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실피움 - 나무위키

실피움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external/4.bp.bl...
external/farm4.s...
식물(植物)의 모습
식물(植物)의 씨앗 모습
1 . 개요(槪要) 2 . 정체(正體)에 대(對)한 논란(論難) 3 . 기타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실피움(Silphium), 실피온(Silphion), 라세르(Laser) [1]

영어(英語) 위키백과(百科)

현(現) 리비아 동부(東部)에 위치(位置)했던 고대(古代) 그리스 도시(都市) 키레네 (Cyrene)에 있던 [2] 식물(植物) 고대(古代) 그리스 · 로마 시대(時代)에 약재(藥材) [3] 향신료(香辛料) 로 사용(使用)되었다. 수요(需要)가 너무 많았지만 자라는 곳은 적어 개체수(個體數)가 급감(急減), 결국(結局) 과수확(過收穫)과 함께 동시기(同時期) 북아프리카(北아프리카) 기후(氣候) 변(變)하기 시작(始作)하면서 처음 로마 에서 쓰이게 된지 100년(年) 남짓인 서기(書記) 1세기(世紀) 에 이 식물종(植物種)은 완전(完全)히 멸종(滅種) 했다.

처음 팔릴 때부터 가격(價格) 이 같은 무게 에 맞먹었으며, [4] 멸종(滅種)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에는 같은 무게의 금(金) 과 동일(同一)한 가치(價値)를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풍미(風味)가 워낙 좋아서 향신료(香辛料) 로도 각광(脚光) 받았고 실피움을 첨가(添加)한 플라밍고 요리(料理)는 당시(當時)의 진미(珍味)였다고 한다. 심지어(甚至於) 실피움 향(香)이 밴 양고기(羊고기) 를 얻기 위해 양(量) 을 실피움 자생지(自生地)에서 방목(放牧)해 실피움을 먹고 자라게 하기도 했다.

당시(當時) 실피(避)움은 식물(植物)을 통째로 쓰지 않고 아위와 마찬가지로 뿌리 에서 채취(採取)한 수액(輸液) 을 굳혀 얻는 수지(水枝) [5] 를 사용(使用)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는 이러한 실피움 수지(水枝)를 수백(數百) 킬로그램 단위(單位)로 자택(自宅)에 비축(備蓄)해 뒀다고 한다. 한 포기(抛棄)에서 몇 방울 안 나오는 뿌리 수지(水枝)를 수백(數百) 킬로그램씩 모으기 위해 실피움이 몇 포기나 들어갔을 것이며 그걸 돈으로 환산(換算)한 가격(價格)은 얼마 정도(程度)였을지 생각해 보면...

최후(最後)의 실피움은 네로 황제(皇帝) 가 먹었다는 설(說)이 있다. 이 실피움이 멸종(滅種)했던 시기(時期)가 네로 황제(皇帝)의 재위(在位) 시기(時期)와 비슷하다고 여겨진 듯 싶다. 현재(現在) 실피움은 오신채(五辛菜) 흥거(興渠) 로 알려진 아위(阿魏) (아사푀티다)로 대체(代替)되었다고 한다.

2. 정체(正體)에 대(對)한 논란(論難) [편집(編輯)]

실피움 동전
발라 그라이
원산지(原産地) 키레네에서 출토(出土)된, 실피움이 새겨진 동전(銅錢)
키레네 인근(隣近) 발라그라이 ( 베이다 ) 유적(遺跡) 기둥에 새겨진 실피움
워낙에 일찍 멸종(滅種)된 식물(植物)인 데다가 자료(資料)가 은화(銀貨) 에 새겨진 부조(浮彫)와 당시(當時) 사람들의 기록(記錄) 정도(程度)밖에 없기 때문에 이 식물(植物)의 정체(正體)에 대(對)해서는 의견(意見)이 분분(紛紛)하다. 일단(一旦)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은 미나리과(科) 아위(阿魏) 속( Ferula )의 식물(植物)이었을 것이라는 추측(推測)인데, 현생(現生) 아위는 실제로(實際로) 은화에 묘사(描寫)된 실피움과 똑같이 생긴 데다가 실피움의 멸종(滅種) 이후(以後) 아위로 대체(代替)되었다는 기록(記錄)이 남아있기 때문. 게다가 뿌리에서 추출(抽出)한 수지(收支)를 사용(使用)한다는 것도 똑같다.

다만 정확히(正確히) 어떤 종이었는지는 아직도 학자(學者)들 사이에서 의견(意見)이 갈린다. 큰회향(回向)( Ferula communis )이었을 것이라는 설(說)이 있는가 하면, 아위속 식물(植物)들 간(間)의 잡종(雜種) 이었을 것이라는 설(說)도 있다. 당시(當時) 기록(記錄) 중(中) '실피움은 아무리 재배(栽培)하려고 시도(試圖)를 해도 인공재배(人工栽培)가 불가능(不可能)했다'는 기록(記錄)이 있기 때문에 우수(優秀)한 형질(形質)을 지녔지만 염색체(染色體) 개수(個數)가 이상(異常)하거나 [6] 유전적(遺傳的)인 균일도(均一度)가 크게 떨어져 번식(繁殖)이 불가능(不可能)한 [7] 잡종(雜種) 1대(代)(F1)였을 것으로 보는 의견(意見)이다. 이도 저도 아니고 그냥 단순히(單純히) 멸종(滅種)한 종이었을 것이라는 설 또한 줄기차게 제시(提示)되고 있다.

그러다가 2020년대(年代)에는 멸종(滅種)된 걸로 알려졌던 실피움 그 자체(自體)이거나 혹은(或은) 가장 가까운 근연종(近緣種) 으로 추정(推定)되는 식물(植物)이 발견(發見)되어 제시(提示)되었다. 바로 튀르키예 하산(下山) 산(Mount Hasan)에서 발견(發見)된 아위속 식물(植物)인 Ferula drudeana 이다.( # ) 과학전문(科學專門) 매체(媒體) 어스닷컴(Earth.com)에 따르면 이 식물(植物)을 발견(發見)한 마흐무트 미스키(Mahmut Miski) 교수(敎授)는 해당(該當) 식물(植物)이 고대(古代)의 유명(有名)한 실피움(silphium)=실피온(silphion)일 것으로 추정(推定)하고 있다.( # ) 해당(該當) 식물(植物) 또한 현대(現代)의 기술(技術)로도 재배(栽培)가 매우 까다롭다고 한다. 씨앗은 냉충(冷衝)(인위적(人爲的)으로 차가운 기후(氣候)에 노출(露出))시켜야지 발아(發芽)하며, 10년(年)은 키워야 성체(聖體)로 자란다고 한다.
하트 상징(象徵)( )의 유래(由來)에 대(對)해 다양한 의견(意見)이 있는데 흔히 심장(心臟) 을 본(本) 딴 것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다른 의견(意見)으로는 실피움과 관련(關聯) 있다는 설(說)도 있다. 이 식물(植物)의 씨앗이 위의 사진(寫眞)과 같이 하트 모양(模樣)으로 당시(當時) 키레네인(人)들은 이 식물(植物)의 씨앗의 모양(模樣)을 은화(銀貨) 에 새겼는데 하트 모양(模樣)과 다른 것이 없다. 거기다가 이 식물(植物)의 주된 용도(用途)가 춘약(春藥) , 정력제(精力劑) , 피임약(避妊藥) , 낙태(落胎) 약(藥)으로 하나같이 성관계(性關係) 과 깊은 관련(關聯)이 있다 보니 신빙성(信憑性) 있다고 볼 수 있다.
[1] 현대(現代)의 레이저 와는 관련(關聯)이 없다. [2] 현(現) 리비아 키레나이카 (Cyrenaica) 지역(地域). [3] 목 기침약(기침藥) 및 춘약(春藥) 으로서 사용(使用)되었고, 피임(避妊) 낙태(落胎) 에도 쓰였다고 한다. [4] 현대(現代)에 가격(價格)이 은(銀)값과 비슷한 식재료(食材料)로는 트러플 바닐라 가 있다. [5] 당시(當時) 라틴어(語) 로 라세르피키움(Laserpicium)이라고 불렀다. [6] 예: Lomatia tasmanica . 이 종(鐘)은 3배체(倍體)라서 지금(只今)까지 발견(發見)된 개체(個體)는 단(單) 하나의 개체(個體)에서 분리(分離)된 클론이 전부(全部)다. [7] 몬산토 터미네이터 항목(項目) 참조(參照).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