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방 박영걸 CTO, "직방의 홈 IoT 事業은 더 살기 좋은 집 爲한 技術"

직방 박영걸 CTO, "직방의 홈 IoT 事業은 더 살기 좋은 집 爲한 技術"

남시현 sh@itdonga.com

[IT東亞 남시현 記者] “직방이 窮極的으로 追求하는 方向은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이다. 草創期에는 원룸 爲主의 不動産 情報 提供 서비스로 始作했지만, 집을 求하는 사람들의 需要와 데이터 分析을 거치면서 보다 나은 삶, 더 살기 좋은 곳을 提供하는 技術을 다루는 쪽으로 進化하고 있다. 이것이 우리가 프롭테크에 技術을 融合하고 있는 理由다”

프롭테크는 不動産(Property)과 技術(Technology)을 합친 單語로, 不動産에 IT 技術이 합쳐진 領域이라 할 수 있다. 草創期의 직방은 不動産 情報 提供 서비스였으나, 11年 사이 가파른 成長勢를 이어오면서 最近에는 집과 關聯된 多元化된 産業 構造를 追求하고 있다. 그렇다면 직방이 꿈꾸는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이란 무엇이며, 어떤 技術을 프롭테크와 融合하고 있는 것일까? 직방의 最高技術責任者(CTO)인 박영걸 副社長, 그리고 홈 IoT(Internet of Things, 以下 事物인터넷) 플랫폼 事業部 김종원 팀長이 자리를 함께했다.

焦點은 집이 아닌 사람··· 사람 爲한 技術 開發 中

직방 박영걸 부사장(좌)와 김종원 홈 IoT 플랫폼 사업부 팀장(우). 제공=AWS
직방 박영걸 副社長(左)와 김종원 홈 IoT 플랫폼 事業部 팀長(郵). 提供=AWS

朴 副社長은 직방의 技術 戰略, 特히 不動産을 技術的인 視角에서 디지털로 轉換하는 過程을 그리고 있다. 建築이나 垈地 等 不動産의 物理的인 要素를 하드웨어, 여기에 따라오는 서비스나 人的 資源, IT 要素 等을 소프트웨어로 따지고, 이를 燥하고 디지털化하는 데 必要한 技術 全般을 開發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遠隔 勤務와 疏通 過程 等을 디지털로 轉換하는 役割도 함께 遂行 中이다. 김종원 팀長은 직방이 追求하는 ‘더 살기 좋은 곳을 만드는 技術’과 關聯된 事物인터넷 技術 開發을 이끌고 있다.

設立 11年 次를 맞았지만, 직방이 追求하는 目標에는 變함이 없다. 朴 副社長은 遠隔 勤務와 據點 오피스, 그리고 事物인터넷 技術의 結合으로 나아가고 있는 직방의 方向에 對해 簡略히 紹介했다. "直房 亦是 코로나 19를 起點으로 變化를 맞았다. 初期에는 직방 亦是 큰 事務室을 두고 있었지만, 코로나 19로 遠隔 勤務를 竝行하게 되면서 京畿圈 全域에 60餘 個의 직방 라운지를 마련하게 됐다. 하지만 이런 方式의 勤務는 所謂 말하는 커넥티드 環境으로 볼 순 없었고, 硏究 開發을 거쳐 메타버스 基盤의 메타폴리스를 公開했다. 結果的으로 직방은 집과 事務室을 어떻게 업그레이드하느냐에 挑戰하고 있으며, 여기에 事物인터넷 或은 技術을 導入하는 方式으로 對應하고 있다"고 말했다.

직방이 코로나 19에 설립한 거점 오피스 '직방라운지'. 제공=직방
직방이 코로나 19에 設立한 據點 오피스 '직방라운지'. 提供=직방

勿論 직방度 코로나 19 이전인 2019年부터 디지털 轉換 計劃을 樹立하며 事物인터넷 等의 市場으로 進出할 計劃을 樹立해온 바 있다. 金 팀長이 직방의 事物인터넷 事業 方向에 對해 紹介했다. "旣存의 事物인터넷 市場은 製造社 爲主의 製品이었지만, 직방의 事物인터넷은 空間 自體에 集中하고 있다. 많은 裝置를 플랫폼으로 連結하고, 이를 標準化하고 더 쉽고 便利하게 만들까 苦悶한다"라며 입을 열었다. 이어서 "現在는 無人 오피스나 비디오 폰 게이트웨이, 도어록, 카메라 連結性, 事物인터넷 하드웨어 等 집과 關聯된 IoT 事業을 多角的으로 準備 中이다"라고 말했다.

김종원 홈 IoT 플랫폼 사업부 팀장(우). 제공=AWS
김종원 홈 IoT 플랫폼 事業部 팀長(郵). 提供=AWS

이 過程에서 金 팀長은 AWS의 IoT 코어에 對한 얘기를 꺼냈다. AWS IoT 코어는 事物인터넷 裝置를 클라우드와 連結하는 서비스며, IoT 基盤 솔루션 統合에 必要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함께 提供하는데, 직방 亦是 이 서비스를 利用하고 있다. 金 팀長은 "집안에 인터넷을 넣는 게 어려운 일인 만큼, 누구나 끊어짐 없이 事物인터넷 基盤의 홈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게 課題다. 그래서 직방 IoT 事業部는 擴張性이나 互換性 等 使用者의 利用에 끊어짐이 없게 하기 위해 AWS Iot 코어를 使用하고 있다"고 말했다. 自體 開發을 통해 閉鎖的인 生態系를 만들지 않고,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事物인터넷 生態系를 構築하기 위한 努力이다.

직방이 開放的인 開發 文化를 갖춘 背景에 對해 朴 副社長은 "共有, 借用, 自動化, 經驗을 통한 認識 變化"라는 네 가지 모토를 꼽았다. 그는 "직방의 開發 文化는 한땀 한땀 만드는 側面보다도, 必要한 部分은 自動化하고 더 效率的으로 나아가는 데 焦點을 맞춘다. 배울 것은 배우고, 借用할 것은 借用하는 實利的인 文化다.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있어서도 그 結果物을 直接 適用하고 經驗한 事例를 基盤으로 한다. 德分에 직방은 다른 技術 企業들보다 받아들이는 게 빠르고, 또 積極的으로 導入하는 便이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直房 內에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넘어서는 클라우드 머스트라는 用語를 쓰고 있다. 클라우드를 쓰는 게 全部가 아니라, 어떻게 해야 잘 使用할지를 强調하는 것이다. 그만큼 직방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폭넓게 活用하고 있고, 自動化를 가장 重要하게 생각한다. 主要 業務가 집을 어떻게 업그레이드할까인 만큼, AWS의 서버리스 컴퓨팅 플랫폼인 람다나 이벤트 發生 管理人 AWS IoT 이벤트 等을 導入해 비 開發的인 要素는 自動化하고, IoT 開發 作業에만 集中한다”고 答했다.

"IoT 플랫폼의 基盤은 데이터, 메타버스도 그 一環"

직방의 가상 오피스 플랫폼 ‘소마(Soma)’. 제공=직방
직방의 假想 오피스 플랫폼 ‘蘇摩(Soma)’. 提供=직방

한便, 지난해 직방은 메타버스 基盤의 事務室 '메타폴리스'를 公開한데 이어, 올해 '蘇摩'로 領域을 넓혔다. 프롭테크 企業이 웬 메타버스인가 생각할 수 있지만, 朴 副社長은 이 亦是 IoT 事業과 關聯이 있으며 未來 戰略 實現을 위한 方案이라고 말했다. 朴 副社長은 "直房 서비스 中에 모바일 모델하우스나 3D 團地 투어 等이 있다. 이런 技術을 우리는 직방 3D(ZED)라고 부르는데, 이 서비스를 應用한 게 假想 오피스"라며 소마의 登場 背景을 紹介했다.

그는 "직방의 假想 오피스 소마는 오프라인에 있는 事務室을 假想으로 옮긴 世界다. 그래서 本人이 願하는 位置를 가려면 直接 假想 世界에서 移動해야 하고, 會議를 하려면 모든 人員이 같은 空間으로 모여야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들을 우리는 버추얼 싱(Vitrual Thing)이라고 한다. 이런 觀點으로 形成된 데이터도 事物인터넷 開發에 活用하자는 게 소마의 當面한 目標"라고 말했다.

직방 박영걸 최고기술책임자. 제공=AWS
직방 박영걸 最高技術責任者. 提供=AWS

只今까지의 직방은 '不動産' 企業이라는 이미지가 剛하다. 하지만 직방은 只今까지 쌓아온 經驗과 技術을 土臺로 프롭테크 企業이 갈 수 있는 다양한 經路를 計算하고 있다. IoT와 클라우드, 메타버스를 斷片的인 조각만 보고서는 理解하기 어렵지만, 有機的으로 連繫된 點들을 짚어보면 最適의 經路를 찾기 위한 試圖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직방이 追求하는 未來는 어떨지, 朴 副社長에게 具體的인 整理를 付託했다.

박영걸 副社長은 "직방은 現在의 포트폴리오를 活用해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發展하려는 게 窮極的인 目標다. 이를 爲해 직방 유저 인터페이스(ZUIX)를 基盤으로 다양한 시스템의 使用者 經驗을 一貫性 있게 整列하고 있고, 또 IoT 플랫폼은 여러가지 이기종 시스템이 互換되고 連結될 수 있도록 製作하고 있다. 또한 직방 3D 技術인 제드(ZED)와 모바일 技術을 融合하려는 試圖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우리는 다양한 製造社와 産業 生態系, 連繫 可能性이 있는 쪽으로 事業을 풀어갈 수 있는 플랫폼을 志向하며, 오픈 리스라는 키워드를 土臺로 열린 方向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努力할 것"이라고 答했다.

글 / IT東亞 남시현 (sh@itdonga.com)

IT東亞 의 모든 콘텐츠(技士)는 Creative commons 著作者標示-非營利-變更禁止 라이선스 에 따라 利用할 수 있습니다.
意見은 IT東亞(게임東亞) 페이스북 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