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러마인드 “現代人의 지친 마음 달래는 技術로 글로벌 市場 攻略” [스타트業in科技大]

베러마인드 “現代人의 지친 마음 달래는 技術로 글로벌 市場 攻略” [스타트業in科技大]

권택경 tk@itdonga.com

서울科學技術大學校 創業支援團은 創業保育센터를 통해 有望 스타트업에 入住空間과 멘토링, 네트워킹, 事業化 支援을 提供하며 그들의 成長을 돕고 있습니다. '스타트業in科技大'는 서울科學技術大學校 創業保育센터를 보금자리로 삼아 跳躍을 꿈꾸는 스타트업들의 얘기를 傳합니다.

[IT東亞 권택경 記者] 保健福祉部의 2021 精神健康實態調査에 따르면 國內 精神障礙 平生 有病率은 全體 27.8%로 나타났다. 成人 4名 中 1名 以上이 平生 한 番 以上 精神健康 問題를 經驗하고 있다는 意味다. 疾患 水準까지는 심해지지 않더라도 熾烈한 競爭 社會 속에서 不安, 無氣力, 挫折感 等 否定的 感情으로 조금씩 마음이 곪아가는 境遇는 드물지 않다. 韓國만의 問題는 아니다. 競爭이 熾烈한 실리콘밸리에서는 스트레스를 理由로 스타트업 代表가 職을 내려놓는가 하면, 번아웃 症候群이 傳染病처럼 퍼지기도 한다.

海外에서는 이런 精神健康 問題의 解法 中 하나로 冥想에 注目한다. 마음챙김(Mindfulness)이 代表的이다. 釋迦牟尼가 깨달음을 얻을 때 썼다는 佛敎 冥想法의 一種인 위파사나를 現代的으로 再解釋한 冥想法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구글처럼 組織 次元에서 마음챙김을 勸奬하기도 하고, CEO들이 나서서 마음챙金의 傳道師가 되기도 한다. 트위터 創業者 잭 都市나 빌 게이츠도 마음챙김을 즐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의 애플워치에 ‘마음 챙기기’가 基本 機能으로 들어가 있는 것도 이들이 ‘마음챙김’을 얼마나 重要하게 여기는지 잘 보여준다.

이런 雰圍氣를 타고 마음챙김을 돕는 冥想 앱을 開發해 兆 單位 價値를 지닌 스타트업을 일구기도 한다. 캄(Calm), 헤드스페이스(Head Space)가 代表的이다. 國內에도 이들처럼 冥想 앱으로 글로벌 市場 攻掠을 꿈꾸는 스타트업이 있다. 바로 베러마인드다.

최예신 베러마인드 대표 / 출처=IT동아
최예신 베러마인드 代表 / 出處=IT東亞

스타트업 베러마인드를 創業한 최예신 代表도 오랜 大企業 生活 끝에 挫折의 時期를 겪었다. 그러면서 自然스레 마음을 돌본다는 게 얼마나 重要한 일인지 깨달았다.

“職場 生活이 나이가 들수록 쉽지 않았어요.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죠. 안 되겠다 싶어 冥想센터를 찾아서 열흘間 默言 冥想을 했습니다. 그러는 동안 제 삶의 行跡, 內面의 欲望을 되돌아보게 됐고 앞으로 삶의 進路도 생각하게 됐죠.”

최예신 대표는 담마코리아 위빳사나 명상센터에서 묵언 명상 후 창업을 결심했다 / 출처=베러마인드
최예신 代表는 蕁麻코리아 위빳사나 冥想센터에서 默言 冥想 後 創業을 決心했다 / 出處=베러마인드

최예신 代表는 冥想의 끝에 다른 사람들이 스스로 마음을 돌볼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겠다고 決心한 後 베러마인드 創業에 나섰다. 崔 代表는 베러마인드를 ‘마인드테크 스타트업’으로 定義한다. 마음을 돌보는 일 全般을 意味하는 마인드 케어(Mind Care)를 技術로 돕는 스타트업이란 意味다.

“職場 生活을 돌이켜 보면 저뿐만 아니라 不安해하거나 憂鬱해하는 親舊들이 많았어요. 社會 全體로 봐도 精神的인 疲勞感, 苦痛, 疾患을 呼訴하는 사람들이 많고 가볍게는 잠을 못 자는 것부터 始作해서 甚할 때는 極端的인 選擇을 하기도 하고요. 이런 問題를 보면서 事業的 可能性을 떠나서 제 人生을 바쳐서 獻身할 만한 分野라고 생각했습니다.”

베러마인드가 내놓은 첫 結果物은 지난달 막 出市된 ‘冥想 고양이(Meditating Cat)’라는 冥想 앱이다. 최예신 代表는 “‘冥想 고양이’를 ‘마음의 體力’을 기르도록 돕는 앱”이라고 說明했다. 平素 높은 體力과 免疫力을 維持해야 感氣에 잘 안 걸리는 것처럼, 마음의 體力과 免疫力을 높게 維持해야 精神疾患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글로벌 시장을 겨냐한 명상 앱 '명상 고양이' / 출처=베러마인드
글로벌 市場을 겨냐한 冥想 앱 '冥想 고양이' / 出處=베러마인드

冥想 고양이 앱에서는 具體的인 冥想 方法에 對한 案內, 冥想을 習慣化할 수 있도록 돕는 機能 等이 提供된다. 音聲 案內에 따라 冥想을 遂行할 수 있는 가이드 冥想을 통해 다양한 主題와 테마의 冥想을 初步者도 쉽게 따라 할 수 있게 했다. 가이드 없이도 冥想을 遂行할 수 있는 이들을 위한 셀프冥想 機能이나 하루에 언제, 얼마나 冥想을 할 지 目標를 세울 수 있는 태스크(Task) 機能도 있다. 태스크 機能은 目標를 達成할 때 받는 스탬프 모으는 小小한 成就感으로 冥想에 動機를 附與를 한다.

최예신 베러마인드 대표 / 출처=IT동아
최예신 베러마인드 代表 / 出處=IT東亞

感情을 돌아보는 데 도움을 주는 感情 日記 機能도 있다. 每日 感情 狀態는 어땠는지, 그 感情이 어디에서 비롯됐는지 記錄하고 일기도 남길 수 있다. 以外에도 마음을 차분하게 할 수 있는 音樂이나 白色騷音을 提供한다.

아직은 冥想에 焦點이 맞춰져 있지만 向後에는 精神健康管理 領域 全般으로 領域을 擴張해나갈 計劃이다. 人工知能 및 人間 相談師를 利用한 카운셀링을 始作으로 테라피 機能도 차근차근 追加할 豫定이다.

수면 유도 기기인 '슬리핑 캣' / 출처=베러마인드
水面 誘導 機器인 '슬리핑 캣' / 出處=베러마인드

베러마인드는 앱이 아닌 機器 形態의 製品도 準備 中이다. 睡眠 問題를 겪는 이들을 위한 睡眠 誘導 機器인 ‘슬리핑 캣(假稱)’이다. 얼핏 就寢등과 알람時計를 합친 듯한 모습이지만 스피커와 사운드 센서가 달려있어 睡眠을 誘導하고 睡眠 패턴을 分析하는 役割을 한다. 먼저 스피커를 통해 水面 誘導 效果가 있는 白色騷音을 再生하고, 利用者가 잠에 들면 사운드 센서가 睡眠 中 發生하는 呼吸 소리나 코골이, 이갈이 소리 等을 探知해 睡眠 패턴을 分析한다. 睡眠 分析 結果는 聯動 스마트폰 앱을 통해 確認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으로 수면 패턴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출처=베러마인드
스마트폰 앱으로 睡眠 패턴 分析 結果를 確認할 수 있다 / 出處=베러마인드

試製品 開發을 完了한 슬리핑 캣은 現在 年末 梁山 準備를 앞두고 製品 完成度를 높이기 위한 마지막 담금질에 한창이다. 現在는 睡眠 品質 向上을 위한 助言을 提供하는 程度지만, 向後에는 睡眠 專門 病院과의 連繫해 專門的인 治療로까지 이어질 수 있게 한다는 計劃이다.

빅데이터 專門家로 大企業 生活만 했던 최예신 代表는 베러마인드 創業을 準備하며 感情코칭專門家, 冥想心理相談士, 에니어그램 相談師 等의 民間 資格證을 取得하며 冥想 및 心理相談 專門家로 거듭났다. 하지만 創業은 如前히 그에게 未知의 領域이었다. 多幸히 創業成長技術開發事業 디딤돌 서비스, 豫備創業 패키지 等 政府와 民間의 여러 創業支援制度가 큰 힘이 됐다. 現在는 서울科學技術大學校 創業支援團의 支援을 받아 科技大 創業保育센터에 터를 잡고 있다. 그는 “事業에 必要한 文書 作成法이나 弘報, 마케팅 方法에 對한 全般的인 支援과 코칭 等 여러 方面에서 과기대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최예신 代表는 “앞으로도 사람들의 마음을 케어할 수 있는 技術 開發을 繼續해 나갈 것”이라며 “글로벌에서 第一가는 마인드테크 企業을 만드는 게 目標”라고 밝혔다.

글 / IT東亞 권택경 (tk@itdonga.com)

IT東亞 의 모든 콘텐츠(技士)는 Creative commons 著作者標示-非營利-變更禁止 라이선스 에 따라 利用할 수 있습니다.
意見은 IT東亞(게임東亞) 페이스북 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