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광신대학교(學校) - 나무위키

광신대학교(學校)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광신대학교 UI 광신대학교(學校) 관련(關聯)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각(各) 대학(大學)의 제(第)1캠퍼스(본교(本校))는 캠퍼스를 표기(表記)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二元化))부터 "OO대학교(大學校)(AA캠퍼스)"과 같이 표기(表記)함. 분교(分校)는 캠퍼스명(名) 표시(標示)에서 OO대학교(大學校) AA캠퍼스로 괄호(括弧) 없이 표시(標示)함.
[ 펼치기 · 접기 ]
감리회(監理會), 그리스도의교회, 루터교회(敎會), 성공회(聖公會) 산하(傘下) [ 펼치기 · 접기 ]
기독교대한감리회(基督敎大韓監理會) (기감(技監))
목원대학교 심볼
신대원(神大院)
목원대학교
협성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협성대학교(學校)
감리회(監理會) 계열(系列) 초교파(超敎派) [2]
배재대학교 엠블럼
신대원(神大院)
배재대학교(學校)
[1] 감리회(監理會) 계열(系列)과 장로회(長老會) 계열(系列)이 공동(共同) 운영(運營)함.
[2] 재단(財團)이 감리회(監理會) 계열(系列)이지만 어느 교단(敎壇)에도 소속(所屬)하지 않은 대학(大學).
연세대, 이화여대, 배재(培栽)대는 재단(財團)과 별개(別個)로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이 KAICAM과 인준(認准)하였다.
그리스도의교회교역자협의회
(무악기파(無樂器派))
그리스도의 교회협의회(敎會協議會)
(유악기파(柔握氣波))
기독교한국(基督敎韓國)루터회(回) (기루(妓樓))
루터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루터대학교(學校)
성공회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성공회대학교
장로회(長老會) 산하(傘下) [ 펼치기 · 접기 ]
고신대학교 심볼
신대원(神大院)
고신대학교
백석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백석대학교(白石大學校)
한남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한남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피어선(藝場避漁船))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한영)
한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한신대학교
광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광신대학교(學校)
대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대신대학교(學校)
총신대학교 엠블럼
신대원(神大院)
총신대학교(學校)
칼빈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칼빈대학교(大學校)
장로회(長老會) 계열(系列) 초교파(超敎派) [5]
경성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경성대학교(學校)
[4] 장로회(長老會) 계열(系列)과 감리회(監理會) 계열(系列)이 공동(共同) 운영(運營)함.
[5] 재단(財團)이 장로회(長老會) 계열(系列)이지만 어느 교단(敎壇)에도 소속(所屬)하지 않은 대학(大學).
연세대(延世大), 경성대, 김천대(金泉大), 한남대는 재단(財團)과 별개(別個)로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이 KAICAM과 인준(認准)하였다.
성결교회(聖潔敎會), 오순절교회(五旬節敎會), 침례회, 재림교회(再臨敎會), 초교파(超敎派) 산하(傘下) [ 펼치기 · 접기 ]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기성(旣成))
대한기독교(大韓基督敎)나사렛성결회
(나사렛/나성(羅城))
예수교대한성결교회(大寒聖潔敎會)
(예성)
나사렛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나사렛대학교(學校)
성결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성결대학교(學校)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기하성)
한세대학교 엠블럼
신대원(神大院)
한세대학교(學校)
[3] 학사학력(學事學歷) 인정(認定) 각종학교(各種學校).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재림(再臨))
삼육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삼육대학교(學校)
기독교(基督敎)한국침례회
(기침)
침례회 계열(系列)
초교파(超敎派)
[6]
[6] 재단(財團)이 침례회 계열(系列)이지만 어떤 교단(敎團)에도 소속(所屬)하지 않은 대학(大學)
한국독립교회(韓國獨立敎會)및선교단체연합회(宣敎團體聯合會) (KAICAM)
계명대학교 심볼
신대원(神大院)
계명대학교
명지대학교 엠블럼
신대원(神大院)
명지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심볼
신대원(神大院)
한국성서대학교(學校)
호서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호서대학교
無교단(敎團) 초교파(超敎派) [7]
[7]: 어떤 교단(敎團)에도 소속(所屬)하지 않은 개신교(改新敎) 성향(性向) 대학(大學)
신대원(神大院)
: 해당(該當) 교단(敎團)의 목사(牧師)를 양성(養成)하는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 목회학과(牧會學科) 설치(設置)
[ 펼치기 · 접기 ]
? 개신교(改新敎)
ㄱ~ㄷ
ㅅ~ㅇ
ㅈ~ㅎ
? 불교(佛敎)
? 천주교(天主敎)
? 원불교(圓佛敎)
? 개신교(改新敎)
ㄷ~ㅂ
ㅈ~ㅎ
? 불교(佛敎)
? 원불교(圓佛敎)
tongilsymbolwhit... 통일교(統一敎)
단(段)월드
광신대학교(學校)
光神大學校
Kwangshin University
광신대학교 UI
국가(國家)
지역(地域)
분류(分類)
설립자(設立者)
정규오
개교(個校)
종교(宗敎)
총장(總長)
제(第)8대(代) 김경윤
재단(財團) 및 법인(法人)
학교법인(學校法人) 광신학원(狂信學院)
재학생(在學生)
학부생(學部生): 409명(名)(2022년(年)) [1]
대학원생(大學院生): 507명(名)(2022년(年)) [2]
주소(住所)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북구(北區) 양산택지소(量産宅地所)로 36 ( 본촌동 )
웹 사이트

1 . 개요(槪要)
1.1 . 역사(歷史)
2 . 대학(大學) 상징(象徵)
2.1 . 교표(校標)
3 . 캠퍼스
3.1 . 중앙(中央) 도서관(圖書館) 3.2 . 진리관(眞理觀) 3.3 . 은혜관(恩惠館) 3.4 . 국제관(國際館) 3.5 . 사랑관(觀)
4 . 개설(開設) 학과(學科)
4.1 . 학부(學部) 과정(過程)
4.1.1 . 대학(大學)
4.1.1.1 . 신학(神學)과 4.1.1.2 . 사회복지상담학(社會福祉相談學)과 4.1.1.3 . 음악학과(音樂學科) 4.1.1.4 . 유아교육과(幼兒敎育科) 4.1.1.5 . 국제한국어교원학과(國際韓國語敎員學科) 4.1.1.6 . 실용음악학과(實用音樂學科) 4.1.1.7 . 교양학부(敎養學部)
4.1.2 . 대학원(大學院)
4.1.2.1 .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4.1.2.2 .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 4.1.2.3 . 상담치료대학원(相談治療大學院) 4.1.2.4 . 사회복지대학원(社會福祉大學院) 4.1.2.5 . 국제대학원(國際大學院) 4.1.2.6 . 음악대학(音樂大學)원
5 . 교통(交通)
5.1 . 버스 5.2 . 도시철도(都市鐵道) 5.3 . 학교(學校) 주변(周邊) 인프라 및 지형지물(地形地物)들
6 . 기타 7 . 장로회(長老會) 둘러보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光神大學校
1954년(年) 10월(月), 학교법인(學校法人) 광신학원(狂神學院)이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동구(東區) 대의동에 설립(設立)·개교(開校)한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합동(合同))의 4년제(年制) 사립(私立) 단과대학(單科大學)이자 미션스쿨이다. 설립자(設立者)는 정규오이고, 교훈(敎訓)은 '칼빈주의(主義) 신학(神學)의 보수(保守)와 선포(宣布), 성령충만한(聖靈充滿韓) 세계(世界)의 복음화(福音化), 경건(敬虔)한 신앙(信仰)의 생활화(生活化)'이다.

원래(元來)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합동(合同))에서 갈라져 나온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개혁(改革)) 의 신학교(神學校)였으나 예장 개혁(改革)이 개혁신학교(改革神學校) 를 내팽개칠 정도(程度)로 내분(內紛)으로 망가져가자 예장 개혁(改革) 광주측(光州側)이 광신대학교(狂信大學校)를 데리고 다시 예장 합동(合同)과 통합(統合)하며 예장 합동(合同)의 호남(湖南), 제주(濟州) 지역(地域) 신학교(神學校)가 되었다.

서울시(서울市) 관악구(冠岳區) 신림동(新林洞) 에 위치(位置)한 광신고등학교(狂信高等學校) 와는 관련(關聯)이 없다.

비기독교인(非基督敎人)들은 학교(學校) 이름이 광신도(狂信徒) 가 연상(聯想)된다며 괴상(怪常)하게 생각하지만 정작 목사(牧師)들은 광(狂) 주(週) 신(新) 학(學) 대학교(大學校) 를 바로 연상(聯想)해서 딱히 이상(異常)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사실(事實) 기독교(基督敎) 교육기관(敎育機關)은 지역(地域)과 종파(宗派)를 망라(網羅)하고 (국명(國名) or 지역명(地域名) or 생략(省略)) + (종파(宗派) or 신학(神學)) 대학교(大學校)로 이름짓고 너무 길다싶으면 2글자(글字)로 압축(壓縮)하는게 보통(普通)이다.

1.1. 역사(歷史) [편집(編輯)]

2016.03.01 음악대학(音樂大學)원 음악학석사과정(音樂學碩士過程) 신설(新設)
2011.08.18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교육학석사과정(敎育學碩士過程) 및 국제대학원(國際大學院) 문학석사과정(文學碩士過程) 신설(新設), 부설(附設) 목회자사모신학원(牧會者私募神學院) 신설(新設)
2011.06.07 국제관(國際館) 준공(竣工)
2008.08.18 부설(附設) 한국가족치유상담교육(韓國家族治癒相談敎育)원 신설(新設)
2008.02.04 부설(附設) 요양보호사교육원(療養保護士敎育院) 신설(新設)
2007.10.08 사회복지학과(社會福祉學科)를 사회복지상담학과(社會福祉相談學科)로 명칭변경(名稱變更), 국제한국어교원학과(國際韓國語敎員學科) 신설(新設), 부설(附設) 한국어교육원신설(韓國語敎育院新設),
사회복지대학원(社會福祉大學院) 사회복지학(社會福祉學) 석사과정(碩士課程) 증원(增員)
2006.07.25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로부터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문학(文學) 석사(碩士) 과정(過程) 및 사회복지대학원(社會福祉大學院) 사회복지학석사과정(社會福祉學碩士課程) 신설(新設)
2005.10.12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 정원(定員) 조정(調整)에 따른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목회학박사과정(牧會學博士過程) 및 상담치료대학원(相談治療大學院) 신설(新設)
2005.09.27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大韓예수敎長老會總會)(제(第)90회(回))에서 교단(敎團) 합동(合同)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大韓예수敎長老會總會)(합동(合同)) 교단(敎團) 소속(所屬)
2005.07.25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로부터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문학(文學) 석사(碩士) 과정(過程) 및 사회복지대학원(社會福祉大學院) 사회복지학석사과정(社會福祉學碩士課程) 신설(新設)
2004.09.06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신학석사과정(神學碩士過程), 음악학석사과정(音樂學碩士過程) 증원(增員)
2003.11.19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신학박사과정(神學博士課程), 신학석사과정(神學碩士過程) 증원(增員), 음악학석사과정(音樂學碩士過程) 신설(新設)
2003.11.03 해원기념중앙도서관(解冤記念中央圖書館) 신축(新築) 이전(移轉) 개관(開館)
2003.10.08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로부터 유아교육과(幼兒敎育科) 신설(新設), 교육대학원(敎育大學院) 초등특수교육(初等特殊敎育) 신설(新設) 승인(承認)
2002.11.12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로부터 교육대학원(敎育大學院) 유아교육(幼兒敎育), 유아특수교육(幼兒特殊敎育), 상담치료전공(相談治療專攻) 신설(新設) 승인(承認)
2002.10.30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로부터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신학박사과정(神學博士課程), 신학석사과정(神學碩士過程) 신설(新設),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 목회학석사과정(牧會學碩士課程) 정원(庭園) 증원(增員) 승인(承認)
2002.10.15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로부터 사회복지학과(社會福祉學科) 신설(新設) 승인(承認)
2002.06.25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로부터 부설(附設) 사회교육원(社會敎育院) 설치(設置) 인가(認可)
2001.07.01 교회음악과(敎會音樂科)를 음악학과(音樂學科)로 명칭(名稱) 변경(變更)
2000.07.18 교육부(敎育部)로부터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 목회학석사과정(牧會學碩士課程) 정원(庭園) 증원(增員) 승인(承認)
1999.11.02 교육부(敎育部)로부터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 목회학석사과정(牧會學碩士課程) 신설(新設) 승인(承認)
1998.12.16 국방부(國防部)로부터 군종사관후보생(軍宗士官候補生) 선발대상(選拔對象) 학교(學校) 지정(指定)
1996.12.11 교육부(敎育部)로부터 광신대학교(學校) 설립인가(設立認可)
1996.10.26 교육부(敎育部)로부터 학교법인(學校法人) 광신학원(狂信學院) 정관(定款) 변경(變更) 승인(承認) (장로회광주신학교(長老會光州神學校)에서 광신대학교(學校)로 변경(變更))
1996.09.19 대한(大韓)예수교 장로회(長老會) 총회(總會)(제(第)81회(回))에서 준(準)목 고시(考試) 응시자격(應試資格) 인준(認准)
1995.12.21 교육부(敎育部)로부터 기독교아동학과(基督敎兒童學科) 증설(增設) 승인(承認)
1995.03.29 미국(美國) NORTH PARK UNIVERSITY(시카고 소재(所在))와 자매결연(姊妹結緣) 및 학술(學術) 협력(協力) 관계(關係) 수립(樹立)
1993.12. 신관(神官)(현(現), 은혜관(恩惠館)) 교사(敎師) 완공(完工) 이전(以前)
1993.10.04 교육부(敎育部)로부터 신학(神學)과(야)정원 증원(增員) 및 교회음악(敎會音樂)과 증설(增設) 승인(承認)
1993.02.11 교육부(敎育部)로부터 4년제(年制) 대학(大學) 학력(學歷) 인정교 지정(指定)
1992.12.23 교육부(敎育部)로부터 학교법인(學校法人) 광신학원(狂信學院) 설립(設立) 인가(認可)
1992.02.13 교육부(敎育部)로부터 학교법인(學校法人) 광신학원(狂信學院) 설립(設立) 허가(許可)
1990.08.25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북구(北區) 북촌동(北村桐) 산 70번지(番地) 현(現) 위치(位置)에 본관(本館)(현(現), 진리관(眞理觀)) 및 생활관(生活觀) (현(現), 사랑관(觀)) 완공이전(完工以前)
1972.10.12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북구(北區) 운암동(雲巖洞) 110-11번지(番地)에 교사(敎師) 완공(完工) 이전(以前)
1965.03.04 교명(校名)을 광주신학교(光州申學校)라 칭(稱)하고 광주중앙교회(光州中央敎會)에서 주간신학교(週間神學校)를 개교(個校)
1956.10.16 대한(大韓)예수교 장로회(長老會) 총회(總會)(제(第)40회(回))에서 지방신학교(脂肪神學校)로 정식(正式) 인준(認准)
1954.10.21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동구(東區) 대의동 57번지(番地)에서 설립(設立) 개교(個校)

2. 대학(大學) 상징(象徵) [편집(編輯)]

2.1. 교표(校標) [편집(編輯)]

4cd5c3c3ce188682...
5a672d4db630cf55...
① 중앙도서관(中央圖書館)
② 진리관(眞理觀)
③ 은혜관(恩惠館)
④ 국제관(國際館)
⑤ 사랑관(觀)
⑥ 정문(正門)

3.1. 중앙(中央) 도서관(圖書館) [편집(編輯)]

· 지하(地下)2층(層) : 기계실(機械실), 전기실(電氣室)
· 지하(地下)1층(層) : 자유열람실(自由閱覽室), 세미나실(室), Th.M 과정(過程)실Ⅰ, Th.M 과정(過程)실Ⅱ, 휴게실(休憩室)
· 1층(層) : 기획실(企劃室)/기획실장(企劃室長)실, 총무처(總務處), 법인사무국(法人事務局), 교학처(敎學處), 입학취업처(入學就業處), 대외협력(對外協力)실, 정보처리(情報處理)실, 세미나실(室)
· 2층(層) : 대출실(貸出室), 멀티미디어실(室), 도서관장실(圖書館長室),수서정리(手書整理)실, 참고자료실(參考資料室), 연속간행물실(連續刊行物室), 부총장실(副總長室),
해원기념사업회(解冤記念事業會), 해원기념연구소(解冤記念硏究所)
· 3층(層) : 신학자료실(神學資料室), 칼빈홀, 음악감상실(音樂感想室)
· 4층(層) : 일반자료실(一般資料室), 박사과정(博士課程) 연구실(硏究室), 귀중도서실(貴重圖書室), 보존(保存)서고
· 5층(層) : 총장실(總長室), 부속실(附屬室), 소회의실(小會議室), 박물관(博物館), 이사회(理事會)실, 해원(解冤)실, 자체평가실(自體評價室), 국제교류협력처(國際交流協力處)
· 6층(層) : 교목실장(校牧室長)실, 이부처장실(二部處長室), 교학처장(敎學處長)실, 사회복지상담학과장실(社會福祉相談學科長室), 유아교육과장(幼兒敎育課長)실,
국제한국어교원학과장실(國際韓國語敎員學科長室), 조교실(助敎室), 교수연구실(敎授硏究室)

3.2. 진리관(眞理觀) [편집(編輯)]

· 지하(地下)1층(層) : 교직원식당(敎職員食堂), 학생식당(學生食堂), 매점(賣店)
· 1층(層) : 학생상담(學生相談)센터, 취(取)/창업지원(創業支援)센터, 교수학습지원(敎授學習志願)센터, 강사휴게실(講師休憩室), 집단상담실(集團相談室), 매체제작실(媒體製作室), 스터디룸
· 2층(層) : 강의실(講義室), 학생회실(學生會室)
· 3층(層) : 강의실(講義室), 원우회휴게실(休憩室)
· 4층(層) : 콘서트홀, 교수연구실(敎授硏究室), 레슨실(室), 음악학과장실(音樂學課長室), 음악학과사무실(音樂學科事務室), 앙상블실

3.3. 은혜관(恩惠館) [편집(編輯)]

· 지하(地下)2층(層) : 기계실(機械실)
· 1층(層) : 교수연구실(敎授硏究室), 강의실(講義室), 구내서점(構內書店)
실용음학과장실(實用音學科長室), 호남다문화연구소(湖南多文化硏究所)
· 2층(層) : 강의실(講義室), 동문회사무실(同門會事務室), 여학생휴게실(女學生休憩室), 정서(情緖)코칭상담교육(相談敎育)실/상담실(相談室), 세미나실(室), 수업행동분석실(授業行動分析室),
유아교육과(幼兒敎育科) 모의교실(謀議敎室), 유아교육과(幼兒敎育科) 자료실(資料室), 평생교육원전용강의실(平生敎育院專用講義室), 한국어교육원부원장실(韓國語敎育院副院長室),
교수연구실(敎授硏究室), 한국어교육원강의실(韓國語敎育院講義室)
· 3층(層) : 대예배(大禮拜)실, 강의실(講義室), 교수연구실(敎授硏究室), 실용음악학과(實用音樂學科) 학과(學科)실
· 4층(層) : 강의실(講義室), 피아노 연습실, 레슨실(室), 소연주(演奏)실, 미디&레코딩실
· 5층(層) : 타임아트홀

3.4. 국제관(國際館) [편집(編輯)]

· 지하(地下)1층(層) : 탁구장(卓球場), 세탁실(洗濯室), 기계실(機械실), 물품보관(物品保管)실 1,2,3
· 1층(層) : 사무실(事務室), 국제회의실(國際會議室), 게스트룸Ⅰ~Ⅳ, 카페(아티스틱 브라운)
· 2층(層) : 여자기숙사(女子寄宿舍)(2201~2415), 물품보관(物品保管)실 1,2
· 3층(層) : 여자기숙사(女子寄宿舍)(3201~3410), 물품보관(物品保管)실 1,2
· 4층(層) : 남자기숙사(男子寄宿舍)(4201~4415), 물품보관(物品保管)실 1,2
· 5층(層) : 남자기숙사(男子寄宿舍)(5201~5411), 헬스센터, 물품보관(物品保管)실 1,2
· 6층(層) : 남자기숙사(男子寄宿舍)(62010~6411), 세미나실(室), 교수휴게실(敎授休憩室)
· 7층(層) : 남자기숙사(男子寄宿舍)(7402~7405), 선교실(先敎室) Ⅰ,Ⅱ

3.5. 사랑관(觀) [편집(編輯)]

· 1층(層) :
· 2층(層) : 교수연구실(敎授硏究室), 전남제일노회사무실(全南第一老獪事務室)
· 3층(層) : 어린이집
4.1.1.1. 신학(神學)과 [편집(編輯)]
대한민국 국방부 심벌 국방부(國防部) 지정(指定) 군종목사(軍宗牧師) 지원(支援) 가능(可能) 신학대학(神學大學)
[ 펼치기 · 접기 ]
후보생(候補生) 및 요원(遙遠) 선발(選拔) 시험(試驗) 응시(應試) 가능(可能) 신학대학(神學大學)
계명대학교 심볼계명대학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예장통합(統合))
고신대학교 심볼고신대학교
(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상징예장고신(藝場孤辰))
광신대학교 UI광신대학교(學校)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예장합동(合同))
대신대학교 UI대신대학교(學校)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예장합동(合同))
목원대학교 심볼목원대학교
( 기독교대한감리회 상징기감(技監))
백석대학교 UI백석대학교(白石大學校)
(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예장백석(藝場白石))
서울장신대학교 UI서울장신대학교(學校)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예장통합(統合))
숭실대학교 엠블럼숭실대학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예장통합(統合))
영남신학대학교 교표영남신학대학교(學校)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예장통합(統合))
장로회신학대학교 UI장로회신학대학교(學校)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예장통합(統合))
총신대학교 엠블럼총신대학교(學校)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예장합동(合同))
칼빈대학교 UI칼빈대학교(大學校)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예장합동(合同))
한남대학교 UI한남대학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예장통합(統合))
한신대학교 UI한신대학교
( 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기장(機張))
협성대학교 UI협성대학교(學校)
( 기독교대한감리회 상징기감(技監))
요원(遙遠) 선발(選拔) 시험(試驗) 응시(應試) 가능(可能) 신학대학원대학(神學大學院大學)
범례(凡例) 감리교(監理敎) 대학(大學) 구세군(救世軍) 대학(大學) 성결교(聖潔敎) 대학(大學) 오순절(五旬節) 대학(大學) 장로교(長老敎) 대학(大學) 침례교(浸禮敎) 대학(大學) 초교파(超敎派) 대학(大學)
[1] :대학원(大學院) 과정(課程)을 개설(開設)할 수 없는 각종학교(各種學校) 이므로 요원(遙遠) 선발(選拔) 시험(試驗) 응시(凝視) 불가(不可), 순복음대학원대학교(大學院大學校) 가 대학원(大學院) 과정(過程) 대체(代替)
[2] : 연세대 신과대학 , 교회음악(敎會音樂)과 는 국방부(國防部)에게 인가(認可)된 12개(個) 교단(敎團) 중(中) 택(擇)1
후보생(候補生)은 종교(宗敎) 계열(系列) 학과(學科)만 지원(支援) 가능(可能)
(신학과(神學科), 기독교학과(基督敎學科), 기독교교육과(基督敎敎育科), 교회음악(敎會音樂)과 등(等))
요원(要員)은 35세(歲)까지 M.Div를 졸업(卒業)하고 목사고시(牧師考試)를 통과(通過)해야 지원가능(支援可能)
예비군(豫備軍) 군종목사(軍宗牧師)는 동원령(動員令) 발동(發動) 혹은(或은) 전시상황시(戰時狀況視) 40세(歲) 이하(以下)의 목회자(牧會者)가 가능(可能)
자유주의(自由主義) 신학(神學)의 범람(汎濫)으로 교회(敎會)가 혼란스러운 이때, 보수적(保守的)인 개혁주의(改革主義) 신학(神學)에 입각(立脚)하여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聖經)이 가르치는 정확(正確)한 신학(神學)을 공부(工夫)함을 통해 진리(眞理)를 균형(均衡)있게 습득(習得)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실력(實力)있고 인격(人格)을 갖춘 여러 교수(敎授)님들을 통해 재학(在學) 기간(期間) 4년(年)을 통해 지성적(知性的), 인격적(人格的), 그리고 영적(靈的)인 실력(實力)을 점차적(漸次的)으로 연마(硏磨)해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신학적(神學的) 지식(知識)이 이론(理論)에 머물지 않도록 기도(祈禱), 찬양(讚揚), 선교(宣敎) 및 각종(各種) 경건(敬虔) 훈련(訓鍊)을 통해 지식(知識)이 삶으로 체화(滯貨)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졸업(卒業) 후(後)에는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 진학(進學) 선교사(宣敎師) 사역(使役) 군종(軍宗) 장교(將校) 신학자(神學者)로 활동(活動) 음악(音樂) 사역자등(使役者等)의 길이 있습니다.
4.1.1.2. 사회복지상담학(社會福祉相談學)과 [편집(編輯)]
자유주의(自由主義) 신학(神學)의 범람(汎濫)으로 교회(敎會)가 혼란스러운 이때, 보수적(保守的)인 개혁주의(改革主義) 신학(神學)에 입각(立脚)하여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聖經)이 가르치는 정확(正確)한 신학(神學)을 공부(工夫)함을 통해 진리(眞理)를 균형(均衡)있게 습득(習得)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실력(實力)있고 인격(人格)을 갖춘 여러 교수(敎授)님들을 통해 재학(在學) 기간(期間) 4년(年)을 통해 지성적(知性的), 인격적(人格的), 그리고 영적(靈的)인 실력(實力)을 점차적(漸次的)으로 연마(硏磨)해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신학적(神學的) 지식(知識)이 이론(理論)에 머물지 않도록 기도(祈禱), 찬양(讚揚), 선교(宣敎) 및 각종(各種) 경건(敬虔) 훈련(訓鍊)을 통해 지식(知識)이 삶으로 체화(滯貨)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4.1.1.3. 음악학과(音樂學科) [3] [편집(編輯)]
광신대학교(學校)는 기독교(基督敎) 신앙(信仰)을 토대(土臺)로 각(各) 전공(專攻) 분야별(分野別)로 전문성(專門性)과 실력(實力)을 갖춘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하여 국가(國家)와 지역사회(地域社會), 교회발전(敎會發展)에 이바지 할 지도자(指導者)를 배출(輩出)하기위해 설립(設立)된 학교(學校)이다.
음악학(音樂學)과는 1994년(年) 창설(創設)된 이래(以來) 청정(淸淨)한 환경(環境)과 우수(優秀)한 교수진(敎授陣)을 갖추고 음악이론(音樂理論) 교육(敎育)과 철저(徹底)한 실기교육과정(實技敎育課程), 많은 연주무대(演奏舞臺)를 통하여 각각(各各)의 전공(專攻) 분야(分野)에서 실력(實力)과 성숙(成熟)한 신앙인격(信仰人格)을 겸비(兼備)한 음악가(音樂家)를 양성(養成)하고 있다.
4.1.1.4. 유아교육과(幼兒敎育科) [편집(編輯)]
유아교육과(幼兒敎育科)(사범계열(師範系列))는 기독교(基督敎) 신앙(信仰)을 바탕으로 전문성(專門性)과 인성(人性)을 갖춘 유능(有能)한 교사(敎師)를 양성(養成)하는 학과(學科)이다.
전문성향상(專門性向上)을 위해 유아교육현장(幼兒敎育現場) 경험(經驗)을 가진 교수진의(敎授眞意) 체계적(體系的)인 지도(指導), 학생(學生)의 특기적성(特技適性) 계발(啓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놀이치료(治療), 동화구연(童話口演), 독서치료(讀書治療), 상담지도(相談指導) 등(等))운영(運營), 부설기관(附設機關) 및 협력(協力) 유아교육기관(幼兒敎育機關) 연계(連繫)를 통한 체계적(體系的)인 교육실습(敎育實習), 선진유아교육기관(先進幼兒敎育機關) 탐방(探訪), 특강(特講), 워크샵 등(等)을 실시(實施)하고 있다. 인성함양(人性涵養)을 위해 소수정예(少數精銳) 학생(學生)으로 교수(敎授)와의 유대관계(紐帶關係), 졸업생(卒業生) 및 재학생(在學生) 선배(先輩) 간(間)의 멘토제(制), 자기성장(自己成長)프로그램 운영(運營), 동아리, 합창단(合唱團), 선교봉사활동(宣敎奉仕活動) 등(等)을 실시(實施)하고 있다. 본 학과(學科)는 1995년(年) 기독교아동학과(基督敎兒童學科)로 출발(出發), 2004년(年) 유아교육과(幼兒敎育科)로 개칭(改稱)하여 현재(現在)에 이르고 있으며, 대학원진학(大學院進學), 유학(遊學), 유치원교사(幼稚園敎師), 어린이집 교사(敎師), 유치원장(幼稚園長), 어린이집원장(院長), 유아교육관련(幼兒敎育關聯)센터 등(等)에서 활약(活躍)하고 있는 많은 졸업자(卒業者)를 배출(輩出)하고 있다.
4.1.1.5. 국제한국어교원학과(國際韓國語敎員學科) [편집(編輯)]
세계(世界) 각지(各地)에서 한국어(韓國語)를 가르칠 수 있는 전문(專門) 자격(資格)을 갖춘 한국어(韓國語) 교원(敎員)을 양성(養成)한다. 복음(福音)의 세계화(世界化)에 뜻을 둔 인재(人材)들에게 한국어(韓國語) 교육(敎育)에 필요(必要)한 한국어학(韓國語學), 교수법(敎授法) 등(等)의 이론적(理論的), 실제적(實際的) 능력(能力)을 전수(傳受)한다. 재학(在學) 기간(期間) 중(中)에 중국어(中國語), 영어(英語) 등(等) 1개(個) 이상(以上)의 외국어(外國語)를 필수적(必須的)으로 습득(習得)할 수 있으며, 외국인(外國人) 유학생(留學生)들과 함께 생활(生活)하고 공부(工夫)함으로써 한국어(韓國語) 교사(敎師)로서 필요(必要)한 국제적(國際的) 감각(感覺)을 익히고, 풍부(豐富)한 강의(講義) 실습(實習) 경험(經驗)도 쌓을 수 있다.
4.1.1.6. 실용음악학과(實用音樂學科) [편집(編輯)]
기독교적(基督敎的) 가치(價値) 기반(基盤)위에, 21세기(世紀) 고부가(高附加) 가치(價値) 산업(産業)으로 각광(脚光)받고 있는 실용음악분야(實用音樂分野)의 인재(人材) 양성(陽性)을 본 학과(學科)의 목표(目標)로 삼는다. 이를 위해 실력(實力) 있는 교수진(敎授陣)과 양질(良質)의 커리큘럼, 최첨단(最尖端) 기자재(機資材)를 도입(導入)하여 최적(最適)의 교육환경(敎育環境)을 제공(提供)한다.또한 각(各) 분기별(分期別)로 국내외(國內外) 최고(最高)의 뮤지션들을 초청(招請)하여 마스터클래스 및 공연(公演)을 개최(開催)함으로써 학생(學生)들에게 동기부여(動機附與) 및 다양한 음악적(音樂的) 경험(經驗)의 토대(土臺)를 마련한다. 실용음악(實用音樂) 분야(分野)의 다양한 이론(理論), 스타일 및 장르적(的) 특성(特性)들을 학문적(學問的), 단계적(段階的) 접근(接近)을 통해 학습(學習)함으로써 졸업(卒業) 후(後) 프로페셔널 음악인(音樂人)으로써 자립(自立)할 수 있는 능력(能力)을 길러줌과 동시(同時)에 음악(音樂)에 대(對)한 깊이 있는 식견(識見)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敎育)에 중점(重點)을 둘 것이며 한편(한便)으론 신앙인(信仰人)으로써 도덕적(道德的), 인격적(人格的) 소양(素養)을 갖추는데에도 그 가치(價値)를 둘 것이다. 이러한 교육(敎育) 환경(環境)을 통하여 기독교적(基督敎的) 윤리관(倫理觀)에 입각(立脚)한 실력(實力) 있는 음악인(音樂人)을 배출(排出)하여 지역사회(地域社會)에 공헌(貢獻)하고 더 나아가 세계(世界)로 진출(進出)할 수 있는 실용음악(實用音樂) 인재(人材) 양성(養成)의 요람(搖籃)으로 자리 매김 할 것이다.
4.1.1.7. 교양학부(敎養學部) [편집(編輯)]

4.1.2. 대학원(大學院) [편집(編輯)]

4.1.2.1.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편집(編輯)]
  • 신학(神學)과 - 철학박사과정(哲學博士課程)
  • 목회학과(牧會學科) - 목회학박사과정(牧會學博士過程)
  • 신학(神學)과 - 신학석사과정(神學碩士過程)
  • 유아교육학과(幼兒敎育學科) - 교육학석사과정(敎育學碩士過程)
  • 유아교육학과(幼兒敎育學科) - 교육학(敎育學) 박사과정(博士課程)
  • 사회복지학과(社會福祉學科) - 사회복지학박사과정(社會福祉學博士課程)
  • 상담치료학과(相談治療學科) - 상담학박사과정(相談學博士課程)
  • 코칭심리학과(心理學科) - 심리학박사과정(心理學博士課程)
4.1.2.2.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 [편집(編輯)]
광신대학교(學校)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大韓예수敎長老會總會) 합동교단(合同敎團)의 목회자(牧會者) 양성(養成)을 위한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입니다.
신구약(新舊約) 성경(聖經)은 하나님의 말씀이니 신앙(信仰)과 본분(本分)에 대(對)하여 정확무오(正確戊午)한 유일(唯一)의 법칙(法則)입니다. 이에 광신대학교(學校)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은 오직 하나님만을 경배(敬拜)할 것이며, 그리스도의 나라가 온 세상(世上)에 확장(擴張)되기 위하여 힘쓰고, 주(主)께서 영광(靈光) 가운데서 나타나심을 바라고 기다릴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에 의(依)해 부름 받은 자(者)가 자기(自己)의 개인적(個人的)인 소원(所願)이나 이익(利益)을 버리고 인간(人間)을 죄(罪)에서 구원(救援)하는 신성(神聖)한 사명(使命)을 다하는데 있기에 남을 위해 헌신(獻身)하고 봉사(奉仕)하는 희생정신(犧牲精神)과 하나님의 영광(榮光)을 위하여라는 의식(意識)을 가지고 목회자(牧會者)로서 신학(神學) 훈련(訓鍊)은 필수적(必須的)인 것입니다.
신학적(神學的) 훈련(訓鍊)을 위해 성경신학(聖經神學)(구약학(舊約學), 신약학(新約學)), 조직신학(組織神學)(기독교윤리학(基督敎倫理學)), 역사신학(歷史神學), 선교(宣敎)전도학, 실천신학(實踐神學)(목회상담학(牧會相談學), 기독교교육학(基督敎敎育學), 기독교복지학(基督敎福祉學), 교회음악(敎會音樂)) 등(等)의 학문적(學問的) 이론(理論)과 신앙(信仰) 훈련(訓鍊)을 통해 이 시대(時代)의 일꾼을 세우는 것을 사역(使役)을 하고 있습니다.
4.1.2.3. 상담치료대학원(相談治療大學院) [편집(編輯)]
학과소개(學科紹介) 물질적(物質的) 번영(繁榮)과 풍요(豐饒)의 그늘 속에 상처(傷處)와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날로 늘어가는 이때 전문적(專門的) 상담(相談)에 대(對)한 관심(關心)은 점점(漸漸) 더 증가(增加)하고 있습니다.
광신대학교(學校) 상담치료대학원(相談治療大學院)은 오늘날 한국(韓國) 사회(社會)가 요구(要求)하는 ‘따뜻한 감성(感性)과 영성(靈性) 그리고 창의적(創意的) 전문성(專門性)’을 지닌 상담전문가(相談專門家)를 양성(養成)하는 기관(機關)입니다.
본 대학원(大學院)은 총(總) 4학기(學期)로 진행(進行)되며 교과목명(敎科目名) 가운데 꼭 필요(必要)하고 심도(深度) 있는 전공(專攻) 교과목(敎科目)을 개설(開設)하였습니다. 다양한 전문상담(專門相談) 이론교육(理論敎育)과 체계적(體系的)인 상담실습(相談實習)과
수퍼비전을 통해 한국사회(韓國社會)가 요구(要求)하는 실력(實力) 있는 전문상담사(專門相談師)를 육성(育成)하고 있습니다. 대학원(大學院) 과정(過程) 이후(以後) 상담학석사(相談學碩士)(M.A.) 학위(學位) 취득(取得)과 다양한 상담자격(相談資格) 과정(過程)의
연계(連繫)를 통해 전문적(專門的)인 상담자격증(相談資格症)의 취득(取得)을 돕고 안내(案內)하여 공공기관(公共機關)의 상담관련(相談關聯) 직종(職種)에서 근무(勤務)하거나 상담(相談)센터 운영(運營) 또는 센터 전문상담원(專門相談員)으로 그리고
학교(學校)나 교회(敎會) 상담현장(相談現場) 등(等)에서 인정(認定)받는 상담전문가(相談專門家)를 양성(養成)하기 위해 최선(最善)을 다하고 있습니다.
4.1.2.4. 사회복지대학원(社會福祉大學院) [편집(編輯)]
현대사회(現代社會)가 발전(發展)하면 발전(發展)할수록 인간소외현상(人間疏外現象) 등(等) 여러 가지 사회문제(社會問題)가 대두(擡頭)되고 있다. 특히(特히) 청소년문제(靑少年問題), 노인문제(老人問題), 아동문제(兒童問題), 장애인문제(障礙人問題) 뿐만 아니라
산업재해(産業災害), 실업(失業), 정신질환(精神疾患) 등(等) 크고 작은 사회문제(社會問題)들이 갈수록 심화(深化)되어 복지사회(福祉社會)의 실현(實現)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제(社會問題)로부터 모든 국민(國民)들에게
인간(人間)다운 삶을 보장(保障)하고, 사회복지(社會福祉)를 실현(實現)하는 국민적(國民的) 과제(課題)를 수행(遂行)하고 연구(硏究)하며 전문지식(專門知識) 함양(涵養)과 직업적(職業的) 역량강화(力量强化)로 사회복지(社會福祉) 전문인(專門人)으로 인정받고자 한다.
우리 광신대학교(學校) 사회복지대학원(社會福祉大學院) “사회복지학과(社會福祉學科)”에서는 "보건복지부(保健福祉部)(한국사회복지협회(韓國社會福祉協會) 주관(主管))"에서 "사회복지사(社會福祉士) 2급(級)" 자격증(資格證) 취득(取得)이 가능(可能)하게 되었다.
4.1.2.5. 국제대학원(國際大學院) [편집(編輯)]
K-POP, 드라마, 영화(映畫) 등(等) 한국(韓國)의 대중문화(大衆文化)가 전(全) 세계적(世界的)인 관심(關心)을 받게 되면서 한국어(韓國語)에 대(對)한 관심(關心)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미국(美國), 유럽 등(等) 세계(世界) 각지(各地)에서 한국(韓國)의 연예인(演藝人)들과 대중문화(大衆文化)를 좋아하는 외국인(外國人)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들은 한국어(韓國語)로 된 노래를 따라 부르거나 드라마나 영화(映畫) 등(等)의 대사(臺詞)에 많은 관심(關心)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관심(關心)들이 한국어(韓國語) 배우기 열풍(烈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처럼 높아만 가는 한국어(韓國語)와 한국문화(韓國文化) 배우기 열풍(烈風)에 한국어교원(韓國語敎員) 인력(人力) 수요(需要)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전문(專門) 인력(人力)이 부족(不足)한 상태(狀態)다.
게다가 국외(國外)의 관심(關心) 뿐만 아니라 국내(國內) 다문화가정(多文化家庭)이 늘어나면서 한국어교원(韓國語敎員)의 필요성(必要性)이 더욱 강조(强調)되고 있는 것이 현실(現實)이다. 또한 선교사(宣敎師) 후보생(候補生)들에게는 한국어(韓國語) 교육(敎育)을 접목(椄木)한 선교활동(宣敎活動)에 큰 기대감(期待感)을 가지게 한다.
특히(特히) 광신대학교(學校) 국제대학원(國際大學院) “한국어교원학과(韓國語敎員學科)”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文化體育觀光部)"에서 "한국어교원(韓國語敎員) 2급(級)" 자격증(資格證) 취득(取得)이 가능(可能)하게 되었다. [4]
4.1.2.6. 음악대학(音樂大學)원 [편집(編輯)]
광신대학교(學校)는 기독교(基督敎) 신앙(信仰)을 토대(土臺)로 각(各) 전공(專攻) 분야별(分野別)로 전문성(專門性)과 실력(實力)을 갖춘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하여 국가(國家)와 지역사회(地域社會), 교회발전(敎會發展)에 이바지 할 지도자(指導者)를 배출(輩出)하기 위해 설립(設立)된 학교(學校)이다. 음악학(音樂學)과는 1994년(年) 창설(創設)된 이래(以來) 청정(淸淨)한 환경(環境)과 우수(優秀)한 교수진(敎授陣)을 갖추고 음악이론(音樂理論) 교육(敎育)과 철저(徹底)한 실기교육과정(實技敎育課程), 많은 연주무대(演奏舞臺)를 통하여 각각(各各)의 전공(專攻) 분야(分野)에서 실력(實力)과 성숙(成熟)한 신앙인격(信仰人格)을 겸비(兼備)한 음악가(音樂家)를 양성(養成)하고 있다.

5. 교통(交通) [편집(編輯)]

광주대(光州大) , 호남대(湖南大) , 광주여대 , 광주보건대 처럼 이 학교(學校)도 스쿨버스를 운영(運營)하고 있다.
  • 광주역에서 광신대학교(學校)로 오는 버스 30번(番)(간선(看선)) 승차(乘車) 후(後) 양산택지사거리(梁山宅地四거리)에서 하차(下車) : (도보(徒步)로 10분(分) 거리(距離))
  • 광천동 터미널에서 광신대학교(學校)로 오는 버스30번(番)(간선(看선)) 승차(乘車) 후(後) 양산택지사거리(梁山宅地四거리)에서 하차(下車) : (도보(徒步)로 10분(分) 거리(距離)), 60번(番) 승차(乘車) 후(後) 지산중학교(芝山中學校) 하차(下車)
버스
하차(下車)
금남(錦南)57 번(番)(지선(智詵))
운행간격(運行間隔):14분(分)
지산중
양산(量産)60 번(番)(지선(智詵))
운행간격(運行間隔):14분(分)
지산중
용전85 (지선(智詵))
운행간격(運行間隔):27분(分)
지산중
일곡10 (간선(看선))
운행간격(運行間隔):20분(分)
양산택지사거리(量産宅地四거리)서 하차(下車) 후(後) 도보(徒步)로 10분(分)
첨단(尖端)30 (간선(看선))
운행간격(運行間隔):12분(分)
양산택지사거리(量産宅地四거리)서 하차(下車) 후(後) 도보(徒步)로 10분(分)
용전84 (지선(智詵))
운행간격(運行間隔):40분(分)
건국동 파출소(派出所)에 하차(下車) 후(後) 도보(徒步)로 10분(分)
첨단(尖端)95 (지선(智詵))
운행간격(運行間隔):18분(分)
건국동 파출소(派出所)에 하차(下車) 후(後) 도보(徒步)로 10분(分)

5.2. 도시철도(都市鐵道) [편집(編輯)]

2029년(年) 하반기(下半期) 광주(光州) 도시철도(都市鐵道) 2호선(號線) 양산역(量産驛) 이 대학(大學)에서 그나마 가까운 곳에 생길 예정(豫定)이다.

5.3. 학교(學校) 주변(周邊) 인프라 및 지형지물(地形地物)들 [편집(編輯)]

학교(學校) 뒷편(뒤便) 산길(山길)을 지나면 사랑의 시튼 수녀원(修女院)이 있으며 산(山) 넘어 패밀리랜드가 있다. 지도상(指導賞) 동쪽(東쪽)으로 살레시오 고등학교(高等學校)와 교통문화(交通文化) 연수원(硏修院)이 있다.
  • 개혁신학교(改革神學校) 의 형제(兄弟) 학교(學校)였고 한때 예장 개혁(改革)의 신학교(神學校)였기에 예장 개혁(改革) 광주측(光州側)이 설립(設立)되고 합동(合同)으로 되돌아가기까지의 24년(年) 역사(歷史)를 정립(定立)한 적이 있었다. 예장 합동(合同) 본진(本陣)에서는 좀 싫어하는 눈치였지만(...) 국내(國內) 개신교(改新敎) 교회사(敎會史) 사료(飼料)로 의의(意義)가 있다.

7. 장로회(長老會) 둘러보기 [편집(編輯)]

[ 펼치기 · 접기 ]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개혁국제(改革國際))
고신대학교 심볼
신대원(神大院)
고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순장(藝場殉葬))
안양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안양대학교(安養大學校)
백석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백석대학교(白石大學校)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제신(藝場祭神))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1]
(예장중앙(藝場中央))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피어선(藝場避漁船))
서울장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서울장신대학교(學校)
영남신학대학교 교표
신대원(神大院)
영남신학대학교(學校)
장로회신학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장로회신학대학교(學校)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
(예장한영)
한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한신대학교
광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광신대학교(學校)
대신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대신대학교(學校)
총신대학교 엠블럼
신대원(神大院)
총신대학교(學校)
칼빈대학교 UI
신대원(神大院)
칼빈대학교(大學校)
장로회(長老會) 계열(系列) 초교파(超敎派) [3]
[1] 백기환 목사(牧師)가 창립(創立)한 정통교단(正統敎團).
[2] 장로회(長老會) 계열(系列)과 감리회(監理會) 계열(系列)이 공동(共同) 운영(運營)함.
[3] 재단(財團)이 장로회(長老會) 계열(系列)이지만 어느 교단(敎壇)에도 소속(所屬)되지 않은 대학(大學). 그러나 예장합동(合同)과 연관있는 경성대와 예장고신(藝場高紳)과 연관있는 창신대를 제외(除外)하면 모두 예장통합(統合)과 연관있다.
[1] 휴학생(休學生), 학사학위취득유예학생(學士學位取得猶豫學生) 미포함(未包含) [2] 휴학생(休學生) 미포함(未包含) [3] 피아노과(科), 관(管)·현악(絃樂)(타악(打樂), 클래식기타 포함(包含))과, 오르간과, 작곡(作曲)과, 교회음악(敎會音樂)과 [4] 한국어교원(韓國語敎員)이란? 국어(國語)를 모어(母語)로 사용(使用)하지 않는 외국인(外國人), 재외동포(在外同胞)에게 한국어(韓國語)를 가르치는 자(者)를 뜻하며, 국어기본법(國語基本法)에서 정(定)하고 있는 소정(所定)의 요건(要件)을 갖춘 자(者)에게 부여(附與)되는 국가공인자격증(國家公認資格證)입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