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봉개동 - 나무위키

봉개동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제주시(濟州市) 행정동(行政洞)
봉개동
奉蓋洞 | Bonggae-dong
광역자치단체(廣域自治團體)
행정시(行政視)
제주시(濟州市)
행정표준(行政標準)코드
5011062000
하위(下位) 행정구역(行政區域)
3법정동(法定洞) 11통(通) 45반(班)
관할(管轄) 법정동(法定洞)
봉개동, 용강동, 회천동
면적(面積)
47.34㎢
인구(人口)
5,272명(名) [1]
인구밀도(人口密度)
111.36명(名)/㎢
정치(政治)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國會議員) | 제주시(濟州市) 을(乙)
zsdkl3gasdg
김한규 (초선(初選))
제주특별자치도의원(濟州特別自治道議員) | 삼양동·봉개동 선거구(選擧區)
zsdkl3gasdg
김경미 (재선(再選))
주민(住民)센터
봉개북(鳳蓋北)1길 15 [2]

1 . 개요(槪要) 2 . 관할(管轄) 법정동(法定洞) 3 . 지리 4 . 주요(主要) 시설(施設) 5 . 여담(餘談) 6 . 관련문서(關聯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제주시(濟州市) 의 행정동(行政洞)으로, 인구(人口)는 5,283명(名) . [3]

관할(管轄) 법정동(法定洞)으로 봉개동, 용강동, 회천동을 관할(管轄)하고 있다. 즉(卽), 봉개동이 행정동(行政洞)이면서도 법정동인(法廷同人) 봉개동이 따로 있다. [4] 가운데인 봉개동을 중심(中心)으로 서쪽(西쪽)은 용강동, 동쪽(東쪽)은 회천동이 남북(南北)으로 길게 뻗었다.

동의(同意) 대부분(大部分)이 산간(山間) 지역(地域)에 걸쳐 있어 인구(人口)는 그리 많지 않다. 대신(代身) 절물휴양림(節物休養林)과 관광목장(觀光牧場) [5] 이 있어 관광객(觀光客)들이 많이 찾는다. 번영로를 통해 제주도(濟州島) 동쪽(東쪽)(표선면 방향(方向))으로 넘어가는 관문(關門) 마을이기도 하여 도로변(道路邊)에는 편의점(便宜店)과 식당(食堂)들이 많다. 매년(每年) 제주(濟州) 4.3 사건(事件) 추념식(追念式)이 열리는 4.3 평화공원(平和公園)이 조성(造成)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제주마방목지(濟州馬放牧地) 인근(隣近)의 견월악(見越惡)(개월(個月)오름)에는 KBS,MBC,JIBS의 송신소(送信所)가 있어서 제주시와 제주해협(濟州海峽)을 가청권역(可聽圈域)으로 하는 TV·FM라디오 전파(電波)를 송신(送信)한다.

서남쪽(西南쪽)에 있는 용강동(龍岡洞, 웃무드내(內))이 있으며, 여기엔 한라생태(生態)숲과 마(馬)방목지(放牧地)가 위치(位置)해 있다. 동쪽(東쪽)으로는 제주시내(濟州市內) 최동단(最東端)에 위치(位置)한 법정동인(法定同人) 회천동(回泉洞)이(李) 위치(位置)하며, 제주생활체육공원(濟州生活體育公園)과 쓰레기 매립지(埋立地)가 위치(位置)하고 있다.

2. 관할(管轄) 법정동(法定洞) [편집(編輯)]

2.1. 봉개동 [편집(編輯)]

제주시(濟州市) 법정동(法定洞)
봉개동
奉蓋洞 | Bonggae-dong
광역자치단체(廣域自治團體)
행정시(行政視)
제주시(濟州市)
행정표준(行政標準)코드
5011011600

제주(濟州)의 오름과 자연(自然)을 간직하고 있는 봉개동은 명도암관광단지(觀光團地), 명도암유스호스텔, 제주절물휴양림(濟州節物休養林) 등(等)의 휴양시설(休養施設)이 있어 신혼여행객(新婚旅行客) 뿐만 아니라 관광객(觀光客), 시민(市民) 들도 많이 찾는 곳이다. 목초지(牧草地)가 많아 봄에는 왕(王)벚나무와 제주(濟州) 고사리 캐는 사람들로 붐빈다.

봉개동은 봉개본동(鳳蓋本洞)과 명도암으로 이루어져있다. 봉개동은 대기고등학교(待機高等學校)와 봉개초등학교(鳳蓋初等學校) 및 주택가(住宅街)가 밀집(密集)되어 봉개동인구(人口)의 대부분(大部分)이 밀집(密集)된 곳이며, 명도암은 명도암유스호스텔 및 명도암관광목장등(觀光牧場等)이 위치(位置)한 곳으로 주요관광지(主要觀光地)라고도 할 수 있다. 명도암은 제주삼현도(濟州三絃徒), 제주삼읍도총지도(濟州三邑度總指導), 제주삼읍전도(濟州三邑前途)에 표기(表記)되어있는데, 이는 김진용의 호(號)인 '명도암'을 따 붙인 이름이다. 또한 명도암은 대부분(大部分)의 토지(土地)가 목초지(牧草地)로 조성(造成)되어 있을 뿐 아니라 가을에는 억새꽃이 만발(滿發)하여 제주(濟州)의 자연(自然)을 만끽(滿喫)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봉개동은 제주절물휴양림(濟州節物休養林)이 위치되어 있고 이곳에는 각종(各種) 체육시설(體育施設) 및 캠프장(場), 어린이놀이터, 삼나무산책로(杉나무散策路), 절물연못(節物蓮못) 등(等)이 설치(設置)되 있어 여름철 가족(家族) 또는 연인(戀人), 모임 장소(場所)로 많은 사람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왕(王)벚나무 자생지(自生地)가 있어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제(第)159호(號)로 지정(指定) 보호(保護)되고 있다.

왕(王)벚나무는 "사오기, 먹사오기" 라 불리우는데 낙엽교목(落葉喬木)으로 10미터까지 자라며 나무껍질은 흑갈색(黑褐色)이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楕圓形)이거나 알모양(模樣)이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4월(月)에 잎보다 먼저 피는 꽃은 연분홍(軟粉紅) 또는 흰색(흰色)으로 어긋난 우산(雨傘)꽃 차레로 5-6개(個) 붙는다. 열매는 단단한 핵(核)으로 싸여있고 점(點)게 익는데 먹기도 한다. 이오아(亞)벚나무는 재질(材質)이 단단하고 정밀(精密)하여 빛깔이 아름답기 때문에 귀중(貴重)한 가구(家具)나 건축자재(建築資材)로 쓰이기도 한다.

그 외(外) 주요산(主要山)천으로는 봉아(蜂兒)오름, 칡오름, 안새미오름, 노리오름 등(等)이 있다.

또한 4.3공원(共院), 청소년수련원(靑少年修鍊院), 노루생태공원(生態公園)과 한화콘도 등(等) 관광휴양(觀光休養) 시설(施設)이 들어서 있다.
  • 산업구조(産業構造):농(弄)·어업(漁業)(75.3%), 비농업(非農業)(24.7%)

2.2. 용강동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용강동(제주시)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2.3. 회천동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회천동(제주시)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3. 지리 [편집(編輯)]

북쪽(北쪽)으로 삼양동(법정동(法定洞)으로 보면 도련동)과 접(接)해 있으며, 서쪽(西쪽)으론 아라동(법정동(法定洞)은 월평동), 동쪽(東쪽)과 남쪽(南쪽)으론 조천읍과 닿아 있다.

봉개동은 물장(물醬)오리오름 [6] 의 지맥(地脈)으로 22개(個)의 오름을 아우르며 크게 봉아(蜂兒)오름 [7] (봉개(鳳蓋) 본동(本洞)), 명도암 [8] , 웃므드네(용강동), 고는새(서회천), 새미(동회천(洞會千)) 등(等) 5개(個)의 자연(自然)마을로 이뤄졌다. [출처(出處)] 주요(主要) 도로(道路)로는 먼저 번영로 [10] 가 있는데 제주시(濟州市) 시내(市內) [11] 와 표선면을 이어주는 간선도로(幹線道路) 역할(役割)을 하며, 봉개동에서도 이 도로(道路)를 중심(中心)으로 상가(商家) 건물(建物)들이 분포(分布)해 있다.

두 번째(番째)로 아봉로란 도로(道路)가 있는데, 이 도로(道路)는 봉개동과 아라동을 이어주는 역할(役割)을 한다. 세 번째(番째)로 명림로는 번영로에서 4·3평화공원(平和公園), 절물휴양림(節物休養林)을 지나 사려니숲길이 있는 비자림로(榧子林路)를 이어준다. 2019년(年) 10월(月) 10일(日)엔 애조(哀調)로 봉개구간(鳳蓋區間)이 개통(開通)되면서 애조로가 번영로를 사이에 두고 명림로와 만나게 되면서 사거리(四거리)를 이루게 됐다. 최근(最近)엔 대단지(大團地) 아파트 신축(新築) 등(等)으로 제주시내(濟州市內) 동부권(東部圈)과 마찬가지로 도시화(都市化)가 진전(進展)되고 있다.

4. 주요(主要) 시설(施設) [편집(編輯)]

교육시설(敎育施設)로 봉개초등학교(鳳蓋初等學校), 대기고등학교(待機高等學校) 가 있으며 주요(主要) 볼거리로 4·3평화공원(平和公園), 절물휴양림(節物休養林), 노루생태공원(生態公園), 참살(慘殺)이체험휴양마을, 유스호스텔, 어린이교통공원(交通公園) 등(等)이 있다.

또한 제주(濟州) 왕(王)벚나무 자생지(自生地)(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제(第)159호(號))와 제주마(濟州馬)(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제(第)347호(號)) 육성지도(育成地圖) 봉개동에 있다.

봉개동엔 쓰레기 매립지(埋立地)가 있었지만, 포화(飽和) 문제(問題)로 2019년(年) 하반기(下半期)부터 구좌읍에 새로운 매립지(埋立地)가 건설(建設)됐다. 또한 화북공업단지(華北工業團地)가 이곳의 법정동인(法廷同人) 회천동으로 이전(移轉)한다. 물론(勿論), 그 이전(以前)까진 반발(反撥)이 극심(極甚)했다.

5. 여담(餘談) [편집(編輯)]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일본군(日本軍) 96사단(師團) 예하(隸下)의 293연대본부(連帶本部)가 주둔(駐屯)해 있었다고 한다. 주변(周邊) 오름엔 대규모(大規模) 갱도(坑道)진지 등(等) 군사시설(軍事施設)을 구축(構築)했다.

제주(濟州) 4.3 사건(事件) 발생(發生) 1년(年) 뒤인 1949년(年) 2월(月)에 봉(鳳)개리 마을을 초토화(焦土化)시킨 제(第)2연대장(聯隊長) 함병선 과 작전참모(作戰參謀) 김명(金明)이 마을 명칭(名稱)을 자신(自身)들의 이름을 딴 함명리(函名利)(咸明里)로 개명(改名)시켰다고 한다. 마을 주민(住民)들은 이를 치욕(恥辱)으로 여겨 명칭(名稱)을 다시 봉개리(鳳蓋里)로 바꿨다고 한다.

그리고 제주(濟州) 4·3평화공원(平和公園)에 놓인 상징조형물(象徵造形物) 중(中)에 아이를 끌어안고 죽어가는 여인(女人)을 형상화(形象化)한 동상(銅像)이 있는데 봉개동(당시(當時) 봉(鳳)개리)에서 2연대(聯隊) 토벌작전(討伐作戰)이 벌어진 1949년(年) 1월(月) 6일(日), 군인(軍人)에 쫓기다 젖먹이 딸을 업은 채 총(銃)에 맞아 숨진 봉개동 변병생(便竝生) 모녀(母女)를 모티브로 한 것이며 조형물(造形物)의 이름은 비설(飛雪)(飛雪)이라 부른다고 한다. [출처(出處)]

국내(國內)의 유명(有名) 개인(個人) 말(末) 생산목장(生産牧場) 중(中) 하나인 챌린저팜이 자리 잡고 있다. [13] 대표적(代表的)인 씨수말은 카우보이 칼과 올드 패션드로, 2019년(年)에 은퇴(隱退)한 트리플나인 도 여기서 종마생활(種馬生活)을 하고 있다.

6. 관련문서(關聯文書) [편집(編輯)]

[1] 2022년(年) 8월(月) 기준(基準)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주민등록인구(住民登錄人口) 통계(統計) [2] 봉개동 1824-1 [3] 2022년(年) 6월(月) 기준(基準)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주민등록인구(住民登錄人口) 통계(統計) [4] 카카오맵에 봉개동을 검색(檢索)하면 3개(個) 법정동(法定洞)을 포함(包含)한 행정동인(行政同人) 봉개동은 안 나오고 3개(個) 법정동(法定洞)이 각각(各各) 따로 검색(檢索)된다. [5] 명림로라는 도로변(道路邊)에 있다. [6] 한라산(漢拏山) 과 오백장군(五百將軍) 오름과 더불어 제주인(濟州人)의 3대(代) 성(聖)스러운 성산(聖山)이라 불린다. [7] 대기고등학교(待機高等學校) 본관(本館) 뒤편(뒤便)에 봉아(蜂兒)오름 정상(正常) 표지석(標識石)이 있다. 대기고는 지금(只今)은 생각하기 힘들지만 오름 정상(正常) 분화구(噴火口)를 밀어서 지은 학교(學校)다. 대기고 운동장(運動場) 자리가 봉아(蜂兒)오름의 분화구(噴火口) 자리다. 지금(只今)은 인조(人造)잔디가 조성(造成)되어 개선(改善)되었지만 그때문에 비가 올 때마다 운동장(運動場)의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한 문제(問題)가 있었다. 대기고의 오랜전통(傳統)인 "운동장(運動場) 크로스 금지(禁止)"가 생긴 이유(理由). 예전에는 본관(本館)을 쓰는 1~2학년생(學年生)들이 운동장(運動場)을 크로스해서 급식실(給食室)로 가면 별관(別館)에서 보고있던 3학년(學年) 생(生)들이 큰 소리로 욕(辱)을 하곤 했다. [8] 조선시대(朝鮮時代) 유학자(儒學者) 김진용의 은거지(隱居地)로 유명(有名)하며 형제봉, 열안지(悅眼地)오름, 칡오름으로 둘러싸인 마을이다. 1965년(年) 10월(月) 이숭녕(李崇寧)의 명문(名門)으로 된 명도암김진용선생유허비(先生遺墟碑)가 명도암오름에 건립(建立)됐다고 한다. [출처(出處)] 9.1 9.2 한라일보(日報) [10] 구(區)(舊)동부관광도로(東部觀光道路) 주변(周邊) 일대(一帶) [11] 국립제주박물관사거리(國立祭主博物館四거리) 일대(一帶) [13] 보통(普通) 유명(有名) 목장(牧場)들의 경우(境遇) 한림읍(翰林邑) 금악리에 모여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