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TV조선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TV조선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 TV 조선(朝鮮) 에서 넘어옴)

TV조선
개국(個國) 2011년(年) 12월(月) 1일(日)
소유주(所有主) (주(週))조선방송(朝鮮放送)
해상(海上)도 1080i
슬로건 재미에 감동(感動)을 더하다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본사(本社)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中區) 세종대로(世宗大路)21길 40
조선일보(朝鮮日報) 씨(氏)스퀘어 빌딩
모기업(某企業) 조선일보사 ( 조선(朝鮮)미디어그룹 )
자매(姊妹) 채널
IPTV 채널 Btv 20
지니 TV, U+TV 19
위성(衛星) 채널 KT스카이라이프 18
웹사이트 https://www.tvchosun.com

TV조선 (TV CHOSUN)은 유료(有料) 플랫폼으로 방송(放送)하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 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2009년(年) 7월(月) 22일(日) 방송법(放送法) 개정안(改正案)이 국회(國會)를 통과(通過)함으로써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 탄생기반(誕生基盤)이 생겨났다. 2010년(年) 12월(月) 31일(日) 종합편성(綜合編成) 방송(放送)채널사업자(事業者)(당시(當時) CSTV)로 선정(選定)되어 활동(活動)을 시작(始作)하였다. [1] 2011년(年) 1월(月) 28일(日) 조선일보의 조선(朝鮮)을 따서 CSTV 법인(法人) 설립(設立)했으며, 5월(月) 27일(日)에 법인명(法人名)을 CSTV에서 조선방송(朝鮮放送)으로 변경(變更)하였다. [2] 12월(月) 1일(日)에 종편(綜編) 4사(社) 동시(同時)에 개국(開局)하였다. 개국(個國)부터 2018년(年)까지 시청률(視聽率) 이 낮았으며, 2018년(年)부터 서혜진 PD 후임(後任)으로 관찰(觀察) 버라이어티 아내의 맛 〉과 〈 연애(戀愛)의 맛 〉등(等) 이어졌다. 트로트 에 관(關)한 여러 프로그램의 〈 미스트롯 (여성(女性))〉, 〈 미스터트롯 (남성(男性))〉, 〈 사랑의 콜센타 〉, 〈 화요일(火曜日)은 밤이 좋아 〉, 〈 미스터로또 〉 등(等)의 영향(影響)으로 시청률(視聽率)이 크게 높았다. 2018년(年) 8월(月)에 로고표시(表示)를 한글로 쓴 TV조선 에서 영어(英語)로 쓴 TV CHOSUN 로 변경(變更)하였다. 2023년(年) 개최(開催),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에서 주관(主管) 방송사(放送社)로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 의 최초(最初)이다.

직원(職員) [ 편집(編輯) ]

현직(現職) 기자(記者) [ 편집(編輯) ]

보도본부(報道本部) [ 편집(編輯) ]

  • 윤정호 본부장(本部長)/국장(局長) - TV조선 뉴스 9 진행(進行)
  • 김동욱(金東旭) 부본부장(副本部長)/국장대우(局長待遇)
  • 오태진 보도고문(報道拷問)
  • 여시동 편집(編輯)에디터/부국장(副局長)
  • 이재홍 국장(國葬)/부국장대우(副局長待遇)
  • 구본승 팩트체크장(腸)/부장(部長)
  • 정석영 부장(部長)
  • 최금란 차장(次長)

정치부(政治部) [ 편집(編輯) ]

  • 신정훈 부장대우(部長待遇)
  • 박지호 차장(次長)
  • 서주민(鉏住民) 차장대우(次長大宇) - JIBS 에서 이직(移職)
  • 김정우 차장대우(次長待遇)
  • 김충령 차장대우(次長待遇)
  • 김미선 차장대우(次長大宇) - YTN 에서 이직(移職)
  • 윤우리 차장대우(次長大宇) - KBS원주방송국(原州放送局) 아나운서에서 이직(移職) - TV조선 뉴스 9 진행(進行)
  • 김하림 차장대우(次長待遇)
  • 백대우 차장대우(次長待遇)
  • 최우정 차장대우(次長待遇)
  • 윤동빈 기자(記者)
  • 이채림 기자(記者)
  • 이채현 기자(記者)
  • 홍연주 기자(記者)
  • 한송원 기자(記者)
  • 이태희 기자(記者)
  • 정민진 기자(記者)
  • 최민식 기자(記者)
  • 최원희 기자(記者)
  • 황선영 기자(記者)
  • 이태형 기자(記者)
  • 차정승(車政丞) 기자(記者)
  • 최지원 기자(記者)
  • 조성호 기자(記者)
  • 장세희 기자(記者)
  • 최원국 기자(記者)

경제부(經濟部) [ 편집(編輯) ]

  • 안형영 차장(次長) - 한국일보(韓國日報) , MBN 에서 이직(移職)
  • 정은혜(鄭恩惠) 차장(次長)
  • 송병철 차장대우(次長待遇)
  • 정수양 기자(記者)
  • 송무빈 기자(記者) - 공채(公採) 9기(期)
  • 최수용 기자(記者)
  • 윤태윤 (舊. 윤창기) 차장대우(次長大宇) - TJB 아나운서에서 이직(移職) - 시사(示唆)쇼 정치(政治)다 진행(進行)
  • 윤서하(下) 기자(記者)
  • 김창섭 기자(記者)
  • 고희동 기자(記者)

산업부(産業部) [ 편집(編輯) ]

  • 이상준 부장대우(部長待遇)
  • 최규민 차장(次長)
  • 박상현 차장대우(次長待遇)
  • 유혜림 기자(記者)
  • 이정연 차장대우(次長待遇)
  • 김지아 기자(記者) - TV조선 뉴스현장(現場) 진행(進行)
  • 장혁수 기자(記者)
  • 윤수영 기자(記者)
  • 장윤정(張允瀞) 기자(記者)
  • 주재용 기자(記者)
  • 조덕현 기자(記者)

사회부(社會部) [ 편집(編輯) ]

  • 최현묵 부장대우(部長待遇)
  • 정동권 차장(次長)
  • 최석호 차장(次長)
  • 김도형 기자(記者)
  • 주원진 기자(記者)
  • 차순우 기자(記者)
  • 채현식 기자(記者)
  • 임서인(林紓人) 기자(記者)
  • 권형석 기자(記者)
  • 한지은 기자(記者)
  • 전정원 기자(記者)
  • 이재중 기자(記者)
  • 박한솔 기자(記者)
  • 정준영(鄭俊英) 기자(記者)
  • 윤재민 기자(記者)
  • 김예나 기자(記者)
  • 지선호 기자(記者)
  • 정은아 기자(記者)
  • 곽승한 기자(記者)
  • 신유만 기자(記者)
  • 조유진 기자(記者)
  • 안혜리 기자(記者)
  • 황병준 기자(記者)
  • 이광희 기자(記者)

사회정책부(社會政策部) [ 편집(編輯) ]

  • 윤(尹)슬기 차장(車掌) - 조선일보(朝鮮日報) 에서 이직(移職)
  • 유지현 차장(次長)
  • 최원영 차장대우(次長待遇)
  • 박재훈 기자(記者)
  • 신경희 기자(記者)
  • 송민선 기자(記者)
  • 황민지 기자(記者)

전국부(全國部) [ 편집(編輯) ]

  • 이일주 부장대우(部長待遇)
  • 이성진 차장(次長)
  • 이심철 차장(次長)
  • 김승돈 차장(次長)
  • 강석(講席) 기자(記者)
  • 김달호 기자(記者)
  • 이승훈 기자(記者)
  • 장용욱 기자(記者) - 네트워크 매거진 진행(進行)
  • 하동원 기자(記者)
  • 박건우 기자(記者)
  • 김동영 기자(記者)
  • 김태준 기자(記者) - G1 아나운서에서 이직(移職)
  • 구자형 기자(記者)
  • 고승연 기자(記者)
  • 노도일(怒濤日) 기자(記者)

국제부(國際部) [ 편집(編輯) ]

  • 김명우 부장대우(部長大宇) - TV조선 뉴스 7 진행(進行)
  • 이유진 차장대우(次長待遇)
  • 신은서 차장대우(次長待遇)
  • 변재영 기자(記者)
  • 류주현 기자(記者) - YTN 에서 이직(移職) - TV조선 뉴스퍼레이드 진행(進行)
  • 이정민 기자(記者) - 이데일리 시황(市況)캐스터 출신(出身)
  • 조정린 기자(記者) - 공채(公採) 2기(期) - 개그우먼 출신(出身)
  • 김주영 기자(記者)
  • 황정민 기자(記者)
  • 서영일 기자(記者)

문화(文化)스포츠부 [ 편집(編輯) ]

  • 김관 부장대우(部長待遇)
  • 박소영 기자(記者)
  • 이다솜 기자(記者)
  • 석민혁 기자(記者)
  • 장동욱 기자(記者)
  • 구민성 기자(記者)

편집(編輯)1부(部) [ 편집(編輯) ]

  • 배태호 부장(部長)
  • 강민구 차장대우(次長待遇)
  • 홍혜영 차장(次長)
  • 이유경 차장대우(次長待遇)
  • 김수홍 차장대우(次長待遇)
  • 명제언(名提言) PD
  • 김민영 PD
  • 김자민 사원(寺院)
  • 임유진 사원(寺院)

편집(編輯)2부(部) [ 편집(編輯) ]

  • 안석호 부장대우(部長待遇)
  • 이창하 차장(次長)
  • 이길복 차장대우(次長待遇)

시사제작국(時事製作局) [ 편집(編輯) ]

  • 정석영 국장대우(局長待遇)
  • 정(定)한 부장(部長)
  • 이수연 부장대우(部長待遇)
  • 안광연 차장(次長)
  • 오윤정 차장(次長)
  • 안성희 차장(次長)
  • 정동욱 차장대우(次長待遇)
  • 이윤상 차장대우(次長待遇)
  • 최현경 차장대우(次長待遇)
  • 남보라 사원(寺院)

시사보도부(時事報道部) [ 편집(編輯) ]

보도위원(報道委員)실 [ 편집(編輯) ]

콘텐츠사업국(事業國) [ 편집(編輯) ]

  • 김영진(金泳鎭) 콘텐츠사업국장(事業國葬)/부국장대우(副局長待遇)
  • 강동원(姜東遠) 기획부(企劃部) 차장(次長)
  • 허인강 기획부(企劃部) 차장대우(次長待遇)
  • 백연상 기획부(企劃部) 사원(寺院)
  • 이청수 제작부(製作部) 차장(次長)
  • 경승수 제작부(製作部) 차장대우(次長待遇)
  • 백승목 제작부(製作部) 과장(誇張)

보도운영부(報道運營部) [ 편집(編輯) ]

  • 정인영 차장(次長)
  • 박준범 차장대우(次長待遇)
  • 유영일 과장(課長)

디지털뉴스부(部) [ 편집(編輯) ]

  • 강상구 부장(部長)
  • 류병수 차장(次長)
  • 지정용 선임기자(先任記者)/부장대우(部長待遇)
  • 송지욱 사원(寺院)
  • 이상배 사원(寺院)

기상(氣象)캐스터 [ 편집(編輯) ]

영상취재(映像取材)1부(部) [ 편집(編輯) ]

  • 이재익 부장(部長)
  • 문춘일 기자(記者)
  • 김(金)민협 기자(記者)
  • 박승훈 기자(記者) (세종(世宗))
  • 홍종화 기자(記者) (대구(大邱))
  • 이정일 기자(記者) (부산(釜山))
  • 김영훈 차장대우(次長待遇) (강원(江原))
  • 이우영(李愚英) 차장대우(次長待遇) (대전(大田))
  • 장신덕 차장대우(次長待遇) (경남(慶南))
  • 최순화 기자(記者) (울산(蔚山))
  • 손경두 기자(記者) (전남(全南))

영상취재(映像取材)2부(部) [ 편집(編輯) ]

  • 조상범 부장(部長)
  • 안재호 부장대우(部長待遇)
  • 신철(伸鐵) 부장대우(部長待遇)
  • 최정호 차장(次長)
  • 이재천 차장(次長)
  • 이원일 차장(次長)
  • 용현성(用賢性) 차장(次長)
  • 조남훈 차장대우(次長待遇)
  • 서재민 차장대우(次長待遇)
  • 이화성(二化性) 차장대우(次長待遇)
  • 한용식 차장대우(次長待遇)
  • 심예지 기자(記者)
  • 지승구 차장대우(次長待遇)
  • 하재필 기자(記者)
  • 방준태 기자(記者)
  • 최재철 기자(記者)
  • 김동효 기자(記者)
  • 윤영철 기자(記者)
  • 정현석 기자(記者) (인천(仁川))
  • 박민효 기자(記者)
  • 권기범 기자(記者)
  • 신대흔 기자(記者)
  • 박경원 기자(記者)
  • 조운(漕運)하 기자(記者) (수원(水原))
  • 최낙도 기자(記者)
  • 김위준 기자(記者)
  • 이명희(李明姬) 기자(記者)
  • 나영주 기자(記者)
  • 정유한 기자(記者)
  • 김준태 기자(記者)
  • 김정민 기자(記者)

선거기획단(選擧企劃團) [ 편집(編輯) ]

  • 강상구 부장(部長)
  • 조윤정 사원(寺院)

수화(綏化) 통역사(通譯師) [ 편집(編輯) ]

프로그램 [ 편집(編輯) ]

방영(放映) 프로그램 [ 편집(編輯) ]

드라마 [ 편집(編輯) ]

예능(藝能) [ 편집(編輯) ]

교양(敎養) [ 편집(編輯) ]

뉴스 [ 편집(編輯) ]

종영(終映) 프로그램 [ 편집(編輯) ]

드라마 [ 편집(編輯) ]

예능(藝能) [ 편집(編輯) ]

교양(敎養) [ 편집(編輯) ]

뉴스 [ 편집(編輯) ]

제공(提供) 시보(時報) [ 편집(編輯) ]

마케팅 [ 편집(編輯) ]

CI [ 편집(編輯) ]

2011년(年) 12월(月) 1일(日)부터 슬로건과 함께 CI를 공개(公開)했다. CI는 무지개의 다채로운 색상(色相)을 모티브로 했다. 이는 특정한 색(色), 편협(偏狹)한 시각(視角)에 얽매이지 않는 창조성(創造性)과 다양성(多樣性)을 상징(象徵)한다고 밝혔다. 영문(英文) 사명(社名)을 기존(旣存)에 쓰였던 TV조선(朝鮮) 대신(代身) 모두 대문자인(大門自認) TV조선로(朝鮮路) 사용(使用)한다고도 밝혔다. [4] 다만 로고는 소문자(小文字)를 사용(使用)한다.

자매(姊妹) 채널 [ 편집(編輯) ]

  • TV조선(朝鮮)2 - 예능(藝能)과 교양(敎養) 전문(專門) 채널 (2018년(年) 12월(月) 1일(日) 개국(個國))
  • TV조선(朝鮮)3 - 트롯과 웰빙 버라이어티 전문(專門) 채널 (2021년(年) 4월(月) 1일(日) 개국(個國))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해외(海外) 제휴(提携) 방송국(放送局) [ 편집(編輯) ]

방송(放送) 사고(事故) [ 편집(編輯) ]

  • 2011년(年) 12월(月) 1일(日) : 개국(個國) 당일(當日), 화면(畵面)이 위, 아래 2개(個)로 분할(分割)되어 나오는 블랙아웃 화면(畵面) 상황(狀況)이 몇 분가량(分假量) 있었다. [5]
  • 2012년(年) 1월(月) 23일(日) : 오후(午後) 9시(時) 40분(分)부터 김수현 작가(作家)의 설연휴(連休) 특집극(特輯劇) 3부작(部作) 아버지가 미안(未安)하다 1부(部)~3부(部)를 연(連)달아 방영(放映)했다. 하지만 일부지역(一部地域)에서 2부(部) 중반(中盤)부터 3부(部) 중반(中盤)까지 화면(畵面)이 검게 나오거나 소리가 나오다가 끊기는 현상(現象)이 발생(發生)하였고, 이에 방송사(放送社) 측(側)은 3부(部) 중반(中盤)에 사과문(謝過文)을 보내고 24일(日)에 재방송(再放送)을 한다는 자막(字幕)을 내보냈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성호철 (2011년(年) 3월(月) 31일(日)). “CSTV, "종편(綜編) 사업자(事業者) 승인(承認) 받아 " . 조선일보(朝鮮日報). 2011년(年) 5월(月) 1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3년(年) 3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2. 김성후 (2011년(年) 5월(月) 30일(日)). “조선종편(朝鮮綜編) 새 채널명(名) 'TV조선(朝鮮) ' . 한국기자협회 . 2013년(年) 3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3. 이나엘 (2024년(年) 1월(月) 26일(日) ~ )
  4. 김성후, 조선일보(朝鮮日報) 종편(綜編) TV조선(朝鮮), CI 공개(公開) , 기자협회보, 2011년(年) 11월(月) 9일(日)
  5. 윤성열 (2011년(年) 12월(月) 1일(日)). “TV조선(朝鮮), 개국(個國) 첫날 '세상(世上)에 없던TV' 방송(放送) 분할사고(分割事故)” . 머니투데이. 2016년(年) 3월(月) 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3년(年) 3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