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주최(主催) MBC 예능본부(藝能本部)
장소(場所) 경기도(京畿道) 고양시(高陽市) 일산(一山) MBC 드림센터 (2007-)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마포구(麻浦區) 상암동(上巖洞) MBC 상암(上岩) 신사옥(新社屋) (2014-2016, 2018-)
경기도(京畿道) 파주시(坡州市) 문산읍(汶山邑) 임진각 평화(平和)누리 (2006-2012, 2018)
나라 대한민국(大韓民國)
첫 시상(施賞) 1966년(年)
텔레비전 방영(放映)
방송사(放送社) MBC TV
시간(時間) 20:30 ~ 01:10

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방송사(放送社) MBC 예능본부(藝能本部)에서 주최(主催)하는 연말(年末) 특집(特輯) 가요(歌謠) 프로그램으로, 매년(每年) 12월(月) 31일(日) 밤에 생방송(生放送)으로 열린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1966년(年) 12월(月) 2일(日) 문화방송(文化放送) 창사(創社) 5주년(周年)을 기념(記念)해 《 10대(代) 가수(歌手) 청백전(靑白戰) 》이라는 이름으로 MBC 라디오 를 통해 지금(只今)의 세종문화회관(世宗文化會館) 의 전신(前身)인 서울시민회관(市民會館) 에서 생방송(生放送)되었다. 당년(當年)에 왕성(旺盛)하게 활동(活動)한 10명(名)의 가수(歌手)를 선정(選定)한 뒤 그중(그中) 한 가수(歌手)를 뽑아 '10대(代) 가수왕(歌手王)'으로 시상(施賞)하는 행사(行事)였다. 1969년(年) 8월(月) 텔레비전 방송(放送) 개국(開國) 이후(以後) 1970년(年) 12월(月) 2일(日) 부터는 라디오와 TV로도 방송(放送)되기 시작(始作)했다.

1972년(年) 행사(行事) 직후(直後) 서울시민회관(市民會館)이 화재(火災)로 인하여 건물(建物)이 전소(全燒)되자, 1973년(年) 부터 1987년(年) 까지 정동(貞洞) 에 있었던 문화체육관(文化體育館) 에서 개최(開催)되었다. 1974년(年) 에는 방송(放送) 프로그램 이름이 《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 》로 바뀌고 10월(月)의 마지막 주(週) 토요일(土曜日)에 열렸으나, 1975년(年) 에 한하여 문화방송(文化放送) 경향신문(京鄕新聞) 과 합병(合倂)된 것을 기념(記念)해 합병(合倂) 기념일(記念日)인 11월(月) 1일(日) 에 열렸다. 1979년(年) 에는 10월(月)의 마지막 토요일(土曜日)인 10월(月) 27일(日) 에 열릴 예정(豫定)이었으나 10.26사건(事件) 으로 인해 그해 12월(月) 31일(日) 로 연기(延期)된 것이 계기(契機)가 되어 그 후(後) 매년(每年) 12월(月) 31일(日) 에 열리게 되었다.

2005년(年) 10대(代) 가수(歌手)로 선정(選定)된 대부분(大部分)의 출연(出演) 예정(豫定) 가수(歌手)들이 불참(不參)하기로 결정(決定)함에 따라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가 사실상(事實上) 38년(年) 만에 폐지(廢止)되었고, 가수(歌手)들에 대(對)한 경합(競合) 시상이 없는 축제(祝祭) 형식(形式)으로 변경(變更)됨과 함께 《 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으로 명칭(名稱)을 대체(代替)하여 12월(月) 31일(日) 에 방송(放送)되었다. 2006년(年) 에는 임진각 평화(平和)누리 에서 개최(開催)되었으며, 2007년(年) 부터는 일산(一山) MBC 드림센터 에서, 2014년(年) 부터 상암(上岩) MBC 2원 생방송(生放送)으로 진행(進行)되었다. 지상파(地上波) 방송(放送) 3사(社)에서 가요대상(歌謠大賞) 폐지(廢止) 결정(決定)을 내려서 앞으로 이런 형태(形態)는 계속(繼續) 유지(維持)될 것으로 보인다.

한때 1987년(年) 에는 《 87 MBC 한국가요대제전(韓國歌謠大祭典) 1988년(年) 에는 《 88 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이라는 이름으로 방송(放送)되기도 했었다. 그 이유(理由)는 대상(大賞) 수상자(受賞者)의 불참(不參) 때문이었다. 예외(例外)로 1988년(年) 에는 시상식(施賞式) 형태(形態)로 진행(進行)되었다. 특히(特히) 1988년(年)부터 1989년(年)까지 장충체육관 에서 방송(放送)했다.

그러나 선정(選定) 과정(過程)이나 결과(結果)에 대(對)한 공정성(公正性) 시비(是非)를 비롯한 많은 문제점(問題點)을 제기(提起)하면서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를 폐지(廢止)하고 1993년(年) 부터 1995년(年) 까지는 《 MBC 한국가요제전(韓國歌謠祭展) 》이라는 이름으로 [1] , 1996년(年) 부터 1997년(年) 까지는 《 MBC 한국가요대제전(韓國歌謠大祭典) 》이라는 이름으로 방송(放送)되었다. '93년(年)에는 청백전(靑白戰) 형식(形式)으로 진행(進行)되었으며, '94년(年) 최고(最高) 인기(人氣) 가요상(歌謠賞)은 김건모(金健模) 의 〈핑계〉가, '95년(年) 최고(最高) 인기(人氣) 가요상(歌謠賞)은 서태지와 아이들 의 컴백홈이 차지하였다. '96년(年)에는 60년대(年代)부터 90년대(年代)까지의 대중가요(大衆歌謠) 및 통일(統一) 노래 베스트 5를 소개(紹介)하였고, '97년(年)에는 축제(祝祭) 형식(形式)으로 진행(進行)되었다. '98년(年)에는 《 98 MBC 가요제전(歌謠祭展) 》이라는 이름으로 30세(歲) 이상(以上), 30세(歲) 미만(未滿)으로 구분(區分)하여 최고(最高) 인기(人氣) 가수상(歌手賞)을 시상(施賞)하였다. 30세(歲) 이상(以上) 최고(最高) 인기(人氣) 가수상(歌手賞)은 김종환(金鍾煥) 이, 30세(歲) 미만(未滿) 최고(最高) 인기(人氣) 가수상(歌手賞)은 H.O.T.가 차지하였다.

1990년(年)부터 1993년(年)까지는 잠실실내체육관 에서, 1994년(年)부터 1995년(年)까지는 KBS 88체육관(體育館)에서, 1996년(年)에는 올림픽체조경기장(體操競技場) 에서, 1997년(年)부터 1998년(年)까지는 장충체육관 에서 방송(放送)하였으며, 1999년(年)에는 잠실학생체육관 에서 방송(放送)하였고, 2000부터 2005년(年)까지는 장충체육관 에서 방송(放送)하였으며, 2011년(年)에는 광명(光明)스피돔 에서 방송(放送)하였다.

매년(每年) 12월(月) 31일(日) 에 열리는 제야(除夜)의 종(種) 타종(打鐘) 실황(實況)은 2000년(年) 부터 2007년(年) 까지 생방송(生放送) 도중(途中)에 종로(鍾路) 보신각(普信閣)을 연결(連結)해 중계(中繼)하고 있지만, 2005년(年) 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으로 바뀐 이후(以後) 2009년(年) 부터 2015년(年) 까지, 그리고 2017년(年) 에 다시 생방송(生放送) 도중(途中)에 종로(鍾路) 보신각(普信閣)을 연결(連結)해 중계(中繼)하였다.

역대(歷代) MC [ 편집(編輯) ]

1976년(年) ~ 2005년(年) [ 편집(編輯) ]

개최년도(開催年度) 공식(公式) MC 장소(場所) 비고(備考)
1976년(年) 곽규석 , 차인태 문화체육관(文化體育館)
1977년(年) 변웅전 , 차인태
1978년(年) 차인태 , 정경수 , 오영제
1979년(年) 변웅전 , 정경수
1980년(年) 변웅전 , 정경수 , 김혜현
1981년(年) 변웅전 , 정경수 , 최경미 여의도(汝矣島) 구(舊) 본사(本社) 공개(公開)홀
1982년(年) 문화체육관(文化體育館)
1983년(年) 이덕화 , 홍광(紅光)은
1984년(年) 이덕화 , 박영희
1985년(年) 이덕화 , 김보경 여의도(汝矣島) 구(舊) 본사(本社) 공개(公開)홀
1986년(年) 이덕화 , 송옥숙 문화체육관(文化體育館)
1987년(年) 이덕화 , 이혜숙 장충동 장충체육관
1988년(年) 이덕화 , 조용원
1989년(年) 이덕화 , 김희애
1990년(年) 잠실실내체육관
1991년(年) 차인태 , 이영현
1992년(年) 변웅전 , 김희애
1993년(年) 이덕화 , 김희애 88체육관(體育館)
1994년(年) 최수종 , 김혜수(金憓秀)
1995년(年) 주병진(朱炳進) , 이승연(李丞涓)
1996년(年) 한선교(韓善敎) , 김희애 올림픽공원(公園) 펜싱경기장(競技場)
1997년(年) 김승현 , 이승연(李丞涓) (1부(部))
신동호(신동호) , 신애라 (2부(部))
김국진 , 김용만(金龍萬) (3부(部))
장충동 장충체육관
1998년(年) 이문세 , 김혜수(金憓秀)
1999년(年) 주병진(朱炳進) , 이소라 잠실학생체육관
2000년(年) 류시원 장충동 장충체육관
2001년(年) 신동호(신동호) , 소유진
2002년(年) 김용만(金龍萬) , 장서희 , 강호동(姜鎬童)
2003년(年) 김용만(金龍萬) , 하지원
2004년(年) 김용만(金龍萬) , 한지혜 , 한예슬(韓藝瑟)
2005년(年) 김용만(金龍萬) , 유재석(劉在錫)

2006년(年) 이후(以後) [ 편집(編輯) ]

개최년도(開催年度) 부제목(副題目) (서브 타이틀) 공식(公式) MC 장소(場所) 비고(備考)
2006년(年) 빈칸 김성주(金聖柱) , 김제동 사목리 임진각(臨津閣) 내(內) 평화(平和)누리공원(公園)
2007년(年) 유재석(劉在錫) , 정형돈 , 정준하 , 박명수(朴明洙) , 노홍철 , 하하 , 윤은혜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사목리 임진각(臨津閣) 내(內) 평화(平和)누리공원(公園)
2008년(年) 김구라(金口羅) , 김민정 , 유세윤 , 윤종신 , 김성주(金聖柱) ,
2009년(年) 김구라(金口羅) , 이보영 , 신정환
2010년(年) 류시원 , 티파니 ( 소녀시대(少女時代) ), 유리(有利) ( 소녀시대(少女時代) )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2011년(年) 조권 ( 2AM ), 가인 ( 브라운 아이드 걸스 ), 이특 , 강소라 , 닉쿤 ( 2PM ), 빅토리아 , 이장우 , 은정(恩情) ( 티아라 ) 광명(光明) 스피돔,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2012년(年) The History of K-POP 이휘재(李輝宰) , 서현 ( 소녀시대(少女時代) ), , 이준(李儁)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사목리 임진각(臨津閣) 내(內) 평화(平和)누리공원(公園)
2013년(年) 지금(只今)은 K-POP 시대(時代) 김성주(金聖柱) , 박형식 , 클라라 , 정준하 , 노홍철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2014년(年) B.I.G.I.N 김성주(金聖柱) , 혜리 , 이유리 , 전현무 , 소유(所有)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상암동 MBC 본사(本社) 광장(廣場)
2015년(年) 가요대백과(歌謠大百科) 김성주(金聖柱) , 윤아 ( 소녀시대(少女時代) ), 정용화 ( CNBLUE )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상암동 MBC 공개(公開)홀
2016년(年) KOREAN MUSIC FESTIVAL 김성주(金聖柱) , 윤아 ( 소녀시대(少女時代) ), 정용화 ( CNBLUE ), 김초롱 일산(一山) MBC 드림센터 공개(公開)홀, 상암동 MBC 공개(公開)홀, 강남(江南) 영동대로(嶺東大路)
2017년(年) THE FAN 수호(守護) ( EXO ), 윤아 ( 소녀시대(少女時代) ), 차은우 ( 아스트로 )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2018년(年) The Live 노홍철 , 윤아 ( 소녀시대(少女時代) ), 민호(民戶) ( 샤이니 ), 차은우 ( 아스트로 ), 김정현 , 이영은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상암동 MBC 공개(公開)홀, 사목리 임진각(臨津閣) 내(內) 평화(平和)누리공원(公園)
2019년(年) THE CHEMISTRY 장성규 , 윤아 ( 소녀시대(少女時代) ), 차은우 ( 아스트로 )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상암동 MBC 공개(公開)홀, 롯데월드타워
2020년(年) THE MOMENT 장성규 , 윤아 ( 소녀시대(少女時代) ), 김선호 일산(一山) 드림센터 ST 6, 상암동(上巖洞) 본사(本社) 방송(放送)센터 A 스튜디오
2021년(年) TOGETHER 장성규 , 윤아 ( 소녀시대(少女時代) ), 준호 ( 2PM )
2022년(年) With Love
2023년(年) 꿈의 기록(記錄) 황민현 , 윤아 ( 소녀시대(少女時代) ), 민호(民戶) ( 샤이니 ) MBC 일산(一山) 드림센터, 상암동 MBC 공개(公開)홀, 세종대로(世宗大路)

역대(歷代) 최고(最高) 인기상(人氣賞) 수상자(受賞者) [ 편집(編輯) ]

MBC 10대(代) 가수(歌手) 청백전(靑白戰) (1966~1973) [ 편집(編輯) ]

개최년도(開催年度) 수상자(受賞者) / 곡목(曲目)
1966년(年) 최희준 - 하숙생(下宿生)
1967년(年) 이미자(李美子) - 엘레지의 여왕(女王)
1968년(年) 이미자(李美子) - 여자(女子)의 일생(一生)
1969년(年) 펄시스터즈 - 님아
1970년(年) 이미자(李美子) - 그리움은 가슴마다
1971년(年) 남진(南珍) - 마음이 고와야지
1972년(年) 남진(南珍) - 님과 함께
1973년(年) 남진(南珍) - 그대여 변(變)치 마오

MBC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 1기(期) (1974~1992) [ 편집(編輯) ]

  • 1988년(年) 은 '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으로 개최(開催)하였다.
개최년도(開催年度) 수상자(受賞者) / 곡목(曲目)
1974년(年) 하춘화(河春花) - 난생(난生) 처음
1975년(年) 송창식 - 왜 불러
1976년(年) 송대관 - 해 뜰 날
1977년(年) 혜은이 - 당신(當身)만을 사랑해
1978년(年) 최헌 - 앵두
1979년(年) 혜은이 - 제(第)3한강교
1980년(年) 조용필 - 창밖(窓밖)의 여자(女子)
1981년(年) 조용필 - 고추잠자리
1982년(年) 이용(利用) - 잊혀진 계절(季節)
1983년(年) 조용필 - 나는 너 좋아
1984년(年) 조용필 - 친구(親舊)여
1985년(年) 조용필 - 그대여
1986년(年) 조용필 - 허공(虛空)
1988년(年) 주현미 - 신사동(新沙洞) 그 사람
1989년(年) 주현미 - 짝사랑
1990년(年) 변진섭 - 희망사항(希望事項)
1991년(年) 노사연 - 만남
1992년(年) 서태지와 아이들 - 난 알아요

MBC 한국가요제전(韓國歌謠祭展) (1993~1997) [ 편집(編輯) ]

  • 1993년(年)에는 청백전(靑白戰) 형식(形式)으로 진행(進行) [2]
개최년도(開催年度) 수상자(受賞者) / 곡목(曲目)
1994년(年) 김건모(金健模) - 핑계
1995년(年) 서태지와 아이들 - Comeback Home
  • 1996년(年)에는 'MBC 한국가요대제전(韓國歌謠大祭典)'이라는 명칭(名稱)으로 축제(祝祭) 형식(形式)으로 진행(進行) (방송(放送) 70년(年)을 맞아 1960년대(年代)부터 1990년대(年代)까지의 대중가요(大衆歌謠) 소개(紹介) 및 통일(統一) 노래 설문조사(設問調査)) [3]
  • 1997년(年)에는 'MBC 한국가요대제전(韓國歌謠大祭典)'이라는 명칭(名稱)으로 축제(祝祭) 형식(形式)으로 진행(進行)

MBC 가요제전(歌謠祭展) (1998) / MBC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 2기(期) (1999~2004) [ 편집(編輯) ]

개최년도(開催年度) 수상자(受賞者) / 곡목(曲目)
30대(代) 미만(未滿) 최고(最高) 인기(人氣) 가요상(歌謠賞) 30대(代) 이상(以上) 최고(最高) 인기(人氣) 가요상(歌謠賞)
1998년(年) H.O.T. - 빛 김종환(金鍾煥) - 사랑을 위하여
1999년(年) 조성모 - For Your Soul 송대관 - 네박자
2000년(年) 조성모 - 아시나요 태진아 - 사랑은 아무나 하나
2001년(年) god - 길 태진아 - 잘났어 정말(正말)
개최년도(開催年度) 수상자(受賞者) / 곡목(曲目)
2002년(年) 장나라 - Sweet Dream
2003년(年) 이수영 - 덩그러니
2004년(年) 이수영 - 휠릴리

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2005~현재(現在)) [ 편집(編輯) ]

  • 2006년(年) 부터 시상식(施賞式)이 폐지(廢止)되었다.
개최년도(開催年度) 수상자(受賞者) / 곡목(曲目)
2005년(年) 김종국 - 사랑스러워

역대(歷代) 출연진(出演陣) [ 편집(編輯) ]

타이틀 변천사(變遷史) [ 편집(編輯) ]

현재(現在) 타이틀은 2022년(年) 기준(基準)으로 한다.

역대(歷代)
(대수(代數))
타이틀 방송(放送) 기간(期間)
1대(代) MBC 10대(代) 가수(歌手) 청백전(靑白戰) 1966년(年) ~ 1973년(年)
2대(代) MBC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 1974년(年) ~ 1986년(年)
3대(代) MBC 한국가요대제전(韓國歌謠大祭典) 1987년(年)
4대(大) 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1988년(年)
5대(大) MBC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 1989년(年) ~ 1992년(年)
6대(大) MBC 한국가요제전(韓國歌謠祭展) 1993년(年) ~ 1995년(年)
7대(代) MBC 한국가요대제전(韓國歌謠大祭典) 1996년(年) ~ 1997년(年)
8대(代) MBC 가요제전(歌謠祭展) 1998년(年)
9대(代) MBC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 1999년(年) ~ 2004년(年)
10대(代) 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2005년(年)
11대(代) 대한민국(大韓民國)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2006년(年)
12대(代) MBC 가요대제전(歌謠大祭典) 2007년(年) ~ 현재(現在)

현장(現場) 실황(實況) 중계(中繼) [ 편집(編輯) ]

이원(利原) 생중계(生中繼)로 진행(進行)되었다. [4]

보신각(普信閣) [ 편집(編輯) ]

임진각 평화(平和)누리공원(公園) [ 편집(編輯) ]

영동대로(嶺東大路) 코엑스앞 [ 편집(編輯) ]

잠실(蠶室) 롯데월드타워 야외광장(野外廣場) [ 편집(編輯) ]

  • 2019년(年) 미상(未詳)

광화문(光化門) 세종대로(世宗大路) [ 편집(編輯) ]

  • 2023년(年) 미상(未詳)

상암동(上巖洞) 글로벌미디어센터 [ 편집(編輯) ]

자체(自體) 지역방송(地域放送)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1992년(年) 이전(移轉)인 《 가는 해 오는 해 》 프로그램이었다.
  2. 1993 MBC 한국가요제전(韓國歌謠祭展)
  3. 1996 MBC 한국가요대제전(韓國歌謠大祭典)
  4. 2020년(年) 부터 2022년(年) 까지 현장(現場) 실황(實況) 시(時)에는 코로나 우려(憂慮)로 불꽃쇼 타종(打鐘) 행사(行事)를 진행(進行)하지 않았다.
  5. 1999년(年) 마지막 날인 2000 투데이 를 편성(編成)하였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