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효창공원(曉蒼公園)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효창공원(孝昌公園)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서울 효창공원(孝昌公園)
(서울 孝昌公園)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사적(私的)
종목(種目) 사적(私的) 제(第)330호(號)
( 1989년(年) 6월(月) 8일(日) 지정(指定))
시대(時代) 조선(朝鮮)
주소(住所)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용산구(龍山區) 청파동(靑坡洞)2가(街) 2번지(番地) 및
마포구(麻浦區) 신공덕동 , 공덕동(孔德洞)
정보(情報) 국가유산청(國家遺産靑) 국가유산(國家遺産)포털 정보(情報)

효창공원(孝昌公園) (孝昌公園)은 원래(元來) 정조(正祖) 의 첫째 아들 문효세자(世子) 와 몇달 후(後) 죽은 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姓氏) 의 무덤으로 효창원(孝昌園) (孝昌園)이었으나, 두 무덤은 서삼릉(西三陵) 으로 강제(强制) 이장(里長) 당(當)하고, 이름도 효창공원(孝昌公園)이 되었다.

현재(現在)는 김구(金九) 의 묘소(墓所)를 비롯하여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臨時政府) 주석(主席) 이었던 이동녕 , 군사부장(軍事部長) 조성환(曺盛煥) , 비서부장(祕書部長) 차이석 의 묘소(墓所)와, 윤봉길(尹奉吉) · 이봉창 · 백정기 의 묘소(墓所) 등(等) 임시정부(臨時政府) 요인(要因)들의 묘지(墓地) 가 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원래(元來)는 지금(只今)의 공원형태(公園形態)가 아닌 송림(松林)(松林)이(李) 우거지고 인적(人跡)도 드물었던 곳이었다. 조선(朝鮮) 시대(時代)에는 조선왕실(朝鮮王室)의 묘역(墓域)으로, 정조(正祖) 의 맏아들로 태어나 왕세자(王世子)로 책봉(冊封)받았으나 일찍이 요절(夭折)한 문효세자(世子) 의 무덤이 있었다. 당시(當時)에는 '효창원(孝昌園)' (孝昌園)이라 불렀다. 같은 묘역(墓域)에는 정조(正祖)의 후궁(後宮)이자 문효세자(世子)의 생모(生母)인 의빈 성씨(姓氏) 의 묘(墓), 순조(順調) 의 후궁(後宮)인 숙의(熟議) 박씨(朴氏) 의 묘(墓), 숙의(熟議) 박씨(朴氏)의 소생(所生)인 영온옹주의 묘(墓) 등(等)이 있었다. [1]

1894년(年) 청일전쟁(淸日戰爭) 당시(當時) 일본군(日本軍) 300여명(餘名)이 효창원(孝昌園) 앞 송림(松林) 내(內)의 선혜청(宣惠廳) (宣惠廳)의 창고(倉庫)였던 만리창이 있던 곳에 야영(野營)을 하며 숲이 파헤쳐지기도 했다. [1]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때에는 일제(一齊) 에 의(依)해 '구(舊)(舊)용산고지(龍山告知)' 라 불리며 일본군(日本軍) 이 숙영목적(宿營目的)과 독립군(獨立軍) 토벌(討伐) 및 소탕작전(掃蕩作戰) 등(等)을 펼쳤던 비밀작전지(祕密作戰地)로도 사용(使用)되었으며, 문효세자(世子)의 묘(墓) 등(等)을 경기도(京畿道) 고양(高揚)의 서삼릉(西三陵) 으로 이전(移轉)하면서 1940년(年)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고시(告示) 제(第)208호(號)에 의(依)해 '효창공원(孝昌公園)'이(李) 되었다. [1]

1945년(年) 해방(解放) 후(後)에는 일본군(日本軍) 숙영지(宿營地)가 철거(撤去)되어 1946년(年) 윤봉길(尹奉吉) , 이봉창 , 백정기 등(等) 삼의사(三醫司)의 유해(遺骸) 및 이동녕 , 조성환(曺盛煥) , 차이석 등(等)의 3인(人) 유해(有害)가, 1949년(年) 7월(月)에는 백범(白凡) 김구(金九) 의 유해(遺骸)가 이 공원(公園) 묘역(墓域)에 안장(安葬)되었으며, 1989년(年) 사적(私的) 330호(號)로 지정(指定)되었다. 2002년(年) 에는 주변(周邊)에 백범기념관(白凡記念館) 이 건립(建立)되기도 했다. 또한 원효대사(元曉大師) 동상(銅像), 반공기념탑(反共記念塔), 효창운동장이 있다.

1956년(年) 정부(政府)에서 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들의 묘(墓)를 이장(移葬)하고 효창운동장을 건립(建立)하겠다는 발표(發表)를 하자 6월(月) 9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국회(國會) 에서 김두한 의원(議員)은 "선열(先烈)에 대(對)해서는 물질(物質)보다 추모(追慕)의 정신(精神)으로 보답(報答)해야 만큼 우선(于先) 정부(政府)는 분묘(墳墓)에 대(對)한 모든 절차(節次)를 결정(決定)한 후(後)에 운동장(運動場) 설비공사(設備工事)에 착수(着手)했어야 할 것이라." 말하고 "효창공원(孝昌公園)의 선열(先烈) 묘지(墓地)는 성묘(省墓)이다. 이 성묘(省墓)를 함부로 파서 헐어 트리는 것은 생명(生命)을 조국광복(祖國光復)에 바친 선열(先烈)에 대(對)한 도리(道理)가 아니다."라고 피력(披瀝)하였다. 공사중지건의안(工事中止建議案)은 여야(與野) 만장일치(滿場一致)로 통과(通過)되었다. [2] [3] 그러나 효창운동장의 공사(工事)는 강행(强行)되었고, 1960년(年) 에는 운동장(運動場)이 준공(竣工)되기에 이르렀다. [1]

1961년(年) 5.16 군사정변(軍事政變) 으로 정권(政權)을 잡은 박정희(朴正熙) 전(前) 대통령(大統領) 역시(亦是) 골프장(골프場)을 만들려는 공사(工事)를 시도(試圖)하다 저지당하고, 1969년(年)에는 효창공원(孝昌公園)에 반공투사(反共鬪士) 위령탑(慰靈塔), 1972년(年)에는 김구(金九) 의 묘(墓) 옆에 노인회서울시연합회(老人會서울市聯合會)와 대한노인회중앙회(大韓老人會中央會) 시설(施設)을 세웠다. [4] [1]

주변(周邊) 및 근린시설(近隣施設) [ 편집(編輯) ]

백범(白凡) 김구(金九)의 묘(廟) [ 편집(編輯) ]

1949년(年) 6월(月) 백범(白凡) 김구(金九) 가 암살(暗殺)되면서 국민장(國民葬) 을 통해 김구(金九) 의 유해(有害)가 안장(安葬)된 묘소(墓所)로서 백범기념관(白凡記念館) 위쪽에 위치(位置)해 있다.

삼의사묘(三義士墓) [ 편집(編輯) ]

이봉창 , 윤봉길(尹奉吉) , 백정기 의 유해(遺骸)의 봉환(奉還)(1946년(年) 5월(月) 25일(日))

1946년(年) 윤봉길(尹奉吉) , 이봉창 , 백정기 의사(醫師)(義士) 3인(人)의 유해(遺骸)를 안장(安葬)한 묘소(墓所)로서 3개(個)의 묘소(墓所)와 비석(碑石)이 있다. 이 3의사(醫師) 묘(墓) 옆에 유일(唯一)하게 유골(遺骨)이 없는 가묘(家廟)(假墓)가 있는데 이는 안중근(安重根) 의사(意思)를 위해 남겨놓은 가묘(家廟)로서 안중근(安重根) 의사(義士)의 유해(遺骸)를 찾게 되어 국내(國內)로 봉환(奉還)될 경우(境遇) 이 가묘(家廟)에 공식(公式) 안장(安葬)할 예정(豫定)이다. 이 가묘(假墓)에는 비석(碑石)이 설치(設置)되었다.

임정(臨政) 요인(要人)의 묘(墓)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臨時政府) 요인(要因)인 이동녕 , 조성환(曺盛煥) , 차이석 의 유해(有害)가 안장(安葬)되어 있는 묘소(墓所)이며 삼의사묘(三醫司墓)와 마찬가지로 3개(個)의 묘소(墓所)와 비석(碑石)이 세워져 있다.

사진(寫眞)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전국역사지도사(全國歷史指導士)모임 (2016년(年) 12월(月)). 《표석(標石)을 따라 경성(鏡城)을 거닐다》. 유씨(劉氏)북스. 99-100쪽.  
  2. 효창공원(曉蒼公園) 공사중지(工事中止)를 건(件)의 국회선열묘존엄성강조(國會先烈墓尊嚴性强調) 1956년(年) 6월(月) 10일(日) 동아일보(東亞日報)
  3. 효창공원문제논의(孝昌公園問題論議) 1956년(年) 6월(月) 10일(日) 경향신문(京鄕新聞)
  4. 신기원(新紀元) 기자(記者) (2007년(年) 4월(月) 13일(日)). “효창(曉蒼) 공원(公園) 독립투사(獨立鬪士)들의 수난(受難)” . MBC 뉴스데스크 .  

참고(參考) 자료(資料) [ 편집(編輯) ]

본 문서(文書)에는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에서 지식공유(知識共有) 프로젝트 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 으로 공개(公開)한 저작물(著作物) 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내용(內容)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