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色깔과 數字, 模樣 따라 달라지는 ‘道路標識板’ 意味

色깔과 數字, 模樣 따라 달라지는 ‘道路標識板’ 意味

김동진 kdj@itdonga.com

[IT東亞 김동진 記者] 道路標識板은 色깔과 數字, 模樣에 따라 各其 다른 意味를 지닌다. 休憩所와 駐車場 標識板은 靑色, 觀光地를 알리는 標識板은 褐色으로 區分하는 方式이다. 運轉者라면 누구나 混同할 수 있는 道路標識板의 意味와 함께 數字로 表記한 起點 標識板을 읽는 方法을 살펴봤다.

출처=도로교통공단
出處=道路交通公團

色깔 따라 다른 意味 지니는 道路標識板…東西南北 알리는 數字

道路表紙規則 第8條(道路表紙의 色彩) 各項에 따르면, 道路表紙의 바탕色은 綠色으로 하지만, 高速國道나 一般國道 및 自動車專用道路 外의 道路에 設置하는 境界 標示나 里程標 등은 靑色으로 表記한다. 觀光地 表紙의 境遇 褐色을 使用해 다른 表紙와 區分한다.

출처=도로교통공단
出處=道路交通公團

各 道路를 區分하는 標識는 色相과 함께 模樣에 따라 意味가 달라진다. 위 이미지上 上段의 模樣과 數字, 글字를 基準으로 參考바란다.

먼저 自動車만 다닐 수 있는 自動車 專用 道路인 高速道路와 全國 主要 都市를 連結하는 期間網 道路인 高速·一般國道 表記는 淸白 바탕에 흰色 글字를 使用한다.

地自體 都市의 主要 道路網과 周邊 地域을 連結하는 特別市道, 廣域市道 表記는 白色 바탕에 靑色 글字를 使用하고, 도 또는 地方自治道가 管轄하는 道路인 地方도 表記는 黃色 바탕에 靑色 글字를 使用한다.

아시아太平洋經濟社會理事會(ESCAP)가 아시아 國家 間 交流 協力 擴大를 目的으로 32個國을 連結하기 위해 推進 中인 國際 自動車道路, 아시안하이웨이 道路 表記는 白色 바탕에 黑色 글字를 使用한다.

標識板 속 數字의 意味도 參考할 必要가 있다. 道路 標識板 속 數字는 東西南北의 方向을 나타낸다.

먼저 남-北 方向의 道路 表記는 홀數를 使用하며, 오른쪽으로 갈수록 道路 番號가 10씩 커진다. 예컨대 남-北 方向의 道路를 타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15, 25, 35로 表記되는 方式이다. 東-西 方向의 道路 表記는 짝數 番號를 使用하며, 위로 갈수록 番號가 10씩 커진다. 예컨대 東-西 方向의 道路를 타고 위로 갈수록 10, 20, 30로 表記되는 方式이다.

출처=국토교통부
出處=國土交通部

알아두면 有用한 起點標識板

起點標識板은 高速道路 始作 起點에서부터 現在 거리를 알려주는 役割을 하므로 알아두면 有用하다.

기점 표지판. 출처=차량관리 앱 마이클
起點 標識板. 出處=車輛管理 앱 마이클

起點標識板은 走行 方向 오른쪽에 位置하며 南北方向 高速道路는 南쪽을, 東西方向 高速道路는 西쪽을 起點으로 表記한다. 草綠色 바탕에 있는 數字는 起點으로부터의 距離(km)를 나타내고 흰色 바탕에 있는 點과 數字는 小數點 거리를 뜻한다.

위 이미지上 105와 .8은 高速道路 起點으로부터 105.8km 位置에 있다는 뜻이다. 起點 標識板의 意味를 알고 있다면 緊急 狀況 時 自身의 位置를 正確하게 알릴 수 있어 有用하다.

道路交通公團 關係者는 “色깔과 模樣에 따라 다른 意味를 지니는 道路標識板과 起點標識板의 意味를 正確하게 熟知해 走行 安全을 確保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글 / IT東亞 김동진 (kdj@itdonga.com)

IT東亞 의 모든 콘텐츠(技士)는 Creative commons 著作者標示-非營利-變更禁止 라이선스 에 따라 利用할 수 있습니다.
意見은 IT東亞(게임東亞) 페이스북 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