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合同神學大學院大學校) - 나무위키
합신대 UI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合同神學大學院大學校) 관련(關聯) 틀
[ 펼치기 · 접기 ]
수원시 CI White 수원시(水原市) 의 대학(大學)
[ 펼치기 · 접기 ]
각(各) 대학(大學)의 제(第)1캠퍼스(본교(本校))는 캠퍼스를 표기(表記)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二元化))부터 "OO대학교(大學校)(AA캠퍼스)"과 같이 표기(表記)함. 분교(分校)는 캠퍼스명(名) 표시(標示)에서 OO대학교(大學校) AA캠퍼스로 괄호(括弧) 없이 표시(標示)함.
[ 펼치기 · 접기 ]
구세군(救世軍) 대한본영(大韓本營)
대한(大韓)예수교복음교회(福音敎會)
(예복(禮服))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개혁국제(改革國際))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순장(藝場殉葬))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제신(藝場祭神))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1]
(예장중앙(藝場中央))
[1] 백기환 목사(牧師)가 창립(創立)한 정통교단(正統敎團)
한국성서침례친교회(韓國聖書浸禮親交會)
(성(性)침)
세계(世界)베뢰아교회연합(敎會聯合) [◆]
(세배연(歲拜年))
[◆] 이단(異端) 시비(是非)가 있는 성락교회(聖樂敎會) 김기동 목사(牧師)를 지지(支持)하는 교단(敎團)
한국독립교회(韓國獨立敎會)및선교단체연합회(宣敎團體聯合會) (KAICAM)
無교단(敎團) 초교파(超敎派) [2]
[◇]: 선교단체(宣敎團體) 인터콥 의 대학원대학(大學院大學)
[2]: 어떤 교단(敎團)에도 소속(所屬)되지 않은 개신교(改新敎) 성향(性向) 대학교(大學校)
신대원(神大院)
: 해당(該當) 교단(敎團)의 목사(牧師)를 양성(養成)하는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 목회학과(牧會學科) 설치(設置)
[ 펼치기 · 접기 ]
? 개신교(改新敎)
ㄱ~ㄷ
ㅅ~ㅇ
ㅈ~ㅎ
? 불교(佛敎)
? 천주교(天主敎)
? 원불교(圓佛敎)
? 개신교(改新敎)
ㄷ~ㅂ
ㅈ~ㅎ
? 불교(佛敎)
? 원불교(圓佛敎)
tongilsymbolwhit... 통일교(統一敎)
단(段)월드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合同神學大學院大學校)
合同神學大學院大學校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합신대 UI
교훈(敎訓)
바른신학(神學) 바른교회(敎會) 바른생활(生活)
표어(標語)
바른신학(神學) 바른교회(敎會) 바른생활(生活)
국가(國家)
분류(分類)
재단(財團)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合同神學大學院大學校)
교단(敎團)
설립자(設立者)
정암 박윤선 목사(牧師)
개교(個校)일자
1979년(年) 남서울교회 신학교(神學校)
1980년(年) 합동신학교(合同神學校)
1997년(年)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合同神學大學院大學校)
총장(總長)
김학유
소재(所在)
수원(水原)캠퍼스
경기도(京畿道) 수원시 영통구(靈通區) 광교(光敎)중앙로 50 (원천동)
재학생(在學生)
대학원생(大學院生)
285명(名) (2022년(年) 기준(基準))
교직원(敎職員)
49명(名)
미적용(未適用) (2022)
홈페이지
홈페이지 아이콘
[ 지도(地圖) 펼치기 ]
수원(水原)캠퍼스
바른신학(神學) 바른교회(敎會) 바른생활(生活)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3 . 편제(編制) 4 . 학풍(學風) 5 . 캠퍼스 6 . 사건사고(事件事故) 7 . 기타 8 . 출신인물(出身人物) 9 . 장로회(長老會) 둘러보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경기도(京畿道) 수원시(水原市) 영통구(靈通區) 원천동 에 위치(位置)한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합신(合神)) 산하(傘下) 신학대학원대학교(神學大學院大學校) . 약칭(略稱)은 합신대(合神臺)이다.

예장(藝場) 합신(合神)의 신학적(神學的) 학풍(學風)을 잘 반영(反映)하여 바른 생활(生活)과 엄격(嚴格)한 행동(行動)을 강조(强調)한다. 교훈(敎訓)은 바른 신학(神學), 바른 교회(敎會), 바른 생활(生活)

실질적(實質的)으로 가장 먼저 설립(設立)된 대학원대학(大學院大學) 이다. 엄격(嚴格)하게 따지면 지금(只今)은 KAIST 가 된 KAIC가 첫번째(番째) 대학원대학(大學院大學)이지만 특별법(特別法)으로 설립(設立)했고 학위(學位) 과정(過程)이 부설(附設)된 과학기술원(科學技術員)이니 대학원대학(大學院大學)의 역사(歷史)에서 논외(論外)이다. 그래서 개신교계(改新敎界)에서는 가장 지명도(知名度)가 높은 대학원대학(大學院大學)이다.

2. 역사(歷史) [편집(編輯)]

총신대학교(學校) 의 학내(學內) 분규(紛糾)로 실망(失望)한 박윤선 목사(牧師)와 교수(敎授)들과 신학생(神學生)들이 1979년(年)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합동(合同))에서 이탈(離脫)하여 남서울교회 에 신학교(神學校)를 세웠다.

1980년(年)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합신(合神))이 세워지자 예장합신(藝場合神) 교단(敎壇)의 직영(直營) 신학교(神學校)가 된다. 1980년(年) 11월(月) 합동신학교(合同神學校)라는 이름으로 개교(開校)했다.

1997년(年) 학부(學部) 과정(課程)을 폐지(廢止)하고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合同神學大學院大學校)로 재편(再編)되었다.

3. 편제(編制) [편집(編輯)]

4. 학풍(學風) [편집(編輯)]

합신대 교훈

고신대학교 와는 이복형제(異腹兄弟) 사이라고 보면 된다. 박윤선 목사(牧師)는 고신(拷訊) → 합동(合同) → 합신(合神) 순(順)으로 소속(所屬) 교단(敎壇)을 변경(變更)하였고, 고신(拷訊) 소속(所屬)일 때 고신대학교 를 세웠기 때문이다. 합신(合神) 교단(校壇)도 고신(孤辰)과의 교류(交流)가 잦아서 신학생(神學生)들도(度) 서로 친밀(親密)한 편(便).
  • 정문(正門)
    합신대 정문
  • 도서관(圖書館)&수업동(授業桐)
    합신대
    두 건물(建物)은 하나로 이어져 있다.
  • 기숙사(寄宿舍)
    합신대 기숙사
    기숙사(寄宿舍) 앞에는 자전거(自轉車)가 많이 주차(駐車)되어 있는데, 학생증(學生證)을 내고 자전거(自轉車)를 대여(貸與)할 수 있다.

6. 사건사고(事件事故) [편집(編輯)]

  • 2006년(年) 광교신도시(新都市) 개발(開發) 때문에 학교(學校) 부지(敷地)의 1/2을 빼앗길 뻔했다. #

8. 출신인물(出身人物) [편집(編輯)]

9. 장로회(長老會) 둘러보기 [편집(編輯)]

[ 펼치기 · 접기 ]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개혁국제(改革國際))
고신대학교 심볼
신대원(神大院)
고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순장(藝場殉葬))
안양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안양대학교(安養大學校)
백석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백석대학교(白石大學校)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제신(藝場祭神))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1]
(예장중앙(藝場中央))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피어선(藝場避漁船))
서울장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서울장신대학교(學校)
영남신학대학교 교표
신대원(神大院)
영남신학대학교(學校)
장로회신학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장로회신학대학교(學校)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한영)
한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한신대학교
광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광신대학교(學校)
대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대신대학교(學校)
총신대학교 엠블럼
신대원(神大院)
총신대학교(學校)
칼빈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칼빈대학교(大學校)
장로회(長老會) 계열(系列) 초교파(超敎派) [3]
[1] 백기환 목사(牧師)가 창립(創立)한 정통교단(正統敎團).
[2] 장로회(長老會) 계열(系列)과 감리회(監理會) 계열(系列)이 공동(共同) 운영(運營)함.
[3] 재단(財團)이 장로회(長老會) 계열(系列)이지만 어느 교단(敎壇)에도 소속(所屬)되지 않은 대학(大學). 그러나 예장합동(合同)과 연관있는 경성대와 예장고신(藝場高紳)과 연관있는 창신대를 제외(除外)하면 모두 예장통합(統合)과 연관있다.
[1] 총신대학교(學校) 학생(學生)들도 많이 진학(進學)할 것 같지만 정작 총신대 학부생(學部生)들은 대부분(大部分) 총신대 대학원(大學院)으로 진학(進學)한다. 그래서 오히려 칼빈대 학부생(學部生)들이 많이 진학(進學)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