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V LIVE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V LIVE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V LIVE
사이트 종류(種類) 비디오 스트리밍
사용(使用)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영어(英語), 중국어(中國語)(간체자(簡體字)), 중국어(中國語)(정체자(正體字)), 베트남어(語), 태국어(泰國語), 스페인어(語), 일본어(日本語), 인도네시아어(語), 포르투갈어(語)
소유자(所有者) 네이버
시작(始作)일 2015년(年) 8월(月) 1일(日) (8년(年) 전(前)) ( 2015-08-01 )
종료일(終了日) 2022년(年) 12월(月) 31일(日) (17개월(個月) 전(前)) ( 2022-12-31 )
웹사이트 vlive .tv

V LIVE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영상(映像) 스트리밍 사이트이다. 안드로이드 iOS 에서 지원(支援)되고 있으며, [1] 네이버 가 운영(運營) 및 소유(所有)하고 있다. 아이돌이 직접(直接) 방송(放送)을 켜고 끌 수 있는 플랫폼으로 운영(運營)되고 있다. 주로(主로) 사용(使用)하는 사용자층(使用者層)은 아이돌의 팬들이 대다수(大多數)다. 2015년(年) 8월(月) 1일(日) 베타 서비스를 거쳐 2015년(年) 9월(月) 1일(日)에 정식(正式) 서비스를 시작(始作)하였다. [2] 서비스 시작(始作) 당시(當時)에는 아이돌의 실시간(實時間) 방송(放送)에 초점(焦點)이 맞춰져 있었지만, 현재(現在)는 아이돌을 대상(對象)으로한(爐韓) 프로그램들 역시(亦是) 생방송(生放送)이나 녹화(錄畫)를 통해 팬들에게 프로그램을 홍보(弘報)하는 등(等) 다양(多樣)한 콘텐츠들이 주(主)를 이루고 있다. 2023년(年) 1월(月) 이후(以後)에는 위버스 와 통합(統合)되어 제공(提供)된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2015년(年)에 만들어졌다. [3]

V LIVE+ [ 편집(編輯) ]

콘서트나 팬미팅처럼 오프라인에서 이뤄지는 공연(公演)들을 유료(有料)로 결제(決濟)해 직접(直接) 가지 못한 팬들이 집에서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만들었다. V앱에서 사용(使用)할 수 있는 V코인을 구매(購買)해 결제(決濟)해야 한다.

대부분(大部分) 500~1000 코인으로 값이 책정(策定)되어 있다. (한화(韓貨)로 약(約) 11,000~22,000원)

실제(實際) 앨범을 구매(購買)해 동봉(同封)한 코드를 입력(入力)하면 V LIVE 앱에서 영상(映像)을 볼 수 있는 경우(境遇)도 존재(存在)한다. 이 경우(境遇)에는 따로 구매(購買)가 불가능(不可能)하다.

FANSHIP [ 편집(編輯) ]

아티스트 별(別)로 V 코인을 통해 구매(購買)하는 것이다. V 코인을 통해 구매(購買)하는 경우(境遇), 각(各) 아티스트의 스티커와 응원봉(應援棒)을 얻을 수 있다. 정기(定期) 결제(決濟) (현금(現金) 결제(決濟))와 단기(短期) 결제(決濟) (30일(日)만 결제(決濟), V코인으로 결제(決濟)가 가능(可能)) 로도 나뉜다.

현재(現在)는 주로(主로) 흔히 말하는 공식(公式) 팬클럽이 주(株)를 차지하고 있으며, V 코인 대신(代身) 현금(現金) 결제(決濟)를 통(通)해서 가입(加入)할 수 있다. 주로(主로) 웰컴 키트(공식(公式) 팬클럽에게만 주는 굿즈)의 유무(有無)에 따라 금액(金額)이 다르 책정(策定)된다. (금액(金額)은 아티스트마다 다르다.)

공개(公開)되지 않은 미공개(未公開) 영상(映像) 및 사진(寫眞), 텍스트 콘텐츠를 가입(加入)한 팬들에게 공개(公開)하며, V LIVE 앱 내(內)에서 회원(會員) 전용(專用)의 게시판(揭示板)이 제공(提供)된다. 라이브 영상(映像)과 이후(以後)에 올라온 녹화(錄畫)된 영상(映像)을 시청(視聽)할 때 광고(廣告) 없이 영상(映像)을 볼 수 있다는 혜택(惠澤)이 있다.

또한 기본적(基本的)인 V LIVE 채팅 시스템과 달리, 팬십 결제(決濟)를 한 사람만 볼 수 있는 채팅을 아이돌이 직접(直接) 만들 수 있다.

일정표(日程表) [ 편집(編輯) ]

V LIVE 어플은 주로(主로) '아이돌이나 배우(俳優)들이 직접(直接) 켜는 실시간(實時間) 방송(放送)'이라는 말을 앞세우고 있으나 뮤직비디오, 웹예능(藝能), 제작(製作) 발표회(發表會), 웹드라마 등(等)의 콘텐츠가 시간(時間)을 정(定)해져 올라오는 경우(境遇)도 있다.

그러나 일정표(日程表)에 있다고 해서 생방송(生放送)이 아닌 것은 아니다. 웹예능(藝能)이나 웹드라마는 특성상(特性上) 생방송(生放送)을 할 수 없지만, 제작(製作) 발표회(發表會)나 쇼케이스, 보이는 라디오 같은 경우(境遇)는 생방송(生放送)으로 진행(進行)되고 있다.

일정표(日程表)에 등록(登錄)된 방송(放送)들은 사용자(使用者)가 미리 확인(確認)하고 알림을 받을 수 있으며, 실시간(實時間) 방송(放送)을 켠 경우(境遇)에는 후(後)에 일정표(日程表)에 방송(放送)을 켰다는 사실(事實)이 등록(登錄)된다.

V ORIGINAL [ 편집(編輯) ]

오리지널이라고 붙어있지만 선공개(先公開)일뿐 대다수(大多數)의 프로가 타(打)채널에서 시간(時間)을 두고 재(再)업로드 된다. 장르는 예능(藝能), 웹드라마를 다루며 웹드라마가 많다. [4] [5]

현재(現在)는 아이돌 라디오 라는 MBC 라디오를 방송(放送) 전(前) 보이는 라디오 형식(形式)으로 진행(進行)하고 있으며, 루프탑 라이브 등(等) 오로지 브이앱에서만 생중계(生中繼) 해주는 다양(多樣)한 콘텐츠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趨勢)이다.

스티커 [ 편집(編輯) ]

V 코인을 통해 각(各) 아티스트의 모습이 담긴 스티커를 구매(購買)할 수 있다. (50~100코인)

구매(購買)한 스티커는 V LIVE 앱 내 방송(放送)에서 사용(使用)할 수 있다. 그 아티스트의 스티커는 다른 아티스트의 채널에서는 사용(使用)이 불가능(不可能)하다.

아티스트가 그려지지 않은 캐릭터성(性) 스티커일(日) 경우(境遇), 모든 채널에서 사용(使用)이 가능(可能)하다.

V LIVE AWARDS [ 편집(編輯) ]

2019년(年)부터 V LIVE가 직접(直接) 개최(開催)한 시상식(施賞式)의 하나로, V LIVE 어플 내(內)에서 채널을 열고 활동(活動)한 모든 아티스트를 대상(對象)으로 한 시상식(施賞式)이다.

전(全) 세계(世界) 이용자(利用者)들에게 가장 많은 사랑(댓글 및 하트)을 받은 아티스트들이 상(賞)을 받는 시상식(施賞式)으로 진행(進行)되었으며, V LIVE가 갖고 있는 Fanship 기능(機能)을 활용(活用)하여 사전(事前) 투표(投票) 및 선예매(枚)를 진행(進行)했다. [6]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About V LIVE” (영어(英語)) . 2018년(年) 3월(月) 7일(日)에 확인(確認)함 .  
  2. Herald, The Korea (2015년(年) 7월(月) 29일(日)). “Naver to launch global streaming app for K-pop” (영어(英語)) . 2018년(年) 3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3. Naver to launch global streaming app for K-pop (Korea Herald, 2015.07.29.)
  4. " 힙합예능(藝能)·판타지로맨스·태연·첸" V오리지널 풍성(豐盛)한 11월(月) 라인업” . 《중앙일보(中央日報)》. 2019년(年) 11월(月) 1일(日).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5. “네이버 브이라이브, 3월(月) V오리지널 라인업 공개(公開)..'일진에게 찍혔을때2' 출격(出擊)[공식(公式)]” . 《조선일보(朝鮮日報)》. 2020년(年) 3월(月) 13일(日).  
  6. “[VLIVE] 2019 VLIVE AWARDS V HEARTBEAT” . 2019년(年) 12월(月) 1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7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 V LIVE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公式)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