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K4리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K4리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K4리그
대륙(大陸) 아시아 축구(蹴球) 연맹(聯盟) (AFC)
협회(協會) 대한축구협회 (KFA)
국가(國家) 대한민국 대한민국(大韓民國)
주최(主催) 기관(機關) 대한축구협회
리그 등급(等級) 4부(部)
개최(開催) 주기(周忌) 매년(每年)
상위(上位) 리그 K3리그
하위(下位) 리그 K5리그 (승강제(勝强制) 없음)
웹사이트 공식(公式) 웹사이트
역사(歷史)
설립(設立) 2020년(年) (4년(年) 전(前)) ( 2020 )
역대(歷代) 시즌 수 4
최근(最近) 우승(優勝) 여주(驪州) FC ( 2023 )
최근 시즌 K4리그 2024

K4리그 ( 영어(英語) : K4 League )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축구(蹴球) 리그 시스템 중(中) 4부(部) 리그에 해당(該當)하는 세미프로 축구(蹴球) 대회(大會)이다. 2020년(年)에 13개(個) 팀으로 구성(構成)하여 출범(出帆)하였다. [1]

역사(歷史) [ 편집(編輯) ]

2015년(年) 12월(月) 대한축구협회는 2020년(年)까지 내셔널리그 K3리그 를 통합(統合)하여 프로축구인(蹴球人) K리그1, K리그2, 세미프로축구인(蹴球人) K3리그, K4리그, 그리고 아마축구(蹴球)와의 승강제(勝强制)를 위해 새로운 아마추어리그를 출범(出帆)한다고 밝혔다. [2] 2017년(年)부터 K3리그 가 2개(個)의 리그로 나뉘어 승강제(勝强制)를 시행(施行)하였다.

2020년(年) K4리그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축구(蹴球) 리그 시스템 에서 4부(部) 역할(役割)이자 실업(失業) 리그의 최상위(最上位) 리그였던 내셔널리그 K3리그 를 통합(統合)하여 K3리그와 K4리그로 재편(再編)되어 출범(出帆)하였다. 2019년(年) 12월(月) K4리그는 기존(旣存) K3리그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베이직 에 참가(參加)하던 11개(個) 팀과 신규(新規) 창단팀인(人) FC 남동(南洞) 진주시민축구단(晉州市民蹴球團) 이 더해져 총(總) 13개(個) 팀으로 꾸려지는 것이 확정(確定)되었다. [3]

리그 구성(構成) [ 편집(編輯) ]

리그 방식(方式) [ 편집(編輯) ]

외국인(外國人) 선수(選手) [ 편집(編輯) ]

구단(球團) [ 편집(編輯) ]

2023 시즌 참가(參加)팀 [ 편집(編輯) ]

클럽 연고지(緣故地) 홈구장 2022 시즌 성적(成跡)
강원(江原) FC B 강원(江原) 강남축구공원(江南蹴球公園) 6위(位)
거제시민(巨濟市民) 거제(巨濟) 거제종합운동장(巨濟綜合運動場) 8위(位)
고양(高陽) 해피니스 고양(高陽) 고양종합운동장(高揚綜合運動場) 보조구장(補助球場) 신설(新設) 구단(球團) 해체(解體) 구단(球團)
당진시민(唐津市民) 당진(唐津) 당진종합운동장(唐津綜合運動場) 2022년(年) K3리그 16위(位)(승강(承康)PO 패배(敗北)로 강등(降等))
대구(大邱) FC B 대구(大邱) 대구(大邱) 스타디움 보조구장(補助球場) 12위(位)
대전(大戰) 하나 시티즌 B 대전(大田)
충북(忠北) 보은(報恩)
대전월드컵경기장 보조구장(補助球場)
보은(報恩)스포츠파크 축구장(蹴球場)
5위(位)
부산(釜山) 아이파크 퓨처스 부산(釜山)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보조구장(補助球場) B팀 신설(新設)
서울 노원(蘆原) 유나이티드 서울 노원(蘆原) 마들스타디움 7위(位)
서울 중랑(重浪) 서울 중랑(中浪) 중랑구(中浪區)립잔디운동장(運動場) 13위(位)
세종(世宗) 바네스 세종(世宗) 세종시민운동장(世宗市民運動場) 보조구장(補助球場) 신설(新設) 구단(球團)
여주(驪州) FC 여주(驪州) 여주종합운동장(驪州綜合運動場) 16위(位)
전북(全北) 현대 모터스 B 전북(全北) 완주(完州) 완주군(完州郡) 공설운동장(公設運動場) 10위(位)
전주시민(全州市民) 전주(全州) 전주종합운동장(全州綜合運動場) 9위(位)
진주시민(晉州市民) 진주(晋州) 진주종합경기장(晋州綜合競技場) 11위(位)
FC 충주(忠州) 충주(忠州) 충주종합운동장(忠州綜合運動場) 신설(新設) 구단(球團)
평창(平昌) 유나이티드 평창(平昌) 진부면민체육공원(陳腐面民體育公園) 4위(位)
평택(平澤) 시티즌 평택(平澤) 소사벌레포츠타운 14위(位)


감독(監督)과 유니폼과 주장(主張) [ 편집(編輯) ]

클럽 감독(監督) 킷 스폰서 메인 스폰서 주장(主張)
강원(江原) FC B 이정열 대한민국 휠라코리아 하이원리조트 전현병
거제시민축구단(巨濟市民蹴球團) 송재규 덴마크 험멜 거제시(巨濟市) 조주영
당진(唐津) 시민축구단(市民蹴球團) 스코틀랜드 선덜랜드 오브 스코틀랜드 당진시(唐津市)
부산(釜山) 아이파크 퓨처스 김치곤 독일 푸마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강영웅(强英雄)
서울 노원(蘆原) 이춘석(李春錫) 스토맥스 김경호
서울 중랑(重浪) 축구단(蹴球團) 최정민 덴마크 험멜 법무법인(法務法人) 코러스 최승현
세종(世宗) 바네스 강명진 이영규
여주(驪州) FC 심봉섭 펄스나인 여주(驪州)쌀
전주시민축구단(全州市民蹴球團) 양영철 부미(浮靡) 스포츠 전주시(全州市) 김태연
진주(晉州) 시민축구단(市民蹴球團) 이창엽 애플라인드 NH농협
FC 충주(忠州) 김종필(金鍾泌) 덴마크 험멜 클라우드 권영호
평창(平昌) 유나이티드 안홍민 스페인 조마 평창군(平昌郡) 이재준
평택(平澤) 시티즌 FC 윤상철 (대표이사(代表理事) 겸(兼) 감독(監督)) 스페인 조마 G-스마트

경기장(競技場) [ 편집(編輯) ]

우승(優勝) [ 편집(編輯) ]

시즌 우승(優勝) 준우승(準優勝)
2020 파주시민(坡州市民) 울산시민(蔚山市民)
2021 포천시민(抱川市民) 시흥시민(始興市民)
2022 고양(高陽) KH 양평(楊平) FC
2023 여주(驪州) FC 대구(大邱)FC B

승격(昇格) [ 편집(編輯) ]

시즌 우승(優勝) 2위(位) 3-4위(位)(승격(昇格)PO 승자(勝者))
2020 파주시민(坡州市民) 울산시민(蔚山市民) 승격(昇格) 실패(失敗)(K4 잔류(殘留))
2021 포천시민(抱川市民) 시흥시민(始興市民) 당진시민(唐津市民)
2022 고양(高陽) KH 양평(楊平) FC 춘천시민(春川市民) (승강(承康)PO 승리(勝利))
2023 여주(驪州) FC 대구(大邱)FC (B) 승격실패(昇格失敗)(K4 잔류(殘留))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이상완 (2019년(年) 12월(月) 10일(日)). “한국형(韓國型) 7부(部)리그 시스템 구축(構築)…K3·K4리그 참가(參加)팀 확정(確定)” . STN스포츠.  
  2. “아마추어리그, 디비전 시스템 추진(推進)...2020년(年)까지 4부(部) 리그 확대(擴大)” . 인터풋볼. 2015년(年) 12월(月) 23일(日) . 2015년(年) 12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이상완 (2019년(年) 12월(月) 10일(日)). “한국형(韓國型) 7부(部)리그 시스템 구축(構築)…K3·K4리그 참가(參加)팀 확정(確定)” . STN스포츠.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축구(蹴球) 리그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