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49일(日)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49일(日)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49일(日)
장르 판타지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SBS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1년(年) 3월(月) 16일(日) ~ 2011년(年) 5월(月) 19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수요일(水曜日) , 목요일(木曜日) 오후(午後) 9시(時) 55분(分)
방송(放送) 분량(分量) 1시간(時間) 1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20부작(部作)
기획(企劃) SBS 드라마본부(本部)
책임(責任)프로듀서 최문석
프로듀서 경민석(警敏席), 조성원
편집(編輯) 박숭희
촬영(撮影) 이종녕
제작사(製作社) HB 엔터테인먼트
제작(製作) 문보미
연출(演出) 조영광 , 박용순
조연출(助演出) 이정흠
각본(脚本) 소현경
출연자(出演者) 이요원 , 조현재 , 배수빈 , 서지혜 , 정일우 , 남규리 외(外)
음악(音樂) 박세준
음성(陰性)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아날로그 )
2채널 돌비(돌碑) 디지털 ( 디지털 )
자막(字幕) 청각(聽覺)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자막(字幕) 방송(放送)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외부(外部) 링크  <49일(日)> 공식(公式) 홈페이지
외부(外部) 동영상(動映像)
<49일(日)> 전회차(前廻車) 무료(無料)보기

49일(日) 》은 2011년(年) 3월(月) 16일(日) 부터 2011년(年) 5월(月) 19일(日) 까지 SBS 에서 방송(放送)된 20부작(部作) 드라마 스페셜 인데 여주인공(女主人公)이 형광등(螢光燈)에 밧줄을 매달아 자살(自殺)을 시도(試圖)하는 장면(場面)에서 자살방법(自殺方法)을 구체적(具體的)으로 묘사(描寫)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放送通信審議委員會)로부터 '경고(警告)' 조치(措置)를 받았다 [1] .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주변(周邊)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유지인  : 정미옥 역(驛) - 지현의 어머니
  • 최정우(崔正友)  : 신일식 역(驛) - 지현의 아버지
  • 손병호  : 오해원 역(驛) - 한강(漢江)의 와인바 총(總)매니저
  • 문희경  : 방화준 역(驛) - 해원(解冤)의 아내
  • 강성민  : 노경빈 역(驛) - 정신건강의학과(精神健康醫學科) 의사(醫師)
  • 배(倍)그린  : 박서우 역(驛) - 지현과 인정(人情)의 절친(切親)한 친구(親舊)
  • 김호창  : 기준희 역(驛) - 한강(漢江)의 와인바 아르바이트생(生)
  • 진(眞)예솔  : 마수진 역(役) - 한강(漢江)의 와인바 직원(職員)
  • 윤봉길(尹奉吉)  : 차진영 역(驛) - 민호(民戶)의 고교동창(高校同窓)
  • 이종박  : 고미진 역(驛) - 신일의 홍보실(弘報室) 직원(職員)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김익태  : 조 박사(博士) 역(役)
  • 권혁풍
  • 나재웅
  • 조영진  : 정(鄭) 이사(理事) 역(驛)
  • 손희순 : 민호(民戶)의 대역(帶域) 어머니 역(役)
  • 설주영(駐英) : 신지현 대역(帶域)
  • 박시헌
  • 이은채
  • 백동현
  • 송원종
  • 김훈호  : 형사(刑事) 역(役)
  • 고건영
  • 서민경
  • 장가현  : 웨딩드레스 매장(賣場) 직원(職員) 역(驛)
  • 고동업  : 김진수 역(驛) - 스케줄러가 첫번째(番째)로 데려간 사망자(死亡者)
  • 고동원
  • 유석원 : 법무사(法務士) 역(驛)
  • 최규식
  • 박상용
  • 심하성
  • 송지현
  • 최인숙 : 김진수의 부인(夫人) 역(役)
  • 김상일
  • 최성희
  • 김유안
  • 손진호
  • 한정아
  • 김원
  • 배성은
  • 김남희
  • 신치영
  • 박용준
  • 김주엽
  • 박윤정
  • 고유미 : 간호사(看護師) 역(驛)
  • 최영신 : 빵집 알바생(生) 역(驛)
  • 정유찬  : 호텔 직원(職員) 역(驛)
  • 김선녀 : 지현이네 가정부(家政婦) 역(驛)
  • 김민좌  : 오명신 역(驛) - 지현의 고등학교(高等學校) 동창(同窓)
  • 민병애  : 집주인(主人) 역(役)
  • 김동영 : 편의점(便宜店) 사장(社長) 역(役)
  • 이장옥
  • 장성호 : 휴대전화(携帶電話) 알림음 역(驛)
  • 이선영 : 와인바 'HEAVEN'에서 돌아다니는 아이의 어머니 역(役)
  • 구승현  : 와인바 'HEAVEN'에서 돌아다니는 아이 역(役)
  • 이영란  : 한강(韓江)의 어머니 역(役)
  • 정현석  : 커피숍 주인(主人) 역(役)
  • 강민정 : 기획실(企劃室) 직원(職員) 역(驛)
  • 공호석 : 수제비집 주인(主人) 역(役)
  • 서보익 : 남(南) 대리(代理) 역(役)
  • 현숙희  : 슈퍼 주인(主人) 역(役)
  • 김종호(金鍾浩) : 변호사(辯護士) 역(驛)
  • 민영(民營) : 카페에서 만난 지현의 친구(親舊) 역(役)
  • 이장미  : 윤지선 역(驛) - 카페에서 만난 지현의 친구(親舊)
  • 박수연  : 김선영 역(驛) - 카페에서 만난 지현의 친구(親舊)
  • 김기준(金基俊)
  • 배원세
  • 최대웅
  • 김홍수  : 서 공장장(工場長) 역(驛)
  • 이재환
  • 박용진(朴用鎭)
  • 반(反)혜라
  • 김선혜
  • 이주실  : 강민호의 어머니 역(役)
  • 김영진(金泳鎭) : 스케줄러가 변신(變身)한 남자(男子) 역(役)
  • 진명선  : 무속인(巫俗人) 역(驛)
  • 조재호 : 비서(祕書) 역(役)
  • 손선근  : 역술인(曆術人) 역(驛)
  • 정다혜  : 일진(一陣) 여고생(女高生) 역(役)

특별(特別) 출연(出演) [ 편집(編輯) ]

  • 반효정  : 선배(先輩) 스케줄러 역(驛) (9화(話),19화(話),20화(話))
  • 김형범  : 이승복(李承福) 역(驛) - 첫번째(番째) 49일(日) 여행자(旅行者) (15화(話))

초반(初盤) 줄거리 요약(要約) [ 편집(編輯) ]

낙천적(樂天的)이고 항상(恒常) 밝은 성격(性格)의 신지현(남규리)은 얼마 앞둔 결혼식(結婚式)을 자신(自身)만의 방식(方式)으로 치르기 위해 분주하다. 한편(한便), 연인(戀人)의 죽음으로 5년(年) 동안 무생물(無生物)처럼 감정(感情)도 없이 활력(活力)도 없이 살아가던 송이경(이요원)은 연인(戀人)의 기일(忌日)을 맞아 연인(戀人)의 사고(事故) 현장(現場)에서 차도(車道)에 갑자기 뛰어들어 자살시도(自殺試圖)를 하려다 신경외과(神經外科) 의사(醫師)인 노경빈(강성민)의 도움으로 자살(自殺)에 실패(失敗)하게 되지만 그녀(그女)의 자살시도(自殺試圖)로 인해 연중(年中) 추돌사고(追突事故)가 일어나게 되고 우연히(偶然히) 그곳을 지나가고 있던 신지현은 결국(結局) 사고(事故)에 휘말려 영혼(靈魂)과 육신(肉身)이 분리(分離)되고 만다.

영혼(靈魂)은 깨어 있는 상태(狀態)이지만 육신(肉身)은 식물인간(植物人間) 상태(狀態)가 되어버린 지현은 스케줄러(정일우)한테 49일(日) 안에 자신(自身)을 진심(眞心)으로 사랑하는 사람들 세 사람의 사랑을 증명(證明)해 줄 눈물 세 방울을 얻어야 회생(回生)할 수 있다는 말을 듣게 되고, 회생(回生)의 기회(機會)를 얻은 지현은 슬퍼하는 가족(家族)들과 약혼자(約婚者)인 강민호(배수빈)와 친구(親舊)인 신인정(神認定)(서지혜), 박서우(박(朴)그린) 그리고 과거(過去)의 사건(事件)으로 껄끄러운 사이가 돼버린 친구(親舊) 한강(漢江)(조현재)을 보며 꼭 다시 살아나겠다는 굳은 다짐을 한다.

하지만 49일(日) 동안 지켜야 하는 수칙(守則) 세 가지, 송이경의 몸을 빌려 써야 하며, 돈은 직접(直接) 벌어서 써야 하며, 12시(時) 안에 송이경의 집에 돌아와 그녀(그女)에게 몸을 돌려줘야 한다는 수칙(守則) 때문에 시작(始作)부터 쉽지가 않다. 가장 막막(漠漠)한 생활비(生活費)부터 해결(解決)하기 위해 이경의 모습을 한 지현은 강(姜)에게 강의(講義) 와인바에서 일하게 해 달라고 다짜고짜 부탁(付託)하고, 강(姜)은 지현이 아닌 이경의 모습을 보며 안타까움을 느끼고 아르바이트를 시켜준다. 그렇게 지현은 강의(講義) 와인바에서 얼렁뚱땅 일하게 된다.

그러나 호텔관광학과(觀光學科)를 나왔다는 이경의 경력(經歷)을 빌려 쓴 이력서(履歷書)의 경력(經歷)과는 달리 턱없는 실력(實力) 때문에 강(江)과 와인바 사람들에게 의심(疑心)을 받게 된 지현은 결국(結局) 주어진 시간(時間) 안에 경력증명서(經歷證明書)를 떼오지 않는다면 해고(解雇)될 위기(危機)에 처(處)하는데, 그리하여 경력증명서(經歷證明書)를 떼기 위해 과거(過去) 이경이 일했던 호텔에 찾아간 지현은 우연히(偶然히) 민호(民戶)와 인정(人情)의 밀회(密會)를 목격(目擊)하고 충격(衝擊)에 빠진다.

급히(急히) 호텔에서 도망치듯 빠져나와 스케줄러에게서 받은 휴대전화(携帶電話)로 스케줄러를 호출(呼出)하는 지현, 나타난 스케줄러에게 자신(自身)의 죽음의 진짜(眞짜) 이유(理由)를 알고 있었지 않았냐며 따진다. 사실(事實) 지현이 이경의 자살(自殺) 시도(試圖) 현장(現場)에 간 것은 바로 민호(民戶)와 인정(人情)의 애정행각(愛情行脚)을 목격(目擊)하고는 믿기지 않아 민호(民戶)를 만나러 가기 위해서였는데.. 당황(唐慌)하는 스케줄러, 지현은 강의(講義) 와인바로 돌아간다.

충격(衝擊)에 벌벌 떨며 와인바 입구(入口)에 쪼그려 앉아있는 지현. 그런 지현을 강(江)이 발견(發見)하는데, 강(江)이 제 시간(時間)에 도착(到着)하지 못한 책임(責任)을 물을 새도 없이 지현은 결국(結局) 충격(衝擊)에 쓰러지고 만다. 그런 지현을 업고 강(江)은 와인바와 한 건물(建物) 안에 있는 자신(自身)의 건축사무소(建築事務所)로 데려가 눕힌다. 이경의 모습을 한 지현을 가만히 들여다보는 강(江). 지현은 갑자기 깨어나고 강(江)은 화들짝 놀란다.

민호(民戶)와 인정(人情)의 사이가 믿을 수 없는 지현은, 이경에게 몸을 돌려주고 나서 영혼(靈魂) 상태(狀態)로 민호(民戶)의 오피스텔을 찾아간다. 자신(自身)의 생일(生日)로 된 비밀번호(祕密番號) 0505가(街) 바뀌지 않은 것을 보며 민호(民戶)를 믿으려는 그 때 오피스텔에 버젓이 누워있던 인정(認定)이 일어난다. 경악(驚愕)하는 지현, 그 곳에서 인정(認定)과 민호(民戶)가 자신(自身)의 아버지인 신일식(최정우)의 회사(會社)인 신가산업(辛哥産業)에서 새로이 진행(進行)하고 있는 해미도 프로젝트를 이용(利用)해 신가산업(辛哥産業)을 무너뜨리려는 계획(計劃)을 듣게 되고, 그 계획(計劃)에 자신(自身)의 인감도장(印鑑圖章)이 필요(必要)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오피스텔에서 빠져나와 배신감(背信感)에 서럽게 울던 지현은 마음을 다잡고 그들의 계획(計劃)을 망쳐, 가족(家族)들을 지키기로 결심(決心)한다.

가장 먼저 인감도장(印鑑圖章)을 빼돌리기로 한 지현. 하지만 인감도장(印鑑圖章)이 어디 있는지 생각이 나질 않는데, 머리도, 마음도 복잡(複雜)한 지현은 스케줄러에게 하소연을 한다. 왜 자신(自身)을 친구(親舊)처럼 대(對)하냐며 까칠하게 구는 스케줄러. 지현은 그런 스케줄러에게 도움을 받기 위해 이경의 집에서 그를 다시 한 번(番) 호출(呼出)하고, 이 집에만 오면 이상(異常)한 기분(氣分)이 든다는 스케줄러는 결국(結局) 인간사(人間事)에 관여(關與)해선 안된다는 스케줄러 규칙(規則)을 어기지 않기 위해 능청스럽게 돌려 말하며 지현에게 바뀐 지현의 집 대문(大門) 비밀번호(祕密番號)를 가르쳐 준다.

집이 비는 시간(時間)을 이용(利用)해 담을 넘어 집으로 들어가는 지현! 무작정(無作定) 자신(自身)의 방(房)을 뒤지기 시작(始作)하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인감도장(印鑑圖章)은 보이질 않는다. 바로 그 때, 민호(民戶)가 지현의 집에 찾아온다! 그 상황(狀況)을 알 리(理)가 없는 지현은 여전히(如前히) 방(房)을 뒤지고, 어느새 집으로 돌아온 지현의 어머니 정미옥(유지인)에게 민호(民戶)는,지현의 물건(物件)들을 지현의 병실(病室)에 옮겨두면 식물인간(植物人間)이 된 지현의 상태(狀態)가 호전(好轉)되지 않을까하는 핑계를 대며 지현의 방(房)을 뒤지려 한다. 서서히(徐徐히) 지현의 방(房)에 다가가는 민호(民戶)! 아무것도 모른 채 온 방(房) 안을 뒤지는 지현! 민호(民戶)가 방(房) 앞에 도착(到着)하고, 인기척(人기척)을 느낀 지현이 방(房) 입구(入口) 쪽을 돌아보는데, 민호(民戶)가 방문(房門)을 연다!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O.S.T [ 편집(編輯) ]

Part.1 [ 편집(編輯) ]

Part.2 [ 편집(編輯) ]

Part.3 [ 편집(編輯) ]

Part.4 [ 편집(編輯) ]

Part.5 [ 편집(編輯) ]

Part.6 [ 편집(編輯) ]

Part.7 [ 편집(編輯) ]

Part.8 [ 편집(編輯) ]

  • 신재  : 눈물이 난다

한정판(限定版) [ 편집(編輯) ]

  • J-심포니  : 가슴이 하나라서

Special [ 편집(編輯) ]

Part.10 [ 편집(編輯) ]

  • 재희 : 세 번(番)의 눈물

Premium Package [ 편집(編輯) ]

  • 오현란  : Feneste Che Luciv (불 꺼진 창(窓))
  • 정규(正規)  : 그대니까
  • 리뉴  : 누가 뭐래도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최저(最低) 시청률(視聽率) 최고(最高) 시청률(視聽率) 시청률(視聽率) 조사회사(調査會社)와 지역별(地域別)로 시청률(視聽率)에 차이(差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1년(年)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TNmS 시청률(視聽率) [2] AGB 시청률(視聽率) [3]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제(第)1회(回) 3월(月) 16일(日) 8.1% 9.5% 8.6% 9.6%
제(第)2회(回) 3월(月) 17일(日) 8.0% 9.5% 9.0% 10.8%
제(第)3회(回) 3월(月) 23일(日) 8.8% 10.7% 9.0% 9.7%
제(第)4회(回) 3월(月) 24일(日) 10.2% 12.2% 10.3% 11.0%
제(第)5회(回) 3월(月) 30일(日) 10.2% 13.2% 10.1% 10.4%
제(第)6회(回) 3월(月) 31일(日) 10.5% 12.8% 10.6% 11.0%
제(第)7회(回) 4월(月) 6일(日) 10.0% 12.5% 10.1% 11.1%
제(第)8회(回) 4월(月) 7일(日) 10.5% 12.8% 10.8% 11.4%
제(第)9회(回) 4월(月) 13일(日) 10.0% 12.1% 10.1% 10.7%
제(第)10회(回) 4월(月) 14일(日) 10.8% 13.3% 11.2% 11.8%
제(第)11회(回) 4월(月) 20일(日) 11.0% 13.7% 11.6% 12.9%
제(第)12회(回) 4월(月) 21일(日) 12.3% 15.1% 12.9% 13.8%
제(第)13회(回) 4월(月) 27일(日) 12.3% 14.3% 11.7% 12.5%
제(第)14회(回) 4월(月) 28일(日) 11.9% 13.8% 12.9% 14.1%
제(第)15회(回) 5월(月) 4일(日) 14.0% 17.4% 13.2% 13.9%
제(第)16회(回) 5월(月) 5일(日) 14.5% 16.2% 14.7% 16.3%
제(第)17회(回) 5월(月) 11일(日) 15.2% 19.1% 14.8% 15.3%
제(第)18회(回) 5월(月) 12일(日) 12.7% 15.4% 15.4% 16.3%
제(第)19회(回) 5월(月) 18일(日) 15.8% 15.4% 15.4% 16.4%
제(第)20회(回) 5월(月) 19일(日) 17.1% 19.9% 16.1% 17.1%

경쟁(競爭) 프로그램 [ 편집(編輯) ]

신앙적(信仰的) 요소(要素)들 [ 편집(編輯) ]

49일(日)은 모든 것의 연관성(聯關性), 운명(運命) , 엑소시즘 등(等)의 종교적(宗敎的) 주제(主題)들을 다룬다. 이 드라마는 한국(韓國) 무속(巫俗) 신앙(信仰) 이 중요시(重要視)하는 49일(日) 간(間)의 중유(重油)( 티베트 불교(佛敎) 에서 말하는 죽음과 환생(還生) 사이의 상태(狀態))를 탐구(探究)함으로 인과응보(因果應報) 윤회(輪廻) 를 자주 언급(言及)한다. 드라마에서 나오는 장소(場所)들도 신앙적(信仰的) 의미(意味)를 담고 있다. 예(例)를 들어 한강(韓江)의 식당(食堂) '헤븐'과 강민호와 신지현이 만난 곳인 '운명산(運命山)'이(李) 그렇다. 용서(容恕), 원수(怨讐)를 향(向)한 사랑, 진실(眞實)한 사랑, 숫자(數字) '3' ( 삼위일체(三位一體) 를 연상시킴) 같은 기독교(基督敎) 적(敵) 주제(主題)들은 신지현의 세 눈물을 찾는 데 핵심적(核心的)이다. 이런 소재(素材)들은 드라마의 진행(進行) 속에서 등장인물(登場人物)들의 관계(關係) 속에서 활용(活用)된다. 지현이 스케줄러에게 남성(男性)이냐고 물을 때 그는 사후(死後) 세계(世界) 에서는 성(性)을 구별(區別)하지 않는다고 답(答)한다. 이 같은 생각은 마태복음 22:30에서 나온다. 또 스케줄러는 마태복음 7:7의 "두드려라 그러면 열릴 것이다"를 언급(言及)한다. 스케줄러가 설명(說明)하는 "천기누설(天機漏洩)"은 '말로 표현(表現)할 수 없는,' '사람이 감히(敢히) 이르지 못할' 하나님의 나라의 비밀(祕密) ( 고린도후서 12:4, 마가복음 4:11, 마태복음 13:11)과 비슷하다. 지현이 하나님께 살려 달라고 기도(祈禱)할 때 눈물 목걸이가 한강(韓江)의 눈물을 얻게 된다. 시편(詩篇) 56:8은 하나님께서 눈물 담는 병(甁)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지현의 성인(成人) '신(新)' 또한 신앙적(信仰的)인 요소(要素)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김병규 (2011년(年) 6월(月) 20일(日)). “방통심의위(放通審議會) '자살장면(自殺場面)' 드라마에 무더기 징계(懲戒)”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9년(年) 5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2. TNmS 홈페이지
  3. “AGB 닐슨 홈페이지” . 2014년(年) 6월(月) 1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3월(月) 7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SBS SBS 드라마 스페셜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