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本 最高 神官의 韓國 遺跡 踏査記|新東亞

日本 最高 神官의 韓國 遺跡 踏査記

“日 建國神, 百濟·新羅에서 건너온 痕跡 確認”

  • 마유미 쓰네타다 日本 夜事카 神社 弓師

    入力 2006-02-16 14:21: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일본 최고 神官의 한국 유적 답사기
    [日本에서는 建國神話에 登場하는 ‘아마테라스오오미카미(天照大神)’라는 女神과 그의 男동생 ‘스사노오노미코토(素盞烏尊)’를 最高의 神으로 꼽는다. 스사노오노미코토는 現在 日本 교토(京都)의 代表的 紳士인 夜事카 神社(八坂神社)에 모셔져 있다. 日本 王室에서 編纂한 歷史冊 ‘日本書紀’에 따르면 스사노오노미코토는 新羅에서 日本으로 건너간 ‘新羅神(神)’이다. 하지만 日本 史學界는 이를 認定하려 들지 않는다. 이런 現實에서 日本 最高의 神觀(神官)으로 꼽히는 夜事카 紳士의 弓師(宮司) 마유미 쓰네타다(眞弓常忠)씨가 스사노오노미코토를 新羅神으로 認定하고 韓國 內 遺跡地를 直接 돌아본 것은 意味가 크다. 마유미氏는 有名한 神學大學人 高架칸(皇學館)大學에서 敎授로 在職한 바 있으며, 神學者로서도 權威를 인정받는 人物이다. 그가 日本 神話에 登場하는 韓國 遺跡地를 돌아보고 韓國외대 홍윤기 敎授(日本社)에게 보내온 踏査記를 整理해 紹介한다.]

    西紀 720年 日本 王室에서 編纂한 ‘日本書紀’의 信義時代 篇(神代·上) 第8段의 歷史記錄에 이런 글이 나온다(괄호 안은 옮긴이 解說).

    “스사노오노미코토는 그의 아들인 ‘利他케루’神을 거느리고 ‘다카마가하라(高天原·하늘나라 벌판)’에서 地上으로 내려와 살았다. 그곳은 신라국의 ‘소시모리(牛頭·蘇의 머리)’였다. 스사노오노미코토는 소시모리에서 다시 바다(東海)를 건너 왜나라 ‘이즈모國(出雲國·現在 日本 시마네縣의 바닷가 地域)’으로 왔다. 이즈모國에서 스사노오노미코토는 머리가 8個 달린 큰 뱀(야마打老오로치)을 ‘가라사非(韓鋤·韓國 삽)’로 쳐서 물리쳤다.”

    여기서 新羅국 소시모리라는 곳은 都大體 어디일까. 第2次 世界大戰 當時 朝鮮總督府는 江原道 春川을 스사노오노미코토의 降臨地(降臨地)인 소시모리로 定하고, 그곳에 神社를 세우려 했으나 日本이 戰爭에서 敗하면서 實現하지 못했다.

    日本 史學界에서는 春川이 소시모리이자, ‘起源神(祇園神)’인 ‘牛痘天王(牛頭天王)’의 緣故地라는 學說이 大勢를 이룬다. 또 ‘소도(蘇塗)’는 솟대라는 기둥을 세워 祭祀를 지낸 터전으로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소’는 古代 韓國語의 ‘소牛(牛)字’에서 由來했다는 學說이 有力하다.



    筆者는 2004年 江原道 春川을 찾았다. 이 地域은 6~7世紀頃 高句麗 땅이었다가 新羅의 領土로 復屬됐다. 春川에는 ‘우두산(牛頭山)’이라고 부르는 나지막한 山이 있다. 山꼭대기가 자그마한 饅頭를 올려놓은 듯한 분舊型인데, ‘소의 머리’를 닮아서 ‘우두산(牛頭山)’ 또는 ‘優秀山(牛首山)’으로 불린다고 한다.

    春川에 ‘麥麴’이 있었다

    일본 최고 神官의 한국 유적 답사기
    韓國 學者로부터 이 山에 얽힌 傳說 하나를 傳해 들었다. 牧童이 소를 山꼭대기로 데리고 올라가 풀을 먹였는데, 그 소가 갑자기 分區를 짓밟아버렸다고 한다. 그런데 이틀 뒤 다시 分區가 솟아올랐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山을 가리켜 ‘솟을뫼(뫼가 다시 솟아났다)’라 부르기도 한다고 한다. 어쩌면 이것이 日本으로 건너가면서 ‘소시모리’로 바뀌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곳에서 어떤 사람들이 日本으로 건너온 것일까. 이와 關聯해 ‘日本書紀’에는 “사이메이 天皇 2年(西紀 656年)에 高句麗 使臣인 ‘이리지(伊利之)’ 等 81名이 日本 王室로 건너왔다”는 글이 있고, 書記 815年에 亦是 日本 王室이 編纂한 ‘新撰姓氏錄(新撰姓氏錄)’ 山城國際番(山城國諸藩)에는 “野史카노美 야쓰코(八坂造)는 麥麴 사람(貊國人) 이리座(之留田麻之意利佐)의 後孫이로다”라는 記錄이 있다.

    이 記錄은 夜事카 紳士가 사이메이 天皇 2年에 세워졌다는 根據가 되기도 하는데, ‘新撰姓氏錄’에 登場하는 夜事카 家門의 祖上 ‘이리座’는 日本書紀의 高句麗 使臣 ‘이리紙’와 같은 人物이라는 데 큰 異見이 없다.

    事實 筆者는 그동안 夜事카 家門이 高句麗人의 피를 이어받았을 可能性에 對해 內心 疑問을 품고 있었다. 그런데 韓國을 訪問해 韓國 學者들과 意見을 交換하면서 새로운 事實 한 가지를 알게 됐다. 그 옛날 春川 地域에 麥麴(貊國·藝脈)이라는 자그마한 나라가 存在했다는 事實이다. 이는 곧 高句麗의 南下에 依해 이 地域에 살던 맥國人이 日本으로 亡命해 왔을 수도 있다는 推論을 可能하게 한다.

    일본 최고 神官의 한국 유적 답사기

    夜事카 神社(人坂神社) 入口. 日本에서 가장 規模가 큰 이 紳士는 新羅神 스사노오노미코토를 모신다.

    또 新羅, 백제와 霸權을 다투던 高句麗가 强盛해져 南下하던 時期가 656年 前後라는 點도 注目된다. 이와 함께 우두산 隣近의 ‘바리뫼’라는 언덕은 우두천王妃(牛頭天王妃)인 ‘하리采女(頗梨采女)’와 聯關이 있을 可能性이 높아 좀더 綿密한 調査의 必要性을 切感했다.

    이튿날 俗離山 法住寺를 찾았다. 그곳에는 무쇠로 만든 높이 16m의 幢竿(幢竿)이 우뚝 서 있다. 法住寺에서는 法司(法事) 때 그 黨間에 흰 旗발을 단다고 한다. 하지만 法住寺의 法師는 古代 祭祀와 크게 다르다. 果然 그 옛날에 旗발을 달기 위해 이처럼 높은 幢竿을 세웠을까. 確認할 수는 없지만 黨間은 神社(神事)를 위해 세워진 象徵物日 可能性이 높다. 드높은 기둥은 神이 내려온 소시모리人 同時에 우두산의 象徵일 可能性이 多分하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黨間이나 幢竿支柱의 痕跡은 백제文化圈人 忠南의 扶餘와 公州, 伽倻文化圈人 高齡 等地에서도 나타난다. 全北 益山의 미륵사지에는 幢竿을 세웠던 地主가 남아 있다. 彌勒寺는 백제 滅亡 뒤인 統一新羅時代에 세워진 名札이다. 이곳 境內 9層 石塔 앞 左右에 세워진 2基의 幢竿支柱는 소시모리 또는 春川의 우두산과 聯關이 있는 듯하다. 하지만 아직 그 具體的인 聯關性에 對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마찬가지로 日本 스와(諏訪) 地方의 ‘어주제(御柱祭)’, 이즈모 다이샤(出雲大社) 神宮에서 擧行하는 ‘심어주(心御柱)’, 그리고 夜事카 神社 ‘氣溫 마쓰里(祈願祭)’ 때의 好코(·兩쪽 面에 칼날이 서 있는 窓) 等이 소시모리 또는 우두산과 어떤 關係가 있는지에 對해서도 硏究가 必要하다.

    神話 속 驅魔나리는 百濟 公山城?

    ‘日本書紀’ 信義時代 篇(上 第8段 1서-5)에는 “스사노오노미코토는 舊마나리(熊成) 봉우리에 계시다가, 드디어 네노쿠니(根國·뿌리의 나라)에 들어가셨다”는 記錄이 있다. 여기서 驅魔나리는 ‘日本書紀’에 登場하는 ‘이즈모(出雲)’, 古事記의 ‘구마노(熊野)’ 等과 같은 地域의 다른 表記로 解釋되고 있다. 또 驅魔나리는 음 그대로 ‘久麻那利’로 쓰고 읽기도 한다.

    ‘日本書紀’(雄略 21年 3月 初)에는 “天皇은 百濟가 高句麗 때문에 破滅당했다는 消息을 傳해 듣고, 舊마나리(久麻那利)를 문주왕(文州王)에게 주어 그곳을 터전으로 나라를 救援해 일으켰다”는 記錄이 있고, 그 脚註를 보면 “驅魔나리는 任那國(任那國)의 別邑(別邑)이다”라고 돼 있다.

    유랴쿠(雄略)王 21年은 서기 476年이다. 그 한 해 前인 475年, 백제는 高句麗의 攻擊을 받고 光州(廣州) 都城을 함락당해 熊津(只今의 公主)을 거쳐 다시 538年에 私費(扶餘)로 王道를 옮겼다. 이때 雄鎭에 머물던 63年間 都城으로 使用했던 곳이 忠南 公州의 公山城(公山城)이다.

    結局 脚註에 나타난 任那의 別邑은 時期上으로나 歷史的 背景을 基準으로 볼 때 公山城日 可能性이 높다. 그러나 日本 歷史學者 쓰다 소牛키치는 이에 對해 “日本의 權威와 恩惠를 나타내고자 한 文章이며 거짓 假說에 不過하다”고 主張한다.

    公州 市內로 들어서는 다리 앞에는 곰(熊) 石像이 서 있다. 公主가 舊마나리이며 漢字로는 ‘熊成’이고, 그곳이 바로 ‘日本書紀’의 神話에 나오는, 스사노오노미코토가 바다를 건너기 前 마지막으로 머문 땅일 可能性이 높다는 事實을 어떻게 解釋해야 할까.

    公山城은 錦江 기슭에 있는 酸性으로 過去 백제 때는 熊津城이라고 하던 곳이다. 城郭 總延長은 2660m이고, 雙修正과 그 앞에 王宮터와 임類角 및 城門의 痕跡이 조금 남아 있다. 또 이곳에는 서기 523年과 526年에 各各 死亡한 武寧王과 王妃를 安葬한 武寧王陵이 있다. 1971年 종산리 古墳群의 排水路 工事 中 偶然히 王과 王妃의 墓誌石이 發見돼 뒤늦게 大規模 賣場遺物이 發掘됐다. 그런데 武寧王陵의 入口 옆에도 곰의 石像이 놓여 있어 눈길을 끌었다.

    失敗한 日本의 ‘百濟 救하기’

    한便 ‘日本書紀’에는 羅唐聯合軍의 攻擊을 받던 백제를 救하기 爲해 日本에서 支援軍을 派兵해 羅唐聯合軍과 싸웠다는 記錄이 있다.

    일본 최고 神官의 한국 유적 답사기

    新羅神(日本 最高神) 스사노오노미코토의 神位를 모신 祠堂. 뒤쪽 本神殿은 5年째 復元工事 中이다.

    백제의 마지막 都城인 扶餘의 扶蘇山城은 錦江(白馬江)과 接한 언덕 위에 있다. 緩慢한 언덕길이지만 山城까지는 한참을 올라야 한다. 그 옛날 백제王은 每日 아침 이 길을 올라 英日루(迎日樓)에서 해돋이를 보고, 軍倉(軍倉)터와 사비루(泗?樓), 백화정(白花亭)을 거쳐 錦江 船着場으로 내려갔다고 한다. 백화정 바로 앞에는 백제를 侵攻한 羅唐聯合軍을 被害 宮女 3000名이 江으로 몸을 던졌다는 落花巖이 있다.

    百濟는 사이메이(齋明) 天皇 6年(西紀 660), 羅唐聯合軍에게 함락당했다. 그 直後 百濟의 將帥 鬼室福信(鬼室福信)의 支援要請을 받은 日本 天皇은 2萬7000餘 名의 兵士를 백제에 派遣했다. 그러나 日本 水軍이 백촌江(白村江)에서 大敗하면서 無爲로 돌아갔다. 백촌江은 現在의 錦江 下流를 말한다.

    덴치(天智) 天皇2年(663) 8月, 倍 170隻과 兵士 7000名을 거느린 日本 水軍은 백촌江에서 다시 한 番 唐나라 水軍과 大戰했으나 또다시 敗北하고 말았다. 백제국의 復活은 끝내 失敗로 돌아가고 말았다.

    옛 伽倻文化圈人 慶北 高齡의 伽倻大學校 캠퍼스 內에는 ‘고천원告知(高天原故地)’라고 새긴 碑石이 있다. ‘日本書紀’에서 고천원은 日本 神話에 登場하는 神들이 노닐던 하늘터전을 말한다.

    高齡이 ‘고천원’이라는 새로운 學說

    가야대 이경희 總長은 캠퍼스에 造成된 고천원 公園을 案內하면서 慶北 高齡이 바로 고천원이라고 主張했다. 다음은 이 總長의 主張 中 一部다.

    “하늘神의 後孫은 바로 이곳으로 내려와 日本 규슈 家事社(笠狹)의 미사키(御崎)로 건너갔다. 日本 神話에 자주 登場하는 神聖한 器物 세 가지는 靑銅거울, 玉, 칼이다. 그런데 伽倻時代의 代表的인 칼인 環頭大刀(環頭大刀)와 똑같은 생김새의 칼이 日本 이즈모의 스社 神社(須佐神社)에 있고, 가야 特有의 紋樣을 가진 土器가 日本 규슈의 미야자키현에서도 發掘된 事實 等을 볼 때 高齡이 고천원이라는 學說이 妥當하다.”

    筆者는 이와 關聯한 內容을 韓國 歷史書에서도 찾을 수 있었다.

    ‘고천원의 主役은 아마테라스오오미카미와 그의 동생인 스사노오노미코토와 國祖神 다카미무스히노미코토(高皇産靈尊) 3名이다. 고천원에서 新羅에 내려왔다는 天子가 스사노오노미코토이고, 다카미무스히노미코토는 아마테라스오미카미의 孫子인 니니기노미코토를 고천원에서 地上으로 내려 보낸 神이다. 그런데 ‘高皇産靈尊’이라는 神의 이름은 ‘高靈’과 ‘皇産’이라는 두 單語로 엮여 있는데, 여기서 慶北 高齡(高靈) 出身이라는 것을 類推할 수 있다.’

    또한 伽倻山 南쪽에 우두산이 있다는 이야기도 傳해 들었다. 하지만 時間에 쫓겨 直接 찾아가 確認하지는 못했다. 옛 伽倻 땅에 고천원의 터가 있고, 우두산이 存在한다는 것은 全혀 豫想치 못한 일이다. 現在로서는 高齡이 고천원이라는 說은 肯定하거나 否定할 만한 歷史的 資料가 不足해 아직은 무엇이라고 斷定하기 어렵다. 다만 그런 學說이 韓國에 있다는 事實은 記憶해야 한다.

    일본 최고 神官의 한국 유적 답사기
    眞弓常忠
    ● 日本 高架칸(皇學館)大 信徒 (神道)學科 卒業
    ● 스미요시타이샤(住吉大社) 神官
    ● 現 高架칸代 名譽敎授, 夜事카 神社 弓師
    ● 著書 : ‘日本 古代祭祀의 硏究’ ‘信徒(神道)의 世界’ ‘日本 마쓰里와 對象制’ ‘氣溫信仰事前’ 等


    무엇보다 日本 建國神話에 登場한 最高神들이 新羅 또는 백제의 땅에서 건너왔다는 學說이 ‘日本書紀’의 內容과 一致할 境遇 이를 어떻게 解釋해야 할 것인지가 가장 큰 問題다. 그동안 日本 歷史學者들은 이를 擧論하는 것 自體를 꺼려왔다.

    ‘飜譯·홍윤기 韓日國際王仁學會長·韓國외대 敎授’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