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YB (밴드)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YB (밴드)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YB

2010년(年) 12월(月) 세종문화회관(世宗文化會館) 공연(公演)
기본(基本) 정보(情報)
다른 이름 윤도현 밴드
장르
활동(活動) 시기(時期) 1996년(年) ~ 현재(現在)
레이블 Universal
소속사(所屬社) DEE Company
웹사이트 YB ROCKS!
구성원(構成員)
윤도현 (보컬)
김진원 (드럼)
박태희 (베이스)
허준(許浚) (기타(其他))
스캇 할로웰(기타(其他))
이전(移轉) 구성원(構成員)
유병열 (기타(其他),1997~99)
엄태환 (기타(其他),1997~99)
강호정 (건반(鍵盤),1997)

YB 대한민국(大韓民國) 록 밴드 이다.

'윤도현 밴드'로 데뷔하고 활동(活動)하다가 2005년(年) 밴드명(名)을 'YB' 로 변경(變更)하여 활동(活動)하고 있다. YB로 변경(變更)한 이유(理由)는 함께 유럽 순회공연(巡廻公演)을 돌았던 영국(英國) 밴드 스테랑코가 "YB의 음악(音樂)은 전(全) 세계적(世界的)으로 인정받을만 하나 밴드명(名)을 부르기가 어렵다" 며 이름 변경(變更)을 권유(勸誘)해 팀명을 바꿨다. 'YB' 라는 명칭(名稱) 자체(自體)는 2003년(年)부터 사용(使用)했다.

활동(活動) [ 편집(編輯) ]

결성(結成) 및 초창기(草創期) [ 편집(編輯) ]

1994년(年)에 발매(發賣)한 1집(輯) 《타잔/가을 우체국(郵遞局) 앞에서》는 원래(元來) 윤도현의 솔로 앨범이다. 데뷔 첫 공연(公演)의 세션이었던 유병열 (기타(其他)), 김진원(드럼), 박태희(베이스)와 함께 밴드를 결성(結成)하였고, 96년(年) 개봉(開封)한 영화(映畫) 《 정글 스토리 》에도 출연(出演)하게 된다. 1집(輯) 앨범에서 작(作)·편곡(編曲)과 세션으로 참여(參與)했던 강호정 (건반(鍵盤), 프로듀서), 엄태환(하모니카, 어쿠스틱 기타)이(李) 합류(合流)하여 97년(年) 2집(輯) 《윤도현2 and Band》를 발표(發表)하고 밴드로서 본격적(本格的)인 활동(活動)을 시작(始作)하였다. 강호정이 탈퇴(脫退)하고 5인(人) 체제(體制)가 된 밴드는 98년(年) 3집(輯) 《소외(疏外)》, 99년(年) 4집(輯) 《한국(韓國) Rock 다시부르기》까지 매년(每年) 앨범을 발매(發賣)하고 라이브 공연(公演)을 하면서 지명도(知名度)를 넓혀나갔다. 이후(以後) 경제적(經濟的)인 문제(問題)와 여러 사정(事情)이 겹치면서 밴드를 잠시(暫時) 해체(解體)하였다가 4집(輯) 수록곡(收錄曲) 〈너를 보내고〉가 히트하면서 재결성되었다. [1] 이 과정(過程)에서 엄태환과 유병열이 탈퇴(脫退)하고, 당시(當時) 재즈 기타리스트로 활동(活動)하던 허준(許浚) 이 오디션을 통해 합류(合流)하여 4인(人) 체제(體制)로 재편(再編)되었다. 그리고 첫 라이브 앨범인 《윤도현 밴드 Live》를 2000년(年) 9월(月)에 발매(發賣)하였다.

2001년(年) 허준이(許埈珥) 기타를 맡아 처음 발매(發賣)된 정규(正規) 5집(輯) <Urbanite>는 <내게 와줘>, <박하사탕(薄荷沙糖)> 등(等)이 어느 정도(程度) 히트를 기록(記錄)했으나, 기존(旣存) 유병열의 기타(其他) 주법(州法)과 미묘(微妙)한 차이(差異)를 보인 허준(許浚)의 기타연주(演奏)를 낯설어하는 평론가(評論家)들과 팬들의 비평(批評)이 이어지기도 했다. 이 시기(時期) 윤도현은 공연(公演) 위주(爲主)의 활동(活動)에서 벗어나 방송(放送) 활동(活動)을 본격적(本格的)으로 시작(始作)했고 MBC FM4U에서 <두시(時)의 데이트 윤도현입니다>의 진행(進行)을 맡아 2003년(年) 4월(月)까지 진행(進行)했다.

2002년(年) FIFA 한일(韓日) 월드컵 [ 편집(編輯) ]

2002년(年) 7월(月)에 발매(發賣)한 컴필레이션 앨범 《꿈★은 이루어진다》에 수록(收錄)된 〈오 필승(必勝) 코리아〉는 2002년(年) FIFA 한?일(日) 월드컵 의 응원가(應援歌)로 큰 인기(人氣)를 얻으며 월드컵 열기(熱氣)의 상징(象徵)이 되었다. 그동안 대중(大衆)과 다소(多少) 거리감(距離感)이 있던 윤도현 밴드는 축구대표(蹴球代表)팀의 4강(强) 신화(神話)와 함께 단숨에(單숨에) '국민(國民) 밴드'로 급부상(急浮上)하며 커다란 전환점(轉換點)을 맞게 되었다. [2] 원래(元來) 〈오 필승(必勝) 코리아〉는 밴드가 아닌 윤도현 개인(個人)이 참여(參與)한 한 기업(企業)의 CM송이었는데 이후(以後) 밴드의 곡(曲)으로 완전히(完全히) 굳어졌다. 이와 같은 인기(人氣)에 힘입어 같은 해 4월(月)에 발매(發賣)되었던 두 번째(番째) 라이브 앨범 《Live ll - Live Is Life》는 정규(正規) 앨범이 아님에도 불구(不拘)하고 당시(當時)에는 극히(極히) 드문 40만(萬) 장(張) 이상(以上) 높은 판매고(販賣高)를 올렸으며, [3] 9월(月)에는 MBC가 주관(主管)한 《2002년(年) 남북예술인(南北藝術人) 평양공연(平壤公演)》에 '윤도현악단(樂團)'으로 소개(紹介)되어 참가(參加)했다. 이는 북한(北韓)에서 공연(公演)한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의 록 밴드로 기록(記錄)되었다. 2002년(年) KBS 가요대상(歌謠大賞)에서 청소년(靑少年)이 뽑은 인기가요상(人氣歌謠上), MBC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에서 본상(本賞)을 수상(受賞)했다. 팀의 보컬이었던 윤도현 KBS 2TV 에서 윤도현의 러브레터 의 진행(進行)을 맡는 등(等) 대중적(大衆的) 활동(活動)의 폭(幅)이 넓어지는 계기(契機)가 되었다.

2003년(年) 이후(以後) [ 편집(編輯) ]

2003년(年)에는 6개월(個月) 동안 전국(全國) 32개(個)의 도시(都市)를 도는 순회공연(巡廻公演)을 하였고, 2005년(年) 3월(月) 22일(日) 부터 4월(月) 17일(日) 까지 당시(當時) 영국(英國)의 신(神)인 밴드였던 '스테랑코(Steranko)'와 함께 런던 , 프랑크푸르트 , 베를린 , 밀라노 등(等) 4개국(個國) 7개(個) 도시(都市)의 언더그라운드 클럽에서 공연(公演)하였다, 이 유럽 투어의 여정(旅程)은 다큐멘터리 영화(映畫) 《온 더 로드, 투(On The Road, Two)》로 제작(製作)되어 2006년(年)에 개봉(開封)하였다. 이 시기(時期)에 밴드의 이름을 '윤도현 밴드'에서 스테랑코가 제안(提案)한 'YB'로 변경(變更)하였다 [4] 2005년(年) 강산(江山)에 · 김(金)C · 노홍철 등(等)과 함께 전국(全國) 순회공연(巡廻公演)을 하고 앨범을 발매(發賣)하는 등(等) 꾸준히 활동(活動)을 지속(持續)하였다.

2005년경(年頃)부터 객원(客員) 세션으로 영국인(英國人) 기타리스트 스캇 할로웰이 활동(活動)하다가 2011년(年) 정식(正式) 멤버가 되었고, 2011년(年) 3월(月)부터 8월(月)까지 MBC 예능(藝能)프로그램 《 나는 가수(歌手)다 1 》에 출연(出演)해 준명예졸업(準名譽卒業)이라는 좋은 성적(成跡)을 거두며 2002년(年) 이후(以後) 또 다른 전성기(全盛期)를 누리게 되었다.

2015년(年) 데뷔 20주년(周年) 맞이하여 10월(月) 서울을 시작(始作)으로 2016년(年) 1월(月) 중순(中旬)까지 전국(全國) 14개(個) 도시(都市)에서 《YB 20주년(周年) 콘서트 '스무살' (20-years)》 공연(公演)을 개최(開催)하였다. 20주년(周年) 콘서트를 앞두고 한 기자간담회(記者懇談會)에서 "월드컵과 나가수(나歌手)가 YB를 살렸다"라고 밝혔다. [5]

구성원(構成員) [ 편집(編輯) ]

전(前) 구성원(構成員) [ 편집(編輯) ]

  • 유병열 - 기타(其他),활동당시(活動當時) 리더 [6] (1997~99년(年))
  • 엄태환 - 기타(其他) (1997~99년(年))
  • 강호정 - 건반(鍵盤) (1997년(年))
  • 고경천 - 건반(鍵盤) (객원(客員))
  • DJ 썬댄스 (객원(客員))

음반(音盤) [7] [ 편집(編輯) ]

정규(正規) 앨범 [ 편집(編輯) ]

비정규(非正規) 앨범 [ 편집(編輯) ]

  • 캐롤 《[YB]stream⑥》 (2003년(年)) [9]
  • 싱글 《애국가(愛國歌)》 ( 2005년(年) )
  • 싱글 《2006 YB 응원가(應援歌)》 (2006년(年))
  • 싱글 《1178 ( 한반도(韓半島) O.S.T)》 (2006년(年))
  • 싱글 《Talk To Me》 (2008년(年))
  • 미니앨범 《YB vs RRM》 (2010년(年))
  • 싱글 《꿈을 뺏고 있는 범인(犯人)을 찾아라》 (2011년(年))
  • 미니앨범 《 흰수염고래 》 (2011년(年))
  • 싱글 《정글의 법칙(法則)》 (2012년(年))
  • 싱글 《Cigarette Girl (담배가게 아가씨)》 (2014년(年))
  • 싱글 《스무살》 (2015년(年))
  • 글스무I Remember (2017년(年)

라이브 앨범 [ 편집(編輯) ]

  • 《윤도현 밴드 Live》 (2000년(年))
  • 《Live Is Life》 (2002년(年))
  • 《YB Live 3 - After 10 years》 (2007년(年))
  • 《나는 나비 (YB 15주년(周年) 기념(記念) Live Best)》 (2010년(年))

프로젝트 앨범 [ 편집(編輯) ]

  • 싱글 《MadMan》 - 리쌍 & YB (2012년(年))
  • 싱글 《회상(回想)》 - 박정현(朴政賢) & YB (2013년(年))
  • 싱글 《2015 DMC 페스티벌 주제곡(主題曲)》 - 조수미 & YB (2015년(年))

컴필레이션/참여(參與) 앨범 [ 편집(編輯) ]

  • 《A Tribute To 신중현》 - 〈이제 그만 가보자〉 수록 (1997)
  • 《Tribute: 77 99 22》 - 〈나 어떡해〉 수록 (1999)
  • 《A Tribute To 들국화(들菊花) Vol. 1》 - 〈행진(行進)〉 수록 (2001)
  • 《Red DeviL》 - 〈아리랑〉 수록 (2002)
  • 《꿈★은 이루어진다》 - 〈오 필승(必勝) 코리아〉 수록 (2002)
  • 《박노해 시인(詩人) 노동(勞動)의 새벽 20주년(周年) 헌정(憲政) 음반(音盤)》 - 〈이 땅에 살기 위하여〉 수록 (2004)
  • 《무한도전 올림픽대로(大路) 듀엣가요제(歌謠祭)》 - 안편(便)한 사람들 〈난 멋있어〉 수록 (2009)
  • 《승리(勝利)를 위하여 Again 대한민국(大韓民國)》 - 〈애국가(愛國歌)〉 수록 (2010)
  • 《Hahn Dae Soo 40th Anniversary `Rebirth`》 - 〈행복(幸福)의 나라〉 수록 (2015)

나는 가수(歌手)다 앨범 [ 편집(編輯) ]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1 `80년대(年代) 명곡(名曲) 부르기》 - 〈나 항상(恒常) 그대를〉 (2011. 3. 20)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2. 서로의 노래 바꿔 부르기》 - 〈Dash〉 (2011. 3. 27)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3-1 내가 부르고싶은 남의노래》 - 〈마법(魔法)의 성(性) (더 클래식)〉 (2011. 5. 8)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3-2 네티즌 추천곡(推薦曲)》 - 〈Run Devil Run (소녀시대)〉(2011. 5. 22)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4-1 내가 좋아하는 뮤지션의 곡(曲) 부르기》 - 〈해야 (마그마)〉 (2011. 5. 29)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4-2. 청중평가단(聽衆評價團) 추천곡(推薦曲)》 - 〈새벽기차(汽車)〉 (2011. 6. 12)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5-1. 내가 부르고 싶은 노래》 - 〈커피한잔(한盞) (펄시스터즈)〉 (2011. 6. 19)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5-2. 청중(聽衆) 평가단(評價團) 추천곡(推薦曲)》 - 〈빙글빙글 (나미(糯米))〉 (2011 7. 3)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6-1. 이 무대(舞臺)에서 도전(挑戰)하고 싶은 노래》 - 〈빗속에서 (이문세)〉 (2011. 7. 10)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6-2. 청중(聽衆) 평가단(評價團) 추천곡(推薦曲)》 - 〈크게 라디오를 켜고 (시나위)〉 (2011. 7. 24)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7-1. 내가 부르고 싶은 노래》 - 〈삐딱하게 (강산에)〉 (2011. 7. 31)
  • 《나는 가수(歌手)다 경연(競演) 7-2. 청중평가단(聽衆評價團) 추천곡(推薦曲)》 - 〈내 사람이여 (이동원)〉 (2011. 8. 14)
  • 《나는 가수(歌手)다 호주(濠洲) 특별(特別) 공연(公演)》 - 〈붉은 노을 (이문세)〉 (2011. 10. 30)

수상(受賞) 목록(目錄) [ 편집(編輯) ]

  • 제(第)29회(回) 한국방송대상(韓國放送大賞) 가수상(歌手賞)
  • 국회(國會) 대중문화(大衆文化) & 미디연구회(硏究會) 2002 국회대상(國會對象) 대중음악(大衆音樂) 부문상(部門賞)
  • 2002 MBC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 10대(代) 가수상(歌手賞)
  • 2002 KBS 가요대상(歌謠大賞) 청소년(靑少年) 부문(部門) 최고(最高) 가수상(歌手賞)
  • 2003 KMTV 코리안 뮤직 어워드 (KMA) 올해의 가수상(歌手賞)
  • 2003 오늘의 젋은 예술가상(藝術假想) 대중예술부문(對中藝術部門)
  • 제(第)1회(回) 월드 피스 뮤직어워드 세계(世界) 평화음악상(平和音樂賞)
  • 제(第)15회(回) KBS 프로듀서상(賞) 가수부문(歌手部門)
  • 제(第)13회(回) 대한민국(大韓民國) 연예예술대상(演藝藝術大賞) 록부문(部門) 가수상(歌手賞)
  • 제(第)3회(回)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드 록밴드 상(上)
  • 2023년(年) KBS 연예대상(演藝大賞) 베스트 챌린지상(上)
  • 2024년(年) 31주년(周年) 한터뮤직어워즈 2023 레전드 락(落) 아이콘상(上)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윤도현 “4집(輯) 이후(以後) YB 해체(解體), ‘너를 보내고’ 덕분(德分)에 재결합(再結合)”” . 2018년(年) 9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2. “〈스타탐구(探究)〉 윤도현 밴드” . 주간한국. 2003년(年) 11월(月) 6일(日).  
  3. “[공시분석(公示分析)] YBM서울, 윤도현 라이브 40만장(萬張) 돌파(突破)” . 2002년(年) 12월(月) 13일(日).  
  4. “<온 더 로드, 투> 제작기(製作記)” . 씨네21. 2005년(年) . 2008년(年) 3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5. “[현장(現場)메모]스무살 된 YB "월드컵과 '나가수(나歌手)'가 우릴 살렸다 " . 한국일보(韓國日報). 2015년(年) 10월(月) 6일(日).  
  6. 그룹명(名)은 윤도현 밴드 로 알려졌지만, 당시(當時) 팀의 막내였던 윤도현이 리더를 할 수는 없는 일이여서 가장 맏형(맏兄)이고, 다른 멤버들의 동의하(同意下)에 리더로 선정(選定)됨. 탈퇴(脫退) 후(後) 윤도현이 리더가 됨.
  7. 윤도현 솔로앨범은 제외(除外)
  8. 윤도현의 솔로 1집인 동시(同時)에 YB의 1집(輯) 앨범. 이후(以後) 발매(發賣)한 윤도현의 솔로 정규(正規) 앨범도 2집(輯)이 된다.
  9. 정규(正規) 6집(輯) 앨범에 크리스마스 캐롤을 추가(追加)하여 발매(發賣)한 한정판(限定版).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