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하기동 - 나무위키

하기동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유성구(儒城區) 법정동(法定洞)
하기동
下基洞 | Hagi-dong
광역자치단체(廣域自治團體)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기초자치단체(基礎自治團體)
유성구(儒城區)
행정표준(行政標準)코드
3020013200
관할(管轄) 행정동(行政洞)
신성동, 노은(勞銀)2동(棟)
면적(面積)
3.30㎢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3 . 지리 4 . 분리(分離)된 행정동(行政洞) 5 . 주요(主要) 시설(施設)
5.1 . 관공서(官公署) 5.2 . 교육(敎育) 5.3 . 대형상업시설(大型商業施設)
6 . 주거(住居) 7 . 교통(交通)
7.1 . 도로(道路) 7.2 . 버스
7.2.1 . 간선(幹線)
8 . 관련(關聯) 문서(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2. 역사(歷史) [편집(編輯)]

본래(本來) 탄동면의 송림리 [1] ·봉기리·상기리이었던 것을 1914년(年) 탄동면 하기리로 합치고, 이후(以後) 1983년(年) 탄동면의 일부(一部)가 대전시(大田市) 중구(中區) 에 속(屬)하게 되면서 '하기동'이 되었다. 이후(以後) 다른 곳들이 그랬듯이 1988년(年) 서구(西區) 에 편제(編制)되고,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승격(昇格) 이후(以後) 유성구(儒城區) 로 이관(移管)돼 현재(現在)에 이른다.

이름의 유래(由來)는 '텃골' 아래에 있다고 하여 '아래텃골'이라고 한 것을 한자(漢字)로 적은 것이다. 과거(過去)에는 '위(位)텃골' 상기리도(度) 있었다. 그런데 '텃골'은 현재(現在) 지명(指名)으로 쓰이지 않고, '아래텃골'에 해당(該當)되는 '하기'만 지명(地名)으로 쓰이게 되었다.

3. 지리 [편집(編輯)]

그다지 넓은 동(棟)은 아니지만 서산(瑞山)영덕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湖南高速道路地選) 이 지나며, 이 두 고속도로(高速道路)가 이어지는 유성(儒城)JC 가 위치(位置)한다. 나들목 (IC)는 없으므로 사실(事實) 하기동하고는 아무 상관(相關)이 없는 셈이다. 그렇게 도로(道路) 면적(面積)으로 동의(同意) 약(約) 30%를 차지한다.

서쪽(西쪽)에 지족동 , 반석동 쪽으로 약간(若干) 넘어가면 대전(大戰) 도시철도(都市鐵道) 1호선(號線) 반석역(盤石驛) , 지족역(知足驛) (침신대(神대)네거리)이 있다.

서쪽(西쪽)의 북유성(北儒城)대로 , 송림(松林)로 , 노은(勞銀)로 가 교차(交叉)하는 세 지점(地點)은 흔치 않게 모든 교차로(交叉路)에 이름이 붙어있다. 북유성대로(北儒城大路)와 송림로(松林路)가 교차(交叉)하는 북서쪽(北西쪽) 교차로(交叉路)가 반석(盤石)네거리, 송림(松林)로와 노은로(勞銀路)가 교차(交叉)하는 북동쪽(北東쪽) 교차로(交叉路)가 송림(松林)네거리, 북유성대로(北儒城大路)와 노은로(勞銀路)가 교차(交叉)하는 남쪽(南쪽) 교차로(交叉路)가 침신대(神대)네거리이다.

4. 분리(分離)된 행정동(行政洞) [편집(編輯)]

이 동(洞)은 동부(東部)와 서부(西部)가 다른 행정동(行政洞)으로 갈린다. 하기중학교(學校) 일대(一帶)와 송림초등학교 일대(一帶)를 가르는 야트막한 산(山)을 기준(基準)으로 서쪽(西쪽)은 노은(勞銀)2동(棟), 동쪽(東쪽)은 신성동이다. 그리고 이 두 동(棟) 모두 하기동(법정동(法定洞))에 주민(住民)센터를 두고 있다. 그래서 하기동은 좁은 면적(面積)임에도 불구(不拘)하고 주민(住民)센터를 두 개(個)나 가진 동네(洞네)가 되었다. 두 곳을 잇는 길은 노은(勞銀)로 뿐이다.

경계(境界)에서 재밌는 부분(部分)으로 서쪽(西쪽)의 경계(境界)는 반석천 처럼 보이지만 사실(事實)은 북유성(北儒城)대로 이다. 북유성대로(北儒城大路)에서 반석천 까지의 0.03km 정도(程度)의 좁은 지역(地域)이 추가(追加)로 하기동에 속(屬)하는데, 이곳에 송림근린공원(松林近隣公園)과 롯데마트 노은점(勞銀點) 이 있다. 하기동 자체(自體)가 지명도(知名度)가 높은 곳도 아니고, 대부분(大部分)은 행정동(行政洞)으로 노은(勞銀)(노은(勞銀)2동(棟))이라고 여기거나 법정동(法定洞)으로도 지족동이라고 생각했을 듯하다.

같은 명칭(名稱)을 지닌 하기로(下岐路)가 동의(同意) 동부(東部)를 지난다.

같은 명칭(名稱)의 다리가 두 개(個) 있다. 하기1교는 반석천 을 건너는 노은(勞銀)로 의 다리이며, 하기2교는 하기로 위를 지나는 유성대로 육교(陸橋) 도 있고, 반석천 을 건너는 송림(松林)로 의 다리 명칭(名稱)으로도 중복(重複)해서 쓰인다.

5. 주요(主要) 시설(施設) [편집(編輯)]

대전(大戰) 송림초등학교 이다

5.1. 관공서(官公署) [편집(編輯)]

  • 노은(勞銀)2동(棟) 주민(住民)센터
  • 신성동 주민(住民)센터
    2023~2025년(年) 동안 신축(新築) 공사(工事)로 잠시(暫時) 자운동 으로 주민(住民)센터를 이전(移轉)한다. # 신축(新築) 장소(場所)는 종전(從前)의 주민(住民)센터와 동일(同一)한 위치(位置)이다.

5.2. 교육(敎育) [편집(編輯)]

5.3. 대형상업시설(大型商業施設) [편집(編輯)]

6. 주거(住居) [편집(編輯)]

건설사(建設社)
아파트명(名)
입주(入住)날짜
세대수(世代數)
난방방식(暖房方式)/연료(燃料)
(주(週))호반건설
송림(松林)마을1단지(團地)아파트
7개동(個棟) 총(總) 452가구(家口)(11-25층(層))
개별난방(個別暖房)/도시(都市)가스
우미건설(優美建設)(주(週))
송림(松林)마을2단지(團地)아파트
6개동(個棟) 총(總) 477가구(家口)(18-23층(層))
개별난방(個別暖房)/도시(都市)가스
우미건설(優美建設)(주(週))
송림(松林)마을3단지(團地)아파트
7개동(個棟) 총(總) 713가구(家口)(18-23층(層))
개별난방(個別暖房)/도시(都市)가스
계룡건설(鷄龍建設)(주(週))
송림(松林)마을5단지(團地)아파트
10개동(個棟) 총(總) 613가구(家口)(15-18층(層))
개별난방(個別暖房)/도시(都市)가스
계룡건설(鷄龍建設)(주(週))
송림(松林)마을6단지(團地)아파트
5개동(個棟) 총(總) 201가구(家口)(14-18층(層))
개별난방(個別暖房)/도시(都市)가스

7. 교통(交通) [편집(編輯)]

7.1. 도로(道路) [편집(編輯)]

7.2. 버스 [편집(編輯)]

7.2.1. 간선(幹線) [편집(編輯)]

8. 관련(關聯) 문서(文書) [편집(編輯)]

[1] 이 지명(地名)은 2010년대(年代) 도로명주소(道路名住所) 에서 ' 송림(松林)로 '가 생겨 다시 지명(地名)으로 쓰이게 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