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수도침례신학교(首都浸禮神學校) - 나무위키
1 . 개요(槪要) 2 . 학과(學科) 3 . 역사(歷史) 4 . 통합(統合) 이후(以後) 5 . 출신인물(出身人物)

1. 개요(槪要) [편집(編輯)]

경기도(京畿道) 안성시(安城市) 공도읍 서동대로 4033(용두리 717-3)에 있었던 기독교(基督敎)한국침례회 수도권(首都圈) 지역(地域) 목사(牧師)들을 양성(養成)했던 신학교(神學校) . 침례신학대학교(學校)와의 통합(統合) 후(後) 침례신학대학교(學校) 안성캠퍼스가 되었으나 침신대(神대) 신학과(神學科)에 완전히(完全히) 흡수(吸收)되며 안성캠퍼스도(度) 역사(歷史) 속으로 사라졌다. 약칭(略稱)은 수도(首都)침신(神)이었다.

2. 학과(學科) [편집(編輯)]

  • 신학(神學)과

3. 역사(歷史) [편집(編輯)]

1981년(年) 기독교(基督敎)한국침례회는 은혜신학교(恩惠神學校), 경기신학교(京畿神學校), 영남신학교(嶺南神學校) 등(等) 11개(個) 신학교(神學校)를 통합(統合)해서 안성시에 수도침례신학교(首都浸禮神學校)를 세운다. 그리고 5년(年) 뒤에 4년제(年制) 학력인정(學歷認定) 각종학교(各種學校)로 인가(認可)된다. 침신대(神대)를 제외(除外)한 기독교(基督敎)한국침례회 소속(所屬) 신학교(神學校)들이 모두 뭉친 학교(學校)라서 나름 침신대(神대)와 라이벌 의식(意識)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침례회에서 신학교(神學校)를 침신(神)대로 일원화(一元化)하자는 정책(政策)이 실현(實現)되어서 2006년(年)에 침신대(神대)와 통합(統合)되었다. 장로회(長老會)는 규모(規模)가 크고 교단(敎團)이 다양(多樣)하지만 침례회는 상대적(相對的)으로 작고 교단(敎團)이 적기(適期)에 신학교(神學校)를 많이 둘 필요(必要)가 없고 기독교(基督敎)한국침례회의 파벌화(派閥化)를 막기위해 신학교(神學校)를 합칠 필요성(必要性)을 느꼈다고 한다. 더이상(以上) 학부생(學部生)을 모집(募集)하지 않지만 기존(旣存)의 수도(首都)침신(新) 소속(所屬) 신학생(神學生)은 안성캠퍼스에 계속(繼續) 재학(在學)하게 하는 방식(方式)으로 침신대(神대) 안성캠퍼스로 통합(統合)되었다. 2009년(年) 2월(月) 28일(日)에 수도(首都)침신(新) 소속(所屬) 신학생(神學生)이 모두 졸업(卒業)하자 폐쇄(閉鎖)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침신대(神대)는 수도(首都)침신(神)이 폐교(廢校)되고나서 동두천(東豆川)캠퍼스를 신설(新設)하려는 정책(政策)을 펼쳤다. 수도권(首都圈) 진출(進出)을 위해 동두천(東豆川)캠퍼스를 신설(新設)할거였으면 차라리 안성캠퍼스를 없애지 말았어야 했다는 의견(意見)도 있었으나 안성(安城)캠은 접근성(接近性)이 낮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는 여론(輿論)도 있었다. 하지만 알려진 것과 다르게 침신대(神대)는 안성캠퍼스를 이원화(二元化)캠퍼스 로 활용(活用)하려고 했으나 수도권정비계획법(首都圈整備計劃法) 때문에 안성캠퍼스를 활용(活用)할 수 없었고 결국(結局) 폐교(廢校)했으나 주한미군(駐韓美軍) 공여구역주변지역(供與區域周邊地域) 등(等) 지원(支援) 특별법(特別法)으로 동두천(東豆川) 미군(美軍) 부지(敷地)에 대학(大學) 설립(設立)이 가능(可能)해지자 동두천(東豆川)캠퍼스로 부활시키려고 했던거다. 하지만 예산(豫算) 부족(不足)과 인구(人口) 절벽(絶壁) 때문에 회의적(懷疑的)인 여론(輿論)이 커지자 침신대(神대) 동두천(東豆川)캠퍼스는 결국(結局) 계획(計劃)이 엎어지며 흐지부지된다.

교계(敎界) 일부(一部)에서는 수도침례신학교(首都浸禮神學校)가 침신대(神대) 출신(出身)과 충청권(忠淸圈) 교권(敎權) 파벌(派閥)에게 희생(犧牲)되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事實) 기독교(基督敎)한국침례회에서도 선택지(選擇肢)가 없었다는게 교계(敎界)의 정론(正論)이다. 학령인구(學齡人口)가 떨어지고있어서 신입생(新入生) 충원률(充員率)이 떨어지고 있는데 정작 침례회 신학(神學)과는 한국(韓國)의 개신교(改新敎) 신학(神學)과 에서도 입결이 하위권(下位圈)이니 어쩔 수 없었던듯. [1] 종합대학(綜合大學)에 통폐합(統廢合)해서 입결을 올릴수도 없는게, 침례회는 종합대학(綜合大學)이 한양대학교 밖에 없고 한양대(漢陽大)마저도 재단(財團)이 다르고 침례회 직영(直營)이 아니라는 점(點) 때문에 수도(首都)침신(神)과의 통합(統合)은 현실적(現實的)으로 어려웠다. 게다가 한양대는 미션스쿨이 아니라서 신학(神學)과 개설(開設)을 꺼렸다는 풍문(風聞)이 있다. 어차피(於此彼) 신학(神學)과는 (신입생(新入生) 충원률(充員率)을 제외(除外)하면) 입결이 무의미(無意味)하고 만약(萬若) 통합(統合)이 일어났다면 지리적(地理的)으로 가까운 에리카캠퍼스 에 통합(統合)될 가능성(可能性)이 컸다. 그래도 만약(萬若) 가장 성공(成功)한 대학(大學) 분교(分校)라는 호평(好評)을 듣는 에리카캠퍼스에 통합(統合)했다면 학생(學生) 정원(定員)에 목마른 한양대와 신학(神學)과 입결을 올리고 싶은 침례회 둘다 이득(利得)을 보았을 것이다.

비록 학교(學校)가 역사(歷史) 속으로 사라졌지만 동문회(同門會)가 꾸준히 개최(開催)된다고 한다.

4. 통합(統合) 이후(以後) [편집(編輯)]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문서(文書)의 r139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以前) 역사(歷史)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다른 문서(文書)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文書)의 r139 ( 이전(以前) 역사(歷史) )
문서(文書)의 r ( 이전(以前) 역사(歷史) )
2010년(年) 11월(月)에 침례신학대학교(學校) 직원(職員) 유모씨(柳某氏)가 도서관(圖書館) 장서(藏書) 1만(萬) 9천여(千餘) 권(卷)을 몰래 단돈 25만(萬) 원에 고물상(古物商)에게 팔아넘긴 사건(事件)이 있었다. 학교(學校) 측(側)이 이 사건(事件)을 파악(把握)한 때는 무려(無慮) 3년(年)이 지난 2013년(年) 11월(月).

원래(元來) 수도침례신학교(首都浸禮神學校) 도서관(圖書館) 에 있던 장서(藏書)를 정리(整理)하여 묶어두고 언젠가 대전(大田)으로 옮겨올 예정(豫定)이었는데, 유모씨(柳某氏)가 이 장서(藏書)를 학교(學校) 몰래 팔아버린 것이다. 1만(萬) 9천여(千餘) 권(卷)을 고작 25만(萬) 원에 팔았으므로 권당(卷當) 가격(價格)이 고작 13원에 불과(不過)했다. 2만(萬) 권(卷)에 가까운 책(冊)을 폐지(廢止) 값도 안 받고 처리(處理)한 것. 학교(學校) 측(側)이 사태(事態)를 인식(認識)한 것도 장서(藏書)를 대전(大田)으로 옮겨오려고 직원(職員)을 안성(安城)에 보내 장서(藏書)를 확인(確認)해보았기 때문이었다. 책(冊)만이 아니라 집기도구(什器道具)ㆍ컴퓨터 본체(本體) 및 모니터ㆍ중계기(中繼器) 등(等)도 같이 팔았다고 한다.

학교(學校)는 유씨(柳氏)를 직위해제(職位解除)하고 3개월간(個月間) 대기만 하게 하다가 업무(業務)에 복귀시켰다. 그러다가 2014년(年) 8월(月)에 사태(事態)가 커지는 기미(幾微)가 보이자 유씨(柳氏)가 사표(辭表)를 제출(提出)했는데, 한 달 뒤에 수리(修理)되어 퇴직금(退職金)까지 받고 나갔다. 침신대(神대) 규정상(規定上) 사표(辭表)를 반려(返戾)하지 않으면 한 달 뒤에 자동수리(自動修理)된다고 한다. 유씨(柳氏)가 학교법인(學校法人) 이사(理事)였던 목사(牧師)의 조카였고 제대로 처벌(處罰)도 받지 않고 나갔기 때문에 외압설(外壓說)이 나왔고, 몇몇 언론(言論)에까지 보도(報道)되었다.

배국원 총장(總長)은 외압설(外壓說)을 부정(否定)하고 “없어진 책(冊)을 어떻게 갖고 오라고 하느냐. 지금(只今)으로서는 민형사(民刑事)적 조치(措置)를 취(取)할 계획(計劃)이 없다.”라고 말했다 한다. 학교(學校) 조사위원회(調査委員會)는 유씨(柳氏)가 처분(處分)한 장서(藏書)의 가격(價格)만 대략(大略) 7천(千)9백여(百餘) 만(萬)원으로 추정(推定)했지만, 도서(圖書)의 수명(壽命)이 5년(年)이라는 규정(規定)을 들어 2010년(年) 당시(當時) 이 책(冊)들의 가치(價値)는 전부(全部) 0원이 된다고 해석(解釋)했다.

당연히(當然히) 학교(學校) 내(內)에서도 그게 말이 되느냐는 불만(不滿)이 쏟아져 나왔다고 한다.

한겨레 기사(記事)
뉴스엔조이 기사(記事)

폐교(廢校) 이후(以後) 부지(敷地)는 방치(放置)되었다가 2020년경(年頃) 잠시(暫時) 스타필드 안성(安城) 임시주차장(臨時駐車場)으로 쓰였고 이후(以後)로는 다시 방치(放置)되는 중(中)이다.

5. 출신인물(出身人物) [편집(編輯)]

  • 황교안(黃敎安) - 전(前) 법무부장관(法務部長官), 전(前) 총리(總理), 전(前) 미래통합당(未來統合黨) 대표(代表). 사법연수원(司法硏修院) 시절(時節)에 수도(首都)침신(新) 야간(夜間) 과정(過程)과 병행(竝行)하여 공부(工夫)했다.
[1] 여담(餘談)으로 미국(美國) 개신교(改新敎)에서는 정반대(正反對)로 침례회가 대다수고(大多數高) 장로회(長老會)가 적어서 상황(狀況)이 정반대(正反對)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