시아 戰爭을 詳細하게 記錄했다. 그가 페르시아 戰爭을 記述하면서 그리스人 處地에서 歷史를 歪曲했다는 非難을 避할 수는 없지만 ‘歷史’의 序文은 그리스인과 非(非)그리스인의 偉大하고 놀라운 業績을 保存하고 戰爭이 勃發한 原因을 探究하는 게 著述 目的이라고 闡明하고 있다. 그리스인이 아닌 이들을 貶下하려는 意圖를 보이지 않고, 比較的 客觀的 視角과 合理的 敍事로 戰爭을 記錄하려고 努力한 것이다.

    부, 명성 믿고 오만하지 말라 파멸하고 말지니

    알렉산더 大王이 페르시아 다리우스3世와 벌인 이수스 戰鬪.



    부, 명성 믿고 오만하지 말라 파멸하고 말지니

    페르시아 戰爭에 參與한 그리스·페르시아 兵士.

    아쉽게도 페르시아 戰爭에 對한 페르시아 쪽 記錄은 남아 있지 않다. 記錄物로는 官僚가 새겨놓은 石版과 王宮 壁에 彫刻된 王의 布告令이 있을 뿐이다.

    헤로도투스의 ‘歷史’에 決定的 影響을 미친 作品이 아이스킬로스의 悲劇 ‘페르시아人들’이다. 이 悲劇은 페르시아 戰爭 全般을 이야기하지 않지만, 페르시아 戰爭의 經驗을 헤로도투스보다 더 멋지게 悲劇의 形式으로 專有한다. 大體로 그리스 悲劇은 傳統神話를 素材로 劇化하지만, 이 作品은 特異하게도 歷史的 事件을 다뤘다.

    아이스킬로스의 悲劇 ‘페르시아人들’

    悲劇 時人 아이스킬로스는 그리스 歷史의 重要한 時期에 成長期를 보냈다. 그는 民主主義 改革을 目擊했다. 紀元前 510年 僭主 힙피아스가 逐出되자, 508~507年에 클레이스테네스가 ‘모든 市民이 同等한 政治權力을 가진다’는 이消奴미아(isonomia) 精神으로 行政區域 改編을 骨子로 하는 民主改革을 斷行했다. 또 아이스킬로스는 直接 마라톤 平原과 살라미스 海峽에서 페르시아軍과 맞서 싸웠다고 한다. 그는 家族을 잃는 슬픔을 겪기도 했는데, 그의 兄이 마라톤에서 敵軍의 도끼에 손목이 잘려 戰死했다. 紀元前 525年 或은 524年에 태어난 이 偉大한 悲劇 詩人은 紀元前 456年 或은 455年에 死亡했는데, 墓碑銘에는 놀랍게도 그가 마라톤 戰爭에 參戰한 勇士라는 事實만이 적혀 있다.

    傳해오는 그리스 悲劇 作品 가운데 가장 오래된 ‘페르시아人들’은 紀元前 472年에 大(大) 디오니소스 祭典에서 1等賞을 거머쥐었다. 이 作品을 위해 財政的 支援을 아끼지 않은 사람이 後날 저 有名한 政治家 페리클레스였다. 살라미스 海戰에서 勝利하고 8年이 지난 어느 봄날, ‘페르시아人들’이 臺 디오니소스 祭典의 舞臺에 올랐다. 아크로폴리스의 南東쪽에 位置한 디오니소스 劇場을 찾은 觀客들은 이 作品을 鑑賞하고, 페르시아 戰爭 中에 불탄 아크로폴리스의 神殿(神殿)을 바라보면서 깊은 感懷에 젖었을 것이다.

    ‘페르시아人들’은 戰爭에서 敗한 敵國 페르시아의 觀點에서 戰爭의 過程을 바라보는 놀라운 콘셉트를 보여준다. 悲劇의 主人公을 페르시아 王으로 삼은 點은 實로 劃期的이다. 페르시아 帝國의 首都 搜査(Susa)를 舞臺로 펼쳐지는 ‘페르시아人들’의 劇은 네 部分으로 이뤄져 있다.

    (1)페르시아의 長老들은 크세르크세스 王이 遠征을 떠난 經緯를 說明하고 不安한 마음으로 戰爭 結果를 기다린다. 太後 亞톳社가 登場해 不吉한 꿈과 前兆에 對해 이야기하는데, 그의 마음은 걱정과 근심으로 가득 차 있다.

    (2)獅子가 登場해 페르시아 帝國이 戰爭에서 一擊에 무너졌다고 報告한다. 戰死한 將軍들의 이름을 列擧하지만 多幸히도 王은 生存했다고 한다. 不吉한 꿈과 前兆가 敗戰을 暗示했던 것이다.

    (3)亞톳社는 다리우스 王의 무덤에 提州를 바쳐 男便의 魂靈을 불러낸다. 젊은 크세르크세스가 精神의 疾病에 걸려 불경한 교만함으로 世界의 秩序를 어지럽히다가 神들의 罰을 받아서 戰爭에서 敗한 것이라고 魂靈은 分析한다. 아울러 페르시아 軍이 플라타이아 戰鬪에서도 敗北할 것이라고 豫言한다.

    (4)크세르크세스 王이 登場해 옷을 찢고 울부짖으며 痛哭한다. 殘忍한 惡靈이 페르시아 種族을 破壞한 것이다. 코러스는 王과 함께 痛哭하고 帝國의 運命을 恨歎한다.

    敵國의 王과 百姓들이 敗戰으로 겪는 苦痛과 슬픔을 悲劇이란 形式으로 再現해 보여준 아이스킬로스의 意圖는 果然 무엇일까?

    ‘페르시아人들’에서는, 傲慢放恣한 말과 行動을 뜻하는 휘브리스(hybris)를 犯한 人間이 神에게 罰을 받는다는, 그리스 悲劇에 자주 登場하는 모티프를 發見할 수 있다. 이러한 모티프를 基本 틀로 삼으면서 아이스킬로스는 그리스 上古 時代 賢者들이 開陳한 人間 滅亡의 패턴을 ‘페르시아人들’에 反映하고 있다. 그 人間 滅亡의 패턴이란 엄청난 富와 名聲으로 繁榮을 누리는 人間은 휘브리스를 犯하고 아테(ate) 狀態에 빠져 破滅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아테’란 神의 介入으로 精神이 홀려 헤매다가 判斷力을 잃고 定해진 限界를 忘却해 破滅하는 것을 말한다.

    人間 滅亡의 그리스的 思惟 틀

    부, 명성 믿고 오만하지 말라 파멸하고 말지니

    그리스에 大敗한 크세르크세스 王.

    페르시아 帝國에 敗戰 消息이 傳해지자 亞톳社는 다리우스의 魂靈을 불러낸다. 그 魂靈이 敗戰 原因을 分析하고 그 對策을 導出하는 役割을 맡는다는 點이 흥미롭다. 하지만 다리우스를 이러한 캐릭터로 形象化하는 것은 분명한 歷史 歪曲에 該當한다. 1世는 마라톤 戰爭에서 敗한 後 復讐心에 가득 차서 그리스 本土를 征服하겠다는 野慾에 불탄 存在였다. 復讐의 恨을 품은 채 죽은 者가 다리우스가 아닌가.

    그런데 아이스킬로스는 劇作家의 想像力을 發揮해 다리우스의 魂靈을 등장시키는 方式으로 다리우스에게 實際와는 全혀 다른 캐릭터를 附與하는 한便, 페르시아 帝國의 敗戰에 그리스的 思惟의 人間 滅亡 패턴을 適用한다. 이처럼 그리스인들은 自己의 傳統的 思惟 틀로써 打者인 페르시아人들의 敗戰 原因을 分析하고 解釋해 그것을 正當化한 것이다.

    人間 滅亡의 첫 番째 段階가 엄청난 富와 繁榮이다. 페르시아는 黃金으로 넘쳐나는 莫大한 富를 가진 나라로 繁榮을 謳歌하는 帝國이었다. 하지만 莫大한 富와 繁榮은 휘브리스를 낳는 條件이 된다.

    이 作品에 나타난 휘브리스의 具體的 樣相은 세 가지다. 첫 番째 휘브리스는 크세르크세스 王이 보여준 불경한 傲慢함이다. 그는 人間인 主題에 傲慢放恣한 생각에 사로잡혀 그리스 本土의 身上(神像)들을 掠奪하고 神殿들에 불을 질러 祭壇들을 사라지게 하고 神像들을 뿌리째 뽑아버리는 等 不敬罪를 恣行한다.

    두 番째 휘브리스는 크세르크세스 王이 自然과 世界 秩序를 혼란시키는 것이다. 다리우스의 魂靈이 報告하듯 크세르크세스는 배들을 이어붙여 헬레스폰토스 海峽과 보스포루스 海峽에 浮橋(浮橋)를 놓았다. 이렇게 海峽의 물길을 억지로 바꾸고 人間인 主題에 포세이돈 신마저 支配할 수 있다고 믿은 것이다.

    세 番째 휘브리스는 크세르크세스 王이 제 領土에 滿足하지 않고 그리스의 自由 市民을 征服해 奴隸로 삼으려 한 것이다. 이러한 휘브리스는, 敗戰의 消息이 到着하기 前에 敍事된 아톳사의 꿈에서 暗示된다. 그 꿈에 따르면 아시아 女人과 그리스 女人이 서로 다투게 되자 크세르크세스는 그들을 制止하고 自身의 電車 앞에 그들을 매고 목에 멍에를 얹었다. 아시아 女人은 服從하지만, 그리스 女人은 발버둥치며 두 손으로 馬具를 찢어버리고 고삐도 없이 電車를 끌다가 멍에를 두 동강 낸다. 그러자 크세르크세스는 電車에서 墜落하고 아버지 다리우스를 보자 自身의 옷을 갈기갈기 찢어버린다.

    이제 휘브리스는 ‘아테’ 段階로 넘어간다. 이러한 過程을 다리우스의 魂靈은 詩的으로 表現한다.

    一旦 驕慢(휘브리스)의 꽃이 滿發하면 迷妄(迷妄)(아테)의 이삭이 패고,

    그것이 익으면 눈물겨운 收穫이 始作되기 때문이오.

    (‘아이스킬로스 悲劇 全集’에서 引用)

    그런데 이 段階로 넘어가도록 決定的인 役割을 하는 것은 다름 아닌 神/惡靈이다. 新/惡靈은 人間을 欺瞞하고, 이로써 아테의 덫에 걸려든 人間은 거기서 벗어날 수 없다. 크세르크세스度 智慧를 잃고 말았다. 아울러 神/惡靈은 戰爭에도 參與해 페르시아 帝國을 破壞하는 힘으로 顯現(顯現)한다. 페르시아 軍隊를 망가뜨리고 페르시아 種族을 짓밟으며 페르시아 男子들을 잘라버린다. 戰爭에 敗해 王宮에 到着한 크세르크세스는 아직도 惡靈이 自身에게 덤벼들고 있다고 恨歎했다.

    이처럼 ‘페르시아人들’은 페르시아 帝國의 敗戰을 道德的 · 神學的인 觀點에서 分析하고 그것을 正當化한다. 이러한 分析을 바탕으로 아테네는 페르시아 帝國의 災殃을 反面敎師로 삼는다. 페르시아의 先王인 다리우스의 魂靈은 그리스 賢者의 모습으로 나타나서 아테네 觀客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부, 명성 믿고 오만하지 말라 파멸하고 말지니

    페르시아가 자랑하는 遺物 黃金마스크.

    그대들은 이런 過誤들과 이에 對한 罰을 보고

    아테나이와 헬라스를 記憶하고, 此後에는 누구도

    自身의 現在 分福(分福)을 업신여기고 남의 것을 탐하다가

    自身의 큰 福마저 엎지르지 않게 하시오.

    (‘아이스킬로스 悲劇 全集’에서 引用)

    페르시아를 통해 그리스를 보다

    ‘페르시아人들’에서 아이스킬로스는 페르시아가 戰爭 相對國이었지만 페르시아人들을 비웃거나 卑下하지 않고 同等한 存在로 描寫하고 있다. 아톳사의 꿈에서 描寫한 그리스 女人과 페르시아 女人의 두 姊妹처럼 말이다. 하지만 悲劇 詩人은 페르시아의 正體性을 規定하면서 그리스의 自己 正體性을 浮刻한다. 作品 속에서 페르시아를 어떻게 描寫하는지 具體的으로 살펴보자.

    첫째, 페르시아 帝國은 王이 統治하는 專制政治로 上命下服의 位階秩序에 기초한다. 太後 亞톳社가 登場하는 場面에서 長老들로 構成된 코러스가 太后에게 말한다.

    저기 神들의 눈과 같은 光明이,

    王의 母后이신 太后 媽媽께서 납시오.

    나는 俯伏할 것이오.

    우리 모두 太后 媽媽께 마땅히

    말로 敬意를 표해야 할 것이오.

    (‘아이스킬로스 悲劇 全集’에서 引用)

    또 長老들은 太后를 女主人이라고 부르면서 “힘이 미칠 수 있는 한 말이든 行動이든 두 番씩 下命하실 必要가 없사옵니다”라고 强調한다. 그들 사이에서는 이의 提起란 不可能하고 團地 命令에 絶對服從하는 것만이 可能한 것이다. 또 獅子(使者)가 살라미스 海戰에 對해 報告하는 演說에서 크세르크세스 王이 提督들에게 命令하는 場面을 보면 專制君主의 典型的인 殘忍性을 엿볼 수 있다. 크세르크세스 王은 그리스인들이 배를 타고 逃走하면 提督들의 목을 모두 베어버리겠다고 威脅한다.

    아테네 市民 觀客은 自由 市民들의 平等에 기초한 自身들의 行動方式과는 다른 페르시아人들의 行動方式에 注目했을 것이다. 아톳사와 코러스가 나누는 對話는 戰爭 相對國인 아테네가 民主政治로 統治하는 나라임을 强調한다. 亞톳社가 “누가 그들의 牧者로서 軍隊를 指揮하지요?”라고 묻자, “그들은 누구의 奴隸라고도, 누구의 臣下라고도 불리지 않사옵니다”라고 코러스가 對答한다.

    둘째, 페르시아 帝國은 過度한 富와 奢侈가 넘쳐나는 王國으로 描寫된다. 페르시아 宮殿은 黃金으로 裝飾되고 軍隊도 黃金으로 번쩍인다. 페르시아의 中心 都市인 사르데이스와 바빌론도 黃金으로 넘쳐난다. 神과 같은 人間 크세르크세스度 黃金의 種族에서 태어났다. 이러한 富裕함을 바탕으로 페르시아 文化는 부드럽고 優雅하며 세련된 特性을 지니고 있다. 甲옷이 찢긴 크세르크세스 王이 王宮에 到着해서 코러스에게 “優雅하게 발걸음을 옮기며 痛哭하시오”라고 命令할 程度다. 하지만 이러한 特性은 그리스인들이 보기에 留約하고 女性的인 것으로 警戒해야 할 對象이다. 따라서 페르시아人들의 物質的 豐饒와 세련되고 優雅한 生活方式은 節制와 儉約을 重視하는 그리스인들의 生活方式과 對照를 이룬다.

    부, 명성 믿고 오만하지 말라 파멸하고 말지니

    다리우스1歲 敎示를 새겨놓은 돌.

    셋째, 페르시아人들은 感情을 過度하게 表現하면서 自己 自身을 統制하지 못하고 自己 訓育이 不足한 모습을 보여준다. 크세르크세스 王이 높은 언덕에 놓인 玉座에 앉아 살라미스 海戰의 敗北를 지켜보며 痛歎하고, 옷을 찢고 날카로운 목소리로 悲鳴을 지르며 步兵部隊에 命令을 내리고 急하게 逃走했다고 獅子가 報告한다. 크세르크세스 王이 舞臺 위에 그 모습을 드러낼 때도 마찬가지다. 王은 가슴을 치고 鬚髥을 뽑으라고 코러스에게 命令한다. 이윽고 코러스는 “아이고, 아이고”를 連發하고 自身도 “아아”로 和答한다. 이처럼 ‘페르시아人들’의 마지막 場面은 王은 勿論 모든 百姓이 敗戰을 슬퍼하고 痛哭하는 소리로 가득 차 있다. 그들의 痛哭이 언제 끝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이러한 行動方式은 當時 觀點에서 보면 女性的 特性이기에 크세르크세스가 悲劇의 英雄이 되기엔 不足한 人物을 暗示한다. 다른 그리스 悲劇 作品 속에 登場하는 英雄 가운데 오이디푸스나 헤라클레스는 挫折과 絶望의 밑바닥에서도 自身의 感情을 統制하고 調節한다. 따라서 크세르크세스 王에겐 自己 統制라는 그리스인의 美德이 缺如돼 있는 것이다.

    이처럼 自己 自身을 統制하지 못하는 페르시아人은 戰爭에서 無秩序하게 行動하고 卑怯했다. 獅子의 報告에 따르면 살라미스에서 海戰을 앞둔 페르시아人들은 그리스인들의 喊聲에 벌써 크게 失望해 怯을 내기 始作했다고 한다. 反面 그리스인들은 決戰을 앞두고 指揮官의 統率下에 秩序整然하고 一絲不亂하게 저녁食事를 準備하는 모습으로 浮刻된다. 또 살라미스 海戰에서 敗하자 페르시아人들은 無秩序하게 허둥대며 도망친다. 戰鬪方式마저 페르시아人들의 卑怯함과 그리스인들의 勇敢함을 對比시킨다. 페르시아人들은 卑怯하게도 멀리 떨어져 활시위를 당겨 화살을 쏘는 것이 長期지만, 그리스인들은 勇敢하게도 槍과 防牌로 武裝해 敵과 맞서 싸운다.

    페르시아人들은 專制政治의 位階秩序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絶對 服從하는 것, 豐富한 物質로 사치스러운 生活에 빠져 있는 것, 過度하게 感情을 表現함으로써 自己 自身을 잘 다스리지 못하는 것, 戰爭에서 無秩序하고 卑怯하게 逃亡치는 것과 같은 惡德을 보여준다. 페르시아人들의 正體性을 이렇게 規定하면서 그리스인들은 自己 正體性을 確立하고자 한다. 民主政治로 自由 市民들이 平等한 權力을 가지는 것, 節制와 儉約하는 生活을 營爲하는 것, 感情을 잘 節制하고 統制하는 것, 戰爭에서 秩序 있고 勇猛하게 敵과 맞서는 것과 같은 美德을 浮刻하는 것이다.

    더구나 ‘페르시아人들’에서는 그리스인이 비록 少數지만 모두 하나가 되어, 모래알처럼 흩어진 多數의 페르시아人과 맞서는 모습이 잘 드러난다. 獅子가 살라미스 海戰을 報告하는 대목에서 아이스킬로스는 살라미스 海戰의 英雄인 아테네의 將軍 테미스토클레스의 이름을 言及하지 않는다. 그의 이름은 勿論 다른 장수들의 이름도 나오지 않는다. 이는 壬辰倭亂의 鳴梁大捷을 書寫하면서 李舜臣 將軍을 言及하지 않는 것과 같다. 反面 페르시아 將軍의 이름들을 列擧하며 그들의 勇猛과 舞踊을 强調한다. 아미스트레스, 아르타프레네스, 메가바테스, 亞스타스페스, 아르템바레스 等 낯선 異邦人의 將軍 이름들이 허황되게 觀客의 귓전을 때렸을 것이다. 그리스 軍士들이 살라미스 海戰에 臨하면서 외치는 喊聲만이 觀客의 마음을 감동시켰으리라.

    오오, 헬라스人들의 아들들이여, 進擊하라!

    우리의 祖國을 解放하라! 우리의 子息들과, 아내들과,

    曺國의 神들의 處所들과, 祖上들의 무덤을 解放하라!

    우리는 只今 모든 것을 걸고 싸우는 것이다.

    (‘아이스킬로스 悲劇 全集’에서 引用)

    이렇듯 그리스인들은 그리스 共同體만을 强調할 뿐이다. 이 作品의 英雄은 平等한 自由 市民들이 一體가 되어 團結하는 都市國家 共同體다. 그러므로 그리스인들의 剛健함이 페르시아人들의 無氣力을 물리치는 것은 當然한 일인 것이다.

    오리엔탈리즘

    戰爭은 文明의 交流와 衝突을 보여주는 劇的인 事件이다. 紀元前 472年에 공연된 悲劇 ‘페르시아人들’은 페르시아 戰爭을 劇化한 것으로 그리스인들이 打者 페르시아 帝國과 交流하고 衝突하면서 무엇을 省察했는지를 잘 보여주는 事例다.

    이 悲劇 作品은 페르시아의 王 크세르크세스를 悲劇 主人公으로 등장시키고 페르시아人의 觀點에서 戰爭을 再現하는 색다른 方式을 取하고 있다. 戰爭에 敗北한 페르시아人들의 運命을 同情하면서도 그 敗戰의 原因을 分析해 正當化하는 것이다.

    이 作品에서 그리스인들은 自己의 思惟 틀로 他者의 悲劇을 正當化한다. 上古 時代 賢者와 詩人들이 開陳한 人間 滅亡의 패턴으로 페르시아人들의 災殃을 分析하고 解釋하는 것이다. 한便 打者 페르시아人들의 正體性을 規定함으로써 自己 그리스인들의 正體性을 浮刻한다. 페르시아의 專制政治와 位階秩序, 엄청난 富와 奢侈, 感情表現의 過渡함, 無秩序, 卑怯함에 對해서 그리스의 民主政治와 平等主義, 儉約과 節制, 自己訓育과 秩序, 勇敢함을 맞세운 것이다.

    要컨대 東西洋 文明의 衝突인 페르시아 戰爭은 그리스인에게 自己(그리스) 안에서 打者(페르시아)를, 타자(페르시아) 안에서 自己(그리스)를 發見하는 過程이었다. 悲劇 ‘페르시아人들’의 分析과 解釋을 繼承한 헤로도투스는 西洋과 東洋, 유럽과 아시아, 그리스인과 非(非)그리스人, 專制政治와 民主政治의 二分法을 더욱 발전시킨다. 이렇게 하여 電子가 後者보다 優越하다는 이데올로기가 생겨난 것이다. 이러한 傳統에서 오리엔탈리즘이 始作되었다는 것은 새삼 놀라운 事實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參考圖書

    ● 김기영, 「아이스퀼로스 悲劇에 나타난 戰爭官」:『페르시아人들』,『테베를 攻擊하는 일곱 장수들』,『아가멤논』을 中心으로, 『西洋古錢學 硏究』, 37(2009).

    ● 천병희 옮김,『아이스퀼로스 悲劇 全集』, 高陽: 숲, 2008.

    ● 천병희 옮김, 헤로도투스 『歷史』, 高陽: 숲, 2009. 홀랜드, 톰, 『페르시아 戰爭-最初의 東西洋 文明 衝突, 只今의 世界를 만들다』

    ● 이승호 옮김, 서울: 冊과 함께, 2006. Hall, Edith, Inventing Barbarian. Greek Self-Definition through Tragedy, Oxford1989.

    擴大鏡 페르시아 戰爭 小史

    오리엔트를 統一한 巨大 帝國, 그리스에 무릎 꿇다


    헤로도투스의 ‘歷史’를 바탕으로 페르시아 戰爭을 整理해보자. 오리엔트를 統一한 最初의 帝國 페르시아는 小아시아 地域으로 領土를 擴張하면서 地中海 일대로 勢力을 뻗치려 했다. 그런데 小아시아 地域에 그리스인들이 세운 植民都市들이 걸림돌이었다. 페르시아가 이들 都市를 壓迫하자, 紀元前 500年頃 이오니아의 都市들이 帝國에 對抗해 蜂起를 일으켰다. 그리스 本土에서는 아테네와 에레트리아가 船團(船團)을 보내 이 蜂起를 支援했다.

    처음에 이오니아人들은 勝戰을 거듭했고, 마침내 페르시아 王權의 中心인 사르데이스를 接受했다. 사르데이스는 火焰에 휩싸여 잿더미로 變했다. 이윽고 小아시아의 거의 모든 種族이 蜂起에 加擔해, 페르시아 帝國에 抵抗하는 불길이 最高潮로 타올랐다. 하지만 蜂起의 氣勢도 이오니아人들이 498年 에페소스 戰鬪에서 敗하자 시들기 始作했다. 494年부터 페르시아는 蜂起에 加擔한 都市들을 次例로 鎭壓해 이오니아를 平定했다. 다리우스 1世는 이오니아人들의 蜂起를 支援한 아테네와 에레트리아에 復讐하고 그리스 本土를 征服하려는 大規模 遠征을 計劃했다.

    第1次 遠征은 紀元前 492年 始作됐지만, 페르시아 艦隊가 暴風을 만나 難破되면서 失敗로 끝나고 만다. 自然의 힘이 그리스人을 도운 셈이다. 491年 다리우스 王은 그리스 全域에 使者를 보내 물과 흙을 服從의 象徵으로 바치라고 要求했다. 많은 都市國家가 이러한 要求를 受諾했지만 스파르타와 그 同盟軍들, 그리고 아테네는 拒絶했다. 490年에 始作한 第2次 遠征은 艦隊 600隻, 地上軍 20萬名, 起兵 1萬名 規模로 이뤄졌다. 이오니아 蜂起를 도운 에레트리아를 잿더미로 만든 페르시아軍은 아테네의 北東쪽에 位置한 마라톤 平原에 上陸했다. 아테네는 스파르타에 支援軍을 要請했지만, 그때 宗敎行事를 치르던 스파르타는 軍隊를 派兵하지 못했다. 어쨌든 아테네의 1萬 重甲兵은 1000名의 聯合軍과 함께 마라톤 平原에서 步兵 10萬과 起兵 1萬의 페르시아軍과 對峙했다. 마침내 두 陣營이 激突한 戰鬪에서 그리스 聯合軍은 左右翼에서 優勢를 보이고 무너진 中央을 相殺하며 페르시아軍을 海岸으로 밀어냈다. 한 傳令이 오늘날의 마라톤 풀코스 거리를 달려 아테네 市民들에게 勝戰의 消息을 傳하고 죽었다. 다리우스 1世는 마라톤 戰爭에서 敗한 지 數年 後 復讐를 하지 못한 채 死亡했다.

    오랜 準備期間을 거친 뒤 紀元前 480年 始作한 第3次 遠征은 크세르크세스 王이 直接 指揮棒을 잡았다. 地上軍 260萬名과 1207隻의 3段 路線 等으로 武裝한 大規模 遠征軍이었다. 그리스 聯合軍은 스파르타를 盟主로 삼아 테르모퓔라이에 1次 沮止線을 設定했다. ‘뜨거운 文’이라는 뜻인 테르모퓔라이는 中央 그리스로 進入하는 峽路로 戰略上 重要한 據點이다. 여기에서 스파르타 王 레오니다스가 이끄는 300名의 決死隊가 聯合軍과 함께 사흘間 結社 抗戰海 페르시아軍의 士氣를 꺾고 수많은 敵을 屠戮했다. 結局 挾攻을 當해 스파르타人 모두가 沒殺되고 말았지만 道德的으로는 勝利한 戰鬪였다. 테르모퓔라이 峽路가 열리자, 그리스 聯合軍은 이스트모스를 2次 沮止線으로 決定했고, 아테네 市民들은 避難길에 올랐다. 페르시아軍은 아테네를 占領하면서 掠奪과 放火를 일삼았다. 아크로폴리스마저 火焰에 휩싸였다. 그리스 聯合軍은 코린토스 地峽을 守備하고, 테미스토클레스가 이끄는 艦隊는 살라미스 섬 周邊에 布陣했다. 거짓 情報에 속은 크세르크세스는 페르시아 艦隊를 좁은 海峽 안으로 進入시켜 攻擊을 開始했다.

    하지만 艦隊가 海峽 안에 갇혀 包圍되자 四方에서 그리스 艦船들의 攻擊이 始作됐다. 페르시아의 배들이 서로 부딪쳐 沈沒하고 그리스 중장步兵들이 배 위에 올라타 페르시아人들을 죽였다. 페르시아軍 屍體와 難破船 破片이 海峽을 뒤덮었다. 크세르크세스 王은 마르도니우스가 指揮하는 地上軍을 남기고 歸還했다. 479年 페르시아 軍隊는 플라타이아 平原에서 그리스 聯合軍과 最後의 一戰을 벌이지만 敗戰하고 만다. 그리스 聯合軍은 페르시아 君을 小아시아 沿岸까지 追擊했다. 結局 그리스 本土를 征服해 復讐하려던 크세르크세스 王의 꿈은 물거품이 됐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