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트業 첫걸음] 寄稿를 始作하며

[스타트業 첫걸음] 寄稿를 始作하며

남시현 sh@itdonga.com

[IT東亞]

中小벤처企業部가 發表한 ‘2023年 年間 創業企業 動向’에 따르면 2023年 年間 創業企業 數는 約 123萬 8千 件에 達하며, 2018年 以後로 每年 約 100萬 個의 新生 創業企業이 誕生한다. 그러나 統計廳 資料를 통해 新生 創業 企業들의 生存率을 보면 2021年度 基準으로 1年 生存率은 64.1%, 5年 生存率은 34.3%로 相當數의 企業이 데스밸리에 進入조차 못 하고 사라진다.

創業 액셀러레이터로 活動하면 많은 사람과 다양한 企業을 만날 機會가 주어진다. 創業의 꿈을 안고 찾아오는 學生들부터 投資誘致까지 成功的으로 이뤄낸 有望 스타트업 代表들까지, 서로 바라보는 方向과 걸어온 길은 다르지만, 創業에 對한 熱望은 뜨겁기만 하다.

現場에서 만난 스타트업은 어떨까. 經驗에서 쌓인 노하우는 쉽게 따라 할 수 없음을 보여주기라도 하듯 몇 年間 自身의 會社를 이끌어온 분들에게는 해드릴 수 있는 이야기가 많지 않다. 失敗와 成功을 모두 겪어본 代表들은 조금의 方向性만 案內해도 自己 經驗을 바탕으로 금세 앞을 向해 나아간다.

反面, 豫備創業者와 初期創業者는 첫 始作의 설렘만큼이나 궁금한 것도 많고 이야깃거리가 다양하다. 나에게는 익숙한 이야기가 相對方에게는 新鮮한 情報로 받아들여지고, 새로운 挑戰을 始作할 原動力이 되는 過程을 함께하는 것도 무척 뿌듯한 일이다.

누구나 첫 시작은 있다. 그것이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라면 가능한 많은 정보를 모으고, 모든 결정에 심사숙고해야 한다 / 출처=셔터스톡
누구나 첫 始作은 있다. 그것이 企業을 運營하는 것이라면 可能한 많은 情報를 모으고, 모든 決定에 深思熟考해야 한다 / 出處=셔터스톡

한 分野의 專門家로 成長하기 위해서는 始作이 重要하다. 나 亦是 創業 액셀러레이터가 되겠다고 다짐한 以後, 專門家로 成長하기 위해 많은 情報를 찾았다. 外部 變化나 다양한 狀況에 影響을 많이 받는 分野인 만큼, 定해진 틀보다는 흐름 그 自體를 읽는 게 重要했다. 最大限 많은 사람을 만나고 講演이나 行事가 있으면 꼭 參席해 現在 狀況을 把握하고 變化를 느끼려 努力했다.

冊이나 인터넷도 도움이 됐지만, 스타트업은 어떻게 始作하는지 어떤 過程을 거쳐서 成長하는지 現場에서 直接 보고 느끼는 것이 가장 큰 工夫라 생각했다. 當時에 만난 因緣과 그들에게서 배운 點은 只今도 내가 成長할 수 있는 밑거름이다.

當時 講演과 프로그램에도 參與하며 배운 點은 많지만, 始作을 準備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情報가 不足하다는 點은 아쉬웠다. 特히 博覽會나 콘퍼런스는 一般的으로 成功한 企業이나 有望 스타트업이 完成된 아이템을 紹介하고 이야기한다. 初期 스타트업에게는 羨望의 視線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나 ‘내 이야기와 狀況’에 椄木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고 느꼈다.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當然한 內容들이지만, 이제 막 始作한 創業者들은 쉽게 생각할 수 없는 內容들을 明確하게 알려주는 곳이 많지 않다는 건 分明 아쉬운 일이다.

기업마다 스타트업의 성장 스토리는 다르지만, 성장 과정 자체는 거의 다 동일하다 / 출처=셔터스톡
企業마다 스타트업의 成長 스토리는 다르지만, 成長 過程 自體는 거의 다 同一하다 / 出處=셔터스톡

모든 企業들에게는 첫 始作이 있다. 創業 아이디어를 發掘하고, 市場性을 檢證하는 過程까지, 밟아온 方法과 期間의 差異는 있지만 段階가 省略되는 境遇는 거의 없다. 하지만 말 그대로 未來를 向한 ‘첫 始作’인데 該當 內容을 어디서, 어떻게 배우고 情報를 얻었는지 물어본다면 明確하게 對答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實際 많은 豫備創業者들은 自身의 아이디어가 正말 市場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지, 初期 人力은 어떻게 構成해야 하는지 깊게 苦心한다. 혼자 인터넷을 찾거나 運이 좋으면 先輩 創業者에게 情報를 얻겠지만, 他人의 經驗談이 꼭 내가 가는 길의 正答은 아니기에 最終 判斷에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된다.

實際 멘토링을 進行하다 보면 '이제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르겠어요’, '프로그램을 參與할 때 어떤 걸 準備하면 되나요’라는 質問을 받을 때가 많았다. 인터넷이나 冊 等을 통해 情報는 많이 모았으나, 언제 어떻게 活用해야 하는지와 注意할 點에 對해 組合과 判斷이 어렵다는 것이다.

創業 分野의 境遇 全體的인 흐름은 있지만, 꼭 段階와 投入된 時間만큼 結果가 나오는 게 아니어서 어려움이 많다. 아이템 流出에 對한 걱정과 憂慮는 勿論 市場의 變化도 빠르고, 豫測 不可한 狀況이 發生할 可能性도 散在해있다는 點 等은 이제 막 出發線에 서 있는 代表에게는 큰 苦悶이다.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예비창업자, 초기창업자에게 어떻게 시작할지를 이번 기고를 통해 풀어나가겠다 / 출처=셔터스톡
스타트업을 始作하는 豫備創業者, 初期創業者에게 어떻게 始作할지를 이番 寄稿를 통해 풀어나가겠다 / 出處=셔터스톡

한 豫備創業者는 ‘모두가 알아서 잘 가고 있는데 나만 모르는 것 같다’라는 이야기를 털어놓은 적이 있다. 여러 스타트업이 모이는 자리에 가도 大部分 投資 等 어느 程度 段階가 進行된 內容에 對해 얘기할 뿐이니, 自身이 가진 苦悶이 너무 기초적이고, 물어보면 不足하고 뒤처지고 있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는 두려움도 느껴진다 했다. 나름대로 情報를 蒐集해 渴症을 解消하려 하나, 처음인 만큼 걱정만 늘어간다는 것이다.

創業 分野에 있어서 누군가에게 큰 일은 다른 사람에게는 대수롭지 않을 수 있고, 사람마다 같은 危機나 機會가 찾아온다는 保障도 없다. 그렇기에 正答은 아니더라도 最小限 스타트업이 始作點에서 參考할 수 있다는 內容이 있으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혼자만의 苦悶이 아니고, 누구나 겪는 過程일 뿐이라는 하나의 慰勞이자 參考 資料랄까.

앞으로의 連載에서는 '스타트業 첫걸음'을 主題로 豫備創業者부터 初期創業者까지 參考할 수 있는 이야기와 나의 經驗을 담고자 한다. 創業 아이디어는 어떻게 始作되고, 該當 아이디어를 檢證하는 過程에 이어 創業支援機關을 찾고 멘토링을 받는 過程까지. 스타트업의 始作에 서 있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經驗을 바탕으로 풀어낸다.

첫 始作點이 漠漠함보다는 조금은 便安한 瞬間으로 記憶되길 應援하며, 老鍊한 航海士보다는 이제 막 自身만의 배를 띄우는 創業者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글 / 박미림 創業 액셀러레이터
서울創造經濟革新센터 創業革新팀 所屬, 中小벤처企業部 育成 超隔差 10代 分野 딥테크 스타트업과 大企業을 連繫하는 테크브레이즈 事業, 革新센터 트랙 基盤의 購買條件附 事業을 運營하고 있다.

整理 / IT東亞 남시현 (sh@itdonga.com)

IT東亞 의 모든 콘텐츠(技士)는 Creative commons 著作者標示-非營利-變更禁止 라이선스 에 따라 利用할 수 있습니다.
意見은 IT東亞(게임東亞) 페이스북 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