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히브리력(力)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히브리력(力)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히브리력(力) (Hebrew calendar; 문화어(文化語) : 유태력(猶太曆))은 유대인(유대人) 이 사용(使用)하는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 역법(曆法) 으로 유대력 (Jewish calendar)이라고도 한다. 히브리인(人) 들은 처음에는 이슬람력 과 같은 태음력(太陰曆) 을 썼으며, 이집트 유랑시절(流浪時節) 태양력(太陽曆) 을 접(接)한 후(後) 바빌론 유수(幽囚) 시절(時節)부터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 을 사용(使用)하였다.

사용(使用) [ 편집(編輯) ]

유대력은 종교적(宗敎的) 이유(理由)로 만들어진 태양력(太陽曆)과 음력(陰曆)을 합친 것을 사용(使用)한다. 즉(卽) 1년(年)이라고 하는 사시사철(四時四철)이 있는 큰 주기(週期)는 태양력(太陽曆)을 따르지만 일, 월(月)은 음력(陰曆)을 따른다. 그러다 보니 해마다 음력(陰曆) 12달로는 모자라서 윤달(閏달)(Adar I)을 19년(年) 동안 7번(番) 집어넣는 방식(方式)을 사용(使用)한다. 달의 주기(週期)를 따라 한 달이 29일(日) 또는 30일(日)이 되기 때문에 1년(年)이 353일(日) 354 혹은(或은) 355일(日)이 된다. 윤달(閏달)이 있는 해는 30일(日)이 더 늘어난다. 윤달(閏달)을 (Adar I)으로 표시(標示)하고 본래(本來) 아달월을 (Adar II)로 표시(標示)하는데 부르기는 그 달(Adar II)을 아달 월(月)이라 부른다.

히브리력(力)의 윤년(閏年) [ 편집(編輯) ]

히브리력(力) 에서는 19년(年) 주기(週期)로 일곱 번(番)의 아달 알레프( 히브리어 : ????? , ‘첫째 아달월’)를 아달 베트 ( 히브리어 : ????? , ‘둘째 아달월’) 앞에 끼워 넣는데, 정확히(正確히)는 3, 6, 8, 11, 14, 17, 19번째(番째) 해에 윤달(閏달)이 온다. 이 방법(方法)은 약(約) 220년(年)마다 1일(日)의 오차(誤差)가 발생(發生)한다.

설날과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유대인(유대人)들의 새해 [ 편집(編輯) ]

유대력을 따른 1월(月) 1일(日)은 4가지로 간주(看做)하지만 유대인(유대人) 의 설날을 Rosh Hashana라고 부르고 이 날을 Happy New Year 하면서 명절(名節)로 모인다. 이 날은 창조(創造)의 기념일(記念日)을 기리고 있다. 이날이 있는 달의 이름은 Tishri라 하는데 태양력(太陽曆)으로는 9월(月) 말(末) 내지 10월(月) 초경(初經)에 (추분(秋分)을 지난) 달이 처음 뜨는 날이 된다. 그런데 달이 오후(午後)에 뜰 경우(境遇)는 다음 날로 지키고 또 그 날이 일요일(日曜日), 수요일(水曜日), 금요일(金曜日)이 되면 역시(亦是) 하루를 늦추는데, 이는 대(對) 속죄일(贖罪日) Yom Kippur (Tishri 10일(日))이(李) 금요일(金曜日) 이나 일요일(日曜日) 이 되는 것을 피(避)하기 위함이다. 그 날 유대인(유대人)들은 금식(禁食)한다. 초막절(草幕節) Sukkot 역시(亦是) 이달 15일(日)부터 22일(日)로 지킨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이와 같은 유대력의 시작(始作)은 기원(紀元) 후(後) 359년(年) 산헤드린 (유대인(유대人)들의 자치의회(自治議會)이다. 로마제국(帝國)은 제국(帝國)에 반대(反對)하는 세력(勢力)이나 민중운동(民衆運動) 에 대(對)해서는 레기온 을 동원(動員)한 진압(鎭壓), 십자가형(十字架刑) 등(等)의 폭력(暴力) 으로 분쇄(粉碎)했지만, 종교(宗敎) 전통(傳統) 에 간섭(干涉)하지 않고 자치(自治) 를 허용(許容)했다. 한글 성서(聖書) 에는 의회(議會), 공회(公會)로 번역(飜譯)되어 있는데, 공회(公會)라는 번역(飜譯)은 신학지식(神學知識)이 없는 평신도(平信徒)들이 사도신경(使徒信經) 의 '거룩한 공회(公會)'와 혼동(混同)할 수 있다.(성서에 나오는 산헤드린은 의회(議會)로, 사도신경(使徒信經)의 거룩한 공회(公會)는 거룩한 보편적(普遍的) 교회(敎會)로 번역(飜譯)하자는 의견(意見)도 있다.) 회장(會長) Hillel 2세(世)로부터 시작(始作)되었다고 기록(記錄)한다. 그런데 구약성서(舊約聖書) 에 나오는 달력(달曆)은 에스라 시대(時代) 바빌론 의 달력(달曆)을 따르고 있는데 첫 달을 유월절(逾越節)이 있는 Nisan 월(月)로 간주(看做)한다. 태양력(太陽曆)으로는 3~4월(月)이 된다. 지금(只今)처럼 정확(正確)한 달을 계산(計算)하지 못했던 옛날의 제사장(祭祀場)들은 봄이 되어 순례자(巡禮者)들이 걸어 다니기 쉽고, 제사(祭祀) 에 사용(使用)하는 양(量) 들을 잡기 쉬운 봄의 첫 달을 택(擇)했다. 그런데 날씨가 안 풀리면 다음 달을 잡았다. 유월절(逾越節) (15~22 Nisan)이 있는 그 달의 보름달이 지난 다음 주일(週日)은 기독교(基督敎)의 부활절(復活節) 이 되기에 기독교(基督敎)도 유대력을 따른 음력(陰曆)을 지킨다. 이슬람교도(이슬람敎徒)들의 라마단도(度) 유대인(유대人)들의 정초(正初)와 비슷할 때가 많은데 그들 또한 음력(陰曆)을 지킨다. 한국(韓國)과 중국(中國)도 지키는 음력(陰曆)의 중요성(重要性)은 세계적(世界的)이라 할 수 있다.

유대력 1년(年)(AM 1년(年)) [ 편집(編輯) ]

1178년(年) 마이모니데스 에 의(依)해 성문화(成文化)된 이래(以來)로 유대력은 Anno Mundi('in the year of the world'라는 뜻의 라틴어(語), 약자(略字)로 AM 또는 A.M.) 기점(起點)을 사용(使用)해왔다. 2세기(世紀) 랍비 요시 벤 할라프타(打)(Jose ben halafta)의 계산(計算)에 의(依)하면, 구약(舊約) 마소라 본문(本文)(the Masoretic Text)에 근거(根據)할 때, 아담은 기원전(紀元前) 3760년(年)에 창조(創造)되었다고 한다. 아담 창조(創造)일은, AM 1년(年)(유대력 1년(年))의 시작일(始作日)인 티쉬리월(月) 1일(日)(율리우스력 기원전(紀元前) 3761년(年) 10월(月) 7일(日) 월요일(月曜日))이(李) 아니라, 약(約) 1년(年) 후(後)인 AM 1년(年) 엘룰월 25일(日)(기원전(紀元前) 3760년(年)에 해당(該當))이라고 한다. 현대(現代) 역법(曆法)(=양력(陽曆))은 율리우스력 1582년(年) 10월(月) 4일(日)의 다음날을 10월(月) 15일(日)로 보정(補正)한 그레고리력을 사용(使用)하고 있다. 따라서 1582년(年) 10월(月) 15일(日) 이후(以後)의 날짜는 그레고리력에 의(依)한 것이다. 2017년(年) 4월(月) 기준(基準)으로, AM 5777년(年), 즉(卽) 유대력 5777년(年)(2016년(年) 10월(月) 2일(日) 일몰(日沒) 후(後) ~ 2017년(年) 9월(月) 20일(日) 일몰(日沒) 전(前))에 해당(該當)한다. 유대인(유대人)들은 1시간(時間)을 1080 등분(等分) 하여 시간(時間)을 계산(計算)한다. 그리고 매번(每番) 새 달이 시작(始作)되는 시간(時間)을 오전(午前) 1시(時)라고 부르는데 태양(太陽)이 지고 난 후(後) 5시간(時間) 204등분(等分) 후(後)가 된다. 하루의 시작(始作)을 해 질 때부터 하기 때문이다.

하누카 [ 편집(編輯) ]

유대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명절(名節) 하누카 (Chanukah)는 (25 Kislev - 3 Tevet) 크리스마스 와 겹치기 쉬운데 그 때는 부모(父母)들, 조부모(祖父母)들로부터 매일(每日) 선물(膳物)을 하나씩 받는다.

히브리력(力)의 월(月) 이름과 바빌로니아력 [ 편집(編輯) ]

아래의 도표(圖表)에서 1월(月)을 Nisan 월(月)(태양력(太陽曆)으로는 3~4월(月))로 표시(表示)한 것은 성경(聖經)의 달력(달曆)을 따른 것이지만, 현재(現在)의 유대력(민간력(民間力))으로는 7월(月)이 된다. 유대력의 1월(月)은 설날이 있는 Tishri 월(月)(태양력(太陽曆)으로는 9~10월(月))을 1월(月)로 올려서 기록(記錄)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유대력이란 현재(現在) 유대인(유대人)들이 사용(使用)하는 달력(달曆)이며 유대력은 성경(聖經)의 절기(節氣)를 그대로 반영(反映)하기 때문이다. 새해를 맞은 후(後) 열흘이 지나면 대(臺) 속죄일(贖罪日) (Tishri 10; Yom Kippur)이다. 유대인(유대人)들은 종일(終日) 금식(禁食)하며 속죄(贖罪)하는데 이스라엘에서는 이날 차(車)들이 다니는 것을 보지 못한다. 닷새 후(後) 보름달이 뜨면 초막절(草幕節)(Tishri 15~22; Sukkot)이(李) 시작(始作)된다. 초막절(草幕節)은 축제(祝祭)의 날들이다. 첫 두 날은 휴일(休日)로 명절(名節) 음식(飮食)을 먹으며 저녁에는 촛불을 켠다. 그리고 나흘간(間)은 초막(草幕)에 거(居)하며 광야(曠野)에서 하나님의 보호(保護)를 받으며 지냈던 것을 기억(記憶)하며 찬양(讚揚)한다. 그리고 마지막 이틀 역시(亦是) 휴일(休日)로 보내며 마지막 날 춤과 노래로 하나님께 감사(感謝)드린다. 출애굽기(出埃及記)와 레위기에 절기(節氣)로 지키라는 초막절(草幕節)은 광야(曠野)에서의 삶과 그 후(後) 농경(農耕) 생활(生活)을 하던 이스라엘 사람들의 수확(收穫)을 감사(感謝)하는 축제(祝祭)의 날들이며 미국(美國) 초기(初期) 필그림 들이 첫 수확(收穫)을 하고 하나님께 추수(秋收) 감사절(感謝節)로 드리는 계기(契機)가 되었다.

히브리력(力)의 월(月) 이름과 바빌로니아력 비교(比較)
월(月)(성서) 월(月)(민간력(民間力)) 월(月)(태양력(太陽曆)) 히브리 이름 한국어(韓國語) 표기(表記) 날짜 수(數) 바빌론 이름 참고(參考)
1 7 3~4 Nisan / Nissan 닛산월(月) (에스더3:7) / 아(亞)빕월(月) (출13:4,23:15,34:18,신(神)16:1) 30일(日) Nisanu 유월절(逾越節) , 무교절(無酵節) , 초실절(超失節)
2 8 4~5 Iyyar / Iyar 시브월(月) (왕상6:1,37) 29일(日) Ayaru Pesach Sheni, Lag B'Omer
3 9 5~6 Sivan / Siwan 시완월(時玩月) 30일(日) Simanu 오순절(五旬節)
4 10 6~7 Tammuz / Tamuz 담(淡)무스월(月) 29일(日) Dumuzu Seventeenth of Tammuz
5 11 7~8 Av / Ab 아브월(月) 30일(日) Abu Tisha B'Av, Tu B'Av
6 12 8~9 Elul 엘룰월 29일(日) Ululu
7 1 9~10 Tishri / Tishrei 디스리월(리月) / 에다님월(月) (왕상8:2) 30일(日) Tashritu 민간력(民間力) 1월(月), 욤 키푸르 , 초막절(草幕節) , Shemini Atzeret, Simchat Torah
8 2 10~11 Marheshvan / (Mar)cheshvan, Marcheshwan 말케스월(月) / 불월(佛月) (왕상6:38) 29 또는 30일(日) Arakhsamna
9 3 11~12 Kislev / Kislev, Chisleu, Chislev 키슬(瑟)레브월(月) 30 또는 29일(日) Kislimu 하누카
10 4 12~1 Tevet / Tebeth 데벳월(月) 29일(日) Tebetu Tenth of Tevet
11 5 1~2 Shvat / Shevat, S(h)ebat 스밧월(月) 30일(日) Shabatu Tu Bishvat
12 6 2~3 Adar I 아달월 1 30일(日) Adaru 이달(李達)은 윤년(閏年)에만 있습니다.
13 6 2~3 Adar / Adar II 아달월 (2) 29일(日) Adaru 해마다 있으며 윤년(閏年)에만 Adar II 로 취급(取扱), 부림절(節)

같이 보기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