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015B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015B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015B(공일오비)
기본(基本) 정보(情報)
장르
발라드
일렉트로니카
활동(活動) 시기(時期) 1990년(年) ~
소속사(所屬社) 더공일오비
웹사이트 https://www.015b.co.kr
구성원(構成員)
정석원
장호일
이전(移轉) 구성원(構成員)
조형곤
조현찬

015B ( 공일오비 , 空一烏飛 [1] )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프로듀서 그룹이다.

활동(活動) [ 편집(編輯) ]

신해철(申海澈) 을 주축(主軸)으로 한 1988년(年) MBC 대학가요제(大學歌謠祭) 대상(大賞) 수상(受賞) 그룹 무한궤도(無限軌道) 의 멤버였던 조형곤 , 조현찬 , 정석원 무한궤도(無限軌道) 의 해체(解體) 이후(以後) 정석원 의 친형(親兄)인 장호일 과 함께 1990년(年) 에 결성(結成)한 그룹이다. 이들은 1990년대(年代) 의 한국(韓國) 대중음악(大衆音樂)에 큰 영향(影響)을 끼친 그룹이다. 015B라는 그룹의 뜻은 무한궤도(無限軌道)의 또 다른 표현법(表現法)으로, 무 = 0 한(韓) = 1 궤도(軌道) = 5B (Orbit) 로 해석(解釋)할 수도 있다. [2] '90년대(年代)를 빛낸 명반(明礬) 50'에서 정석원이 인터뷰했던 내용(內容)을 보면, 015B라는 이름 자체(自體)가 무한궤도(無限軌道)를 장난삼아 바꾼 것은 맞지만, 무한궤도(無限軌道)를 음악적(音樂的)으로 잇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다른 해석(解釋)을 했다고 한다. 2012년(年) 에 장호일이 MBC " 놀러와 "에서 밝혔던 내용(內容)을 보면 당시(當時)에 UB40 , U2 등(等)이 이름을 이렇게 지은 것에서 아이디어를 얻었고, 2집에서 한자(漢字)로 '空一烏飛'라고 한 것은 사람들이 하도 의미(意味)를 물어봐서, 적당(適當)한 한자(漢字)로 끼워맞춘 것이라고 했다. 두 가지 사실(事實)로 미루어 봤을때, 당시(當時) 세계(世界) 음악(音樂)의 중심(中心)에 있던 UB40, U2 등(等)의 작명(作名)패턴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015B 정규(正規) 멤버 중(中)에 정석원, 조형곤, 조현찬이 활동(活動)했던 무한궤도(無限軌道)의 이름을 패러디해서 바꾼 것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合當)할 것이다. 참고(參考)로 1991년(年) 당시(當時) 멤버 조형곤의 KETEL ID가 01orbit이었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는 처음으로 객원(客員) 가수(歌手) 시스템을 도입(導入)해 가수(歌手)의 목소리를 하나의 악기(樂器)로 간주(看做)하고 각(各) 곡(曲)의 특성(特性)마다 어울린 다른 가수(歌手)들을 기용(起用)하는 시스템으로 주목(注目)을 받았다. 지금(只今)은 많은 그룹들이 객원가수(客員歌手)를 기용(起用)하는 것이 활발(活潑)해졌지만, 이는 015B의 객원가수(客員歌手) 시스템이 성공(成功)했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있던 것이다. 015B의 객원(客員)보컬을 통해 이름을 알리게 된 가수(歌手)로는 윤종신 , 김태우, 김돈규, 조성민 , 이장우, 정연욱, 버벌진트, 조유진, 보니, 비(非)스윗 등(等)이 있다. [3] 그리고 신해철(申海澈), 이승환, EOS, 박정현(朴政賢), 다이나믹 듀오, 호란(蝴瓓), 포미닛, 용준형 등(等)의 기존(旣存) 가수(歌手)들도 015B의 앨범에 객원가수(客員歌手)로 참여(參與)하기도 했다.

1990년대(年代) 초반(初盤)으로서는 파격적(破格的)인 하우스 뮤직, 복고(復古), 리메이크 등(等)을 처음 음반(音盤)에 도입(導入)하였고 소녀(少女) 취향(趣向)의 가사(歌詞)와 감성적(感性的)인 멜로디를 앞세운 발라드, 한 편(篇)의 동화책(童話冊)을 읽는 듯한 서정적(抒情的)인 현악(絃樂) 연주곡(演奏曲) 혹은(或은) 사회(社會) 비판적(批判的)인 가사(歌詞)를 필두(筆頭)로 하며 메탈사운드까지 다양한 장르에서 독보적(獨步的)인 위치(位置)를 선보인 그룹이었다. 1992년(年) 발매(發賣)한 3집(輯) "The Third Wave"는 밀리언 셀러를 기록(記錄)하며 015B를 대중성(大衆性)과 음악성(音樂性)을 동시(同時)에 겸비(兼備)한 실력파(實力派) 뮤지션의 자리에 오르게 한다. 이 앨범의 타이틀 곡(曲) '아주 오래된 연인(戀人)들' 은 한국(韓國) 하우스 뮤직의 새로운 장(場)을 열은 노래로 평가(評價)받는다. 1996년(年) 6집(輯) "The Sixth Sense"를 끝으로 활동(活動)을 중단(中斷)했다.

이후(以後) 장호일은 방송인(放送人)으로 방향(方向)을 선회(旋回), 서세원의 토크박스를 비롯한 각종(各種) 예능(藝能) 프로와 영화(映畫), 드라마 등(等)에서 활약(活躍)하기도 했었으며 정석원은 작곡가(作曲家), 프로듀서로 활동(活動)하다가 2006년(年) , 10년(年)만에 7집(輯) "Lucky 7"을 발표(發表)했다. 그 후(後) 비정기적(非定期的)으로 미니 앨범을 발표(發表)하였고, 2018년(年) 부터는 015B 자체(自體) 레이블 더공일오비(the015B)를 만들고 신곡(新曲) 시리즈인 "New Edition"과 셀프 리메이크 시리즈 "The Legacy"를 꾸준히 발표(發表)하고 있다.


음악활동(音樂活動)에 대(對)한 개략적(槪略的) 설명(說明) [ 편집(編輯) ]

이들이 1집(輯)을 낼땐 무한궤도(無限軌道) 멤버들 중(中) 일부(一部)가 음악활동(音樂活動)을 마감하며 내는 앨범의 성격(性格)이 강(剛)했다. 멤버인 장호일 , 정석원 , 조형곤 3인(人)은 연주자(演奏者)들 중심(中心)의 그룹을 만들어 보자는 생각을 갖고, 메인보컬이 없는 그룹을 만들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導入)함으로써, 보컬의 특색(特色)에 구애(拘礙)받지 않고 다양한 음악(音樂)을 보여줄 수 있는 이점(利點)을 얻을 수 있다. 1집(輯) 앨범에 보컬은 윤종신 , 신해철(申海澈) , 최기식 등(等)이 참여(參與)했다. 보컬이 그룹의 정규(正規) 멤버가 아닌 시스템은 한국(韓國) 대중음악(大衆音樂)에서 015B가 처음 도입(導入)한 것이다. 한국(韓國)의 대중(大衆)들은 015B를 통(通)해, 리드싱어가 고정(固定)되어 있지 않는 이 시스템을 이해(理解)하게 되었고, 이는 차후(此後)에 TOY 같은 프로듀서 중심(中心)의 그룹들이 성공(成功)할 수 있는 기반(基盤)을 만든 것이다. 015B 역사상(歷史上) 가장 핵심적(核心的)이고 중요(重要)한 객원가수인(客員歌手人) 윤종신 2010년대(年代) 에 제작(製作)하고 있는 '월간(月刊) 윤종신' 도 다양한 보컬들이 부른 노래를 선보이는데 이것도 본질(本質)은 015B가 시도(試圖)했던 객원(客員)보컬 시스템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처음 015B의 정규(正規)멤버 4인(人)은 각자(各自)의 직업(職業)을 갖고 취미(趣味)로 음악활동(音樂活動)을 하고자 하였으나, 윤종신이 보컬로 참여(參與)한 '텅 빈 거리에서'가 별다른 홍보(弘報)없이도 대중(大衆)의 호응(呼應)을 받았고, 2집(輯) 앨범 발매(發賣)도 수월하게 이루어졌다. 2집(輯) 앨범의 타이틀 곡(曲)인 '4210301'은 환경문제(環境問題)를 다룬 노래로 이 제목(題目)은 당시(當時) 환경청(環境廳) 전화번호(電話番號)인데, 호기심(好奇心)으로 누른 사람들 때문에 환경청(環境廳)에 전화(電話)가 폭주(暴走)하여, 업무(業務) 마비사태(痲痹事態)가 벌어졌다. 이 때문에 환경청(環境廳)에서 그들의 기획(企劃)사인 대영기획(大英企劃)에 항의(抗議)를 하기도 했고, 결국(結局) 전화번호(電話番號)를 바꿀 수 밖에 없다. 015B 2집(輯)의 노래 중(中) 가장 널리 알려진 노래이고, 많은 행사(行事)의 국민(國民) 엔딩곡(曲)으로 자리잡은 '이젠 안녕'은 015B가 이번(이番)이 진짜(眞짜)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넣은 노래였다.

015B는 1, 2집(輯)의 연이은 히트로 인(因)해, 3집(輯)부터 프로 뮤지션으로의 자각(自覺)을 갖고 활동(活動)했으며, 1992년(年) 에 발매(發賣)된 3집(輯)의 '아주 오래된 연인(戀人)들'은 당시(當時)까지의 015B 노래중(中)에 가장 큰 히트를 친 노래이다. 이 노래는 한국(韓國)에서 일렉트로니카 음악(音樂)이 이 정도(程度)까지 성공(成功)할 수 있다는 사례(事例)를 남기며, 그 이후(以後) 많은 뮤지션들이 일렉트로니카를 도입(導入)하는 계기(契機)가 되었다. 1990년대(年代) 초반(初盤)에 한국(韓國) 대중음악(大衆音樂)을 들은 많은 이들은 암묵적(暗默的) 혹은(或은) 명시적(明示的)으로 '아주 오래된 연인(戀人)들'과 서태지와 아이들의 데뷔곡(曲)인 '난 알아요'가 오늘날까지( 2010년대(年代) ) 한국가요(韓國歌謠)의 큰 흐름을 바꾼 곡(曲)이라고 보고 있다. 이렇게 015B 3집(輯)은 015B 음반(音盤) 최초(最初)의 밀리언 셀러가 되었고, 1993년(年) 발매(發賣)된 4집(輯) 또한 음악적(音樂的)으로나 대중적(大衆的)으로 성공(成功)했다. 특히(特히), '신인류(新人類)의 사랑'은 객원가수인(客員歌手人) 김돈규만이 TV에 출연(出演)했으나, 가요(歌謠)톱텐에서 5주(週) 연속(連續) 1위(位)를 하여, 골든컵을 수상(受賞)하였다. 해당(該當) 가수(歌手)들이 1번(番)도 출연(出演)하지 않고, 5주(週) 연속(連續) 1위(位)를 하여 골든컵을 얻은 것은 가요(歌謠) 프로그램사상(史上) 전무후무(前無後無)한 일이다.

1994년(年) 의 5집(輯)은 리메이크 곡(曲)인 '단발머리(斷髮머리)'와 '슬픈인연'을 내세움으로 인(因)해, 한국(韓國) 가요계(歌謠界)의 리메이크 바람을 몰아온 앨범이고 이들 중(中) '단발머리(斷髮머리)'는 당초(當初) 솔리드 가 2집에서 리메이크하여 부를 예정(豫定)이었지만 어느 날 헤어샵에서 만난 015B가 리메이크 중(中)이란 사실(事實)을 알게 되자 015B에게 곡(曲)을 양보(讓步)했으며 솔리드 는 '단발머리(斷髮머리)' 리메이크 대신(代身) '이 밤의 끝을 잡고'로 급선회(急旋回)했는데 이 노래가 앨범 판매순위(販賣順位) 1위(位)를 차지하면서 [4] 한국(韓國)에 R&B 열풍(烈風)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015B 멤버 장호일 (본명(本名) 정기원)은 솔리드 1집(輯) 프로듀서였고 [5] 이 그룹(솔리드) 4집(輯) 수록곡(收錄曲) '끝이 아니기를'의 후렴구(後斂句)를 장호일 의 동생이자 015B 멤버 중(中) 한 명(名)이었던 정석원 이 이 그룹(015B) 7집에서 샘플링하여 '그녀(그女)에게 전화(電話)오게 한 방법(方法)'으로 발표(發表)했다.

1996년(年) 의 6집(輯)은 015B의 마지막 앨범이 될 것이라고 하며, 발매(發賣)하였다. 이 앨범의 음악적(音樂的)인 완성도(完成度)는 높다는 것이 중론(衆論)이나, 6집(輯)의 실험적(實驗的)인 음악(音樂)은 대중(大衆)들에게 성공적(成功的)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015B의 6집(輯)은 30만장(萬張) 미만(未滿)의 판매량(販賣量)을 기록(記錄)했는데, 이 판매량(販賣量)은 당시(當時) 015B 가 한국(韓國) 가요계(歌謠界)에서 차지한 위상(位相)에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저조(低調)한 판매량(販賣量)이다. 이는 단지(但只) 대중성(大衆性)뿐만이 아니라, 6집(輯) 음반(音盤)은 전(前) 소속사(所屬社)였던 대영(大英)AV를 통하지 않고 발매(發賣)하여서 그랬던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비록, 대영(大英)AV가 적극적(積極的)인 마케팅을 하지 않고도 N.EX.T, 015B, 전람회(展覽會) 등(等)의 활약(活躍)으로 많은 매출(賣出)을 올렸다고는 하나, 대영(大英)AV의 창업자(創業者)였던 유재학 사장(社長)의 가요계(歌謠界)에 대(對)한 영향력(影響力)이 이들의 음반(音盤) 높은 음반(音盤) 판매량(販賣量)에 아무런 긍정적(肯定的)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고 보기는 힘들다.

2006년(年) , 10여년(餘年)만에 복귀(復歸)한 015B의 정규(正規) 음반(音盤)인 7집(輯) Lucky 7 이 발매(發賣)되었고, 2011년(年) 은 EP 앨범인 '20th Century Boy' 가 발매(發賣)되었다. '20th Century Boy' 에서는 015B 앨범 최초(最初)로 아이돌 가수(歌手)가 객원가수(客員歌手)로 기용(起用)되었는데, 포미닛과 용준형이 타이틀곡(曲)인 'Silly Boy'를 불렀다. 또한, 015B는 2012년(年) 에도 'Let me go'와 '짝', '80' 을 디지털 싱글로 발매(發賣)하였다.

2017년(年) , 셀프리메이크 프로젝트 앨범 'Anthology'를 작업(作業)하고, 오(誤)왠, 카더가든, 먼데이키즈, 심규선, 신현희와 김(金)루트 그리고 윤종신을 객원가수(客員歌手)로 기용(起用)했다.

2018년(年) , 015B의 레이블 'the015B'를 만들고, 신곡(新曲) 시리즈 'New Edition'과 리메이크 시리즈 'The Legacy'를 런칭하였다. 2018년(年) 3월(月) '상수역(上水驛) 2번(番) 출구(出口) - 015B, 장재인(張才人)'을 시작(始作)으로 매달(每달) 새로운 음원(音源)을 발표(發表)하고 있다. 또한 매년(每年) 2월(月) 은 1년간(年間) 발표(發表)한 싱글을 모아 앨범 'Yearbook'을 발매(發賣)하고 있다. 'Yearbook'의 시즌은 매년(每年) 3월(月) 부터 다음해 2월(月) 까지 12개월(個月)을 한 시즌으로 한다고 한다.

디스코그래피 [ 편집(編輯) ]

정규(正規)앨범 [ 편집(編輯) ]

콘서트 실황(實況) [ 편집(編輯) ]

비정규(非正規) 앨범 (미니 앨범 포함(包含)) [ 편집(編輯) ]

도서(圖書) [ 편집(編輯) ]

역대(歷代) 객원(客員)보컬 [ 편집(編輯) ]

  • 윤종신 : 1집(輯)( 텅 빈 거리에서 , 저 하늘 위로, 외로운 밤이면), 2집(輯)( 친구(親舊)와 연인(戀人) , H에게, 변(變)해간 세월(歲月) 속에서, 사람들은 말하지, 이젠 안녕 ), 3집(輯)( 우리 이렇게 스쳐보내면 , 현대여성(現代女性), 적(敵) 녹색인생(綠色人生)), 4집(輯)(요즘 애들 버릇없어), 6집(輯)( 21세기(世紀) 모노리스 ), 20세기(世紀) 소년(少年)(1월(月)부터 6월(月)까지)
  • 김돈규 : 4집(輯)( 신인류(新人類)의 사랑 , 세월(歲月)의 흔적(痕跡) 다 버리고 , 남자(男子)들이란 다...), 5집(輯)( 슬픈 인연(因緣) , 아직도 희망(希望)은 있어), KLOMA 앨범(쉐리, 그 남자(男子) 그 여자(女子) ), 연인(戀人)앨범( 다시는 너를 떠나지 않을거야 ), 93 내일(來日)은 늦으리(철이의 독백(獨白) - 장호일 작곡(作曲))
  • 이장우 : 2집(輯)(떠나간 후(後)에), 3집(輯)( 수필(隨筆)과 자동차(自動車) , 5월(月) 12일(日) , 적(敵) 녹색인생(綠色人生), 다음 세상(世上)을 기약(期約)하며), 4집(輯)(어디선가 나의 노랠 듣고 있을 너에게), 5집(輯)(너에게 보내는 마지막 편지(便紙), 그녀(그女)의 딸은 세살이에요 ), 6집(輯)(나 고마워요)
  • 신해철(申海澈) : 1집(輯)(슬픈 이별(離別), 난 그대만을), 2집(輯)( 이젠 안녕 )
  • 조성민 : 5집(輯)( 단발머리(斷髮머리) ), 연인(戀人)앨범(연인 Soul II Soul Mix), 장호일 KLOMA(이젠 날 그만 보내줘), 015B WITH TG vol.1(아주 오래된 연인(戀人)들-Revival), 20세기(世紀) 소년(少年)(고귀(高貴)한씨의 달콤한 인생(人生)), Back to the Anallog( )
  • 문경현 : 5집(輯)(NETIZEN)
  • 정연욱 : 3집(輯)(적(敵) 녹색인생(綠色人生)), 4집(輯) (그의 비밀(祕密))
  • G고릴라 : 015B WITH TG vol.1( 그 날이 오면 , R.W.D , Friend)
  • Mr.Song Blue : 015B WITH TG vol.1(독재자(獨裁者) - Revival)
  • 최기식 : 1집(輯)(때늦은 비는, 슬픈듯 흐르는 시간(時間) 속에), 2집(輯)( 이젠 안녕 )
  • 박영렬 : 3집(輯)(널 기다리며)
  • 황재혁 : 2집(輯)( 이젠 안녕 )
  • 김태우 : 3집(輯)( 아주 오래된 연인(戀人)들 , 적(敵) 녹색인생(綠色人生), 수필(隨筆)과 자동차(自動車) ), 4집(輯)( 모든 건 어제 그대로인데 , 교통(交通)코리아), 92 내일(來日)은 늦으리(철이를 위(爲)한 영가(靈駕) - 정석원 작곡(作曲))
  • 버벌(罰) 진트 : 7집(輯)( 그녀(그女)에게 전화(電話)오게 하는 방법(方法) )
  • 박용찬 : 6집(輯)(콩깍지, 인간(人間)은 인간(人間)이다)
  • 박정현(朴政賢) : 7집(輯)(너 말이야) VOCAL
  • 문용섭 : 장호일 with T.G Vol.1(콩깍지-Revival)
  • 이승환 : 6집(輯)(나의 옛 친구(親舊), 독재자(獨裁者))
  • 김형중 : 6집(輯)( 구멍가게 소녀(少女) ), Cluster Vol.1( 받은만큼만 해주기 )
  • 다이나믹 듀오 : 7집(輯)(너 말이야) RAP
  • 요조 : 7집(輯)( 처음만 힘들지 )
  • 신보경 : 7집(輯)(잠시(暫時) 길을 잃다), 20세기(世紀) 소년(少年)(Be Kind Rewind)
  • 케이준 : 7집(輯)(나 아파, No Way)
  • 조유진 : 7집(輯)(우린 같은 꿈을 꾼거야(巨野))
  • 유희열(柳喜烈) : 6집(輯) (The Sixth Sense Main Theme Eclipse - 일식(日食) 작곡(作曲)), 7집(輯)(모르는 게 많았어요)
  • 호란(蝴瓓) : 7집(輯)(성냥팔이 소녀(少女))
  • 치열(熾烈) : Cluster Vol.1(잠시(暫時) 길을 잃다 - Revival, r we happy?)
  • 오현란 : Cluster Vol.1(r we happy?)
  • 포미닛 , 용준형 : 20th Century Boy ( Silly Boy )
  • 류(類)다희 : Let Me Go (015B)
  • 비 스윗 : 80
  • 현정호 : 2집(輯)(너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 ! '굵은 표시(標示)' 되어 있는 곡(曲)은 앨범의 타이틀 곡(曲)이다.

수상(受賞) [ 편집(編輯) ]

가요(歌謠) 프로그램 1위(位) [ 편집(編輯) ]

연도(鳶島) 수상(受賞) 내역(內譯) (총(銃) 16회(回))
1992년(年) (총(銃) 2회(回))
1993년(年) (총(銃) 8회(回))
1994년(年) (총(銃) 4회(回))
1995년(年) (총(銃) 2회(回))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관련(關聯) 상세(詳細) 정보(情報)” . 2014년(年) 4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11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2. 이색(異色) 이름 동물원(動物園), 015B "공부(工夫)하는 노래패(牌)" 1991-02-01 동아일보(東亞日報) 2011-09-08 확인(確認)
  3. 015B와 객원가수(客員歌手) M.net-방송소개(放送紹介) 1995-05-12 매일경제(每日經濟) 2011-09-08 확인(確認)
  4. 김유림 (2018년(年) 12월(月) 18일(日)). ' 동상이몽(同牀異夢)2' 한고은, 솔리드 이준과 그런 사이였어?” . 머니S . 2019년(年) 11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안인용 (2011년(年) 8월(月) 5일(日)). “줄을 잘 타면 성공(成功)한다” . 한겨레21 . 2019년(年) 11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