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경왕후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 혜경궁 에서 넘어옴)

헌경왕후
獻敬王后
조선(朝鮮)의 추존(推尊) 왕비(王妃)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추존(推尊) 황후(皇后)
조선(朝鮮)의 세자빈(世子嬪)
재위(在位) 1744년(年) 1월(月) 9일(日) ~ 1762년(年) 윤(尹)5월(月) 13일(日) (음력(陰曆))
전임(前任) 세자빈(世子嬪) 조씨(氏) (효순왕후)
후임(後任) 세자빈(世子嬪) 조씨(氏) (신정왕후(王后))
이름
별호(別號) 혜경궁(惠慶宮) · 자궁(子宮)(慈宮)
시호 헌경의황후(醫皇后)(獻敬懿皇后)
존호(尊號) 효강자희정선휘목유정
(孝康慈禧貞宣徽穆裕靖)
휘호(揮毫) 인철계성(仁哲啓聖)
전호(電弧) 경모전(景慕殿)(景慕殿)
작호(爵號) 혜빈(惠嬪)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일(出生日) 1735년(年) 8월(月) 6일(日) ( 1735-08-06 ) (양력(陽曆))
출생지(出生地) 조선(朝鮮) 한성부(漢城府) 반송방(搬送房)(盤松坊) 외가(外家)
사망일(死亡日) 1816년(年) 1월(月) 1일(日) ( 1816-01-01 ) (80세(歲)) (양력(陽曆))
사망지(死亡地) 조선(朝鮮) 한성부(漢城府) 창경궁(昌慶宮) 경춘전
가문(家門) 풍산 홍씨(洪氏)
부친(父親) 영풍부원군(府院君) 홍봉한
모친(母親) 한산부부(閑散夫婦)인 한산(寒山) 이씨(李氏)
배우자(配偶者) 장조(莊祖) (사도세자(思悼世子))
자녀(子女) 2남(男) 2녀(女)
의소세자(義疏世子) · 정조(正祖) · 청연공주(靑煙公州) · 청선공주(靑扇公州)
능묘(陵墓) 융릉(隆陵) (隆陵)
경기도(京畿道) 화성시(華城市) 안녕동 산 1-15

헌경왕후 홍씨(洪氏) (獻敬王后 洪氏, 1735년(年) 8월(月) 6일(日) ( 음력(陰曆) 6월(月) 18일(日) ) ~ 1816년(年) 1월(月) 1일(日) ( 1815년(年) 음력(陰曆) 12월(月) 15일(日) )) 또는 혜경궁 홍씨(洪氏) (惠慶宮 洪氏)는 조선(朝鮮) 왕세자빈 이자(利子) 추존(推尊) 왕비(王妃) 이며, 대한제국(大韓帝國) 의 추존(推尊) 황후(皇后)이다. 영조(英祖) 의 차남(次男)인 사도세자(思悼世子) 의 아내이자, 정조(正祖) 의 어머니이다.

개요(槪要) [ 편집(編輯) ]

사도세자(思悼世子) 의 세자빈(世子嬪)으로 책봉(冊封)되었으나 사도세자(思悼世子)가 영조(英祖)에 의(依)해 죽은 이후(以後) 영조(英祖)에 의(依)해 혜빈 (惠嬪)이라는 빈호(貧戶)를 하사(下賜)받고 사가(史家)에 머물렀다. 아들 정조(正祖) 가 영조(英祖)의 명(命)에 의(依)해 사도세자(思悼世子)가 아닌 효장세자(驍將世子) 의 양자(養子)로 입적(入籍)되어 승통(僧統)을 계승(繼承)하였으므로 생전(生前)의 신분(身分)은 세자빈(世子嬪)이었지만, 국왕(國王)의 생모(生母)로서 정조(正祖)는 어머니 혜경궁을 자궁(子宮)(慈宮)으로 칭(稱)하며 사실상(事實上) 왕대비(王大妃)로 대우(待遇)하였다.

원래(元來) 시호(諡號)는 헌경혜빈 (獻敬惠嬪)이었으나, 1899년(年) ( 광무(光武) 3년(年)) 고종(高宗) 이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장종(章宗)(莊宗)으로 추존(推尊)하면서 혜경궁을 헌경왕후로 추존(推尊)하였고, 장종을 다시 장조(莊祖)(莊祖)로 추존(追尊)하여 황제(皇帝)로 격상(格上)하면서 헌경왕후 또한 헌경의황후(醫皇后) (獻敬懿皇后)로 격상(格上)하였다. 정조(正祖)가 내린 궁호(宮號)인 혜경궁 (惠慶宮) 또는 혜경궁 홍씨(洪氏) (惠慶宮 洪氏)로도 알려져 있다.

아들 정조(正祖) 와 손자(孫子) 순조(順調) 대(臺)에 여러 차례(次例)에 걸쳐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죽음과 본인(本人)의 60년(年) 동안의 궁중(宮中)에서의 삶을 회고(回顧)한 자전적(自傳的) 회고록(回顧錄)인 《 한중록(閑中錄) 》의 저자(著者)이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탄생(誕生)과 가계(家計) [ 편집(編輯) ]

1735년(年) (영조(英祖) 11년(年)) 6월(月) 18일(日), 한성부(漢城府) 반송방(搬送房)에서 홍봉한 과 한산부부(閑散夫婦)인 이씨(李氏)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선조(宣祖) 의 외(外)6대손(代孫)으로, 아버지 홍봉한 은 선조(宣祖)와 인목왕후 의 딸인 정명공주 의 아들 홍만용 의 증손자(曾孫子)이다.

     ┌─→ 원종(元宗) 인조(人組) 효종(孝宗) 현종(顯宗) 숙종(肅宗) 영조(英祖)     사도세자(思悼世子)    
    선조(宣祖)    
     └─→     정명공주         홍만용        홍중기       홍현보        홍봉한         혜경궁 홍씨(洪氏)   

혜경궁이 태어날 때 할아버지 홍현보 는 태몽(胎夢)을 꾸고, 혜경궁이 태어나자 아들 내외(內外)에게 특별한 아이라고 말하였다.

1743년(年) (영조(英祖) 19년(年))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세자빈(世子嬪)으로 간택(揀擇)되었다. 할아버지 홍현보는 예조판서(禮曹判書)까지 역임(歷任)했지만 《 한중록(閑中錄) 》에 의(依)하면 그의 가계(家計)는 빈한(貧寒)하여 언니를 시집보낼 때와 그가 출가(出家)할 때 혼수품(婚需品)이 넉넉하지 않았다 한다. 그가 사도세자(思悼世子)와 가례(家禮)를 올릴 때, 얼굴도 모르고 처음 보는 친척(親戚)들이 나타나서 자신(自身)의 이름을 알아달라고 부탁(付託)했다고 한다.

바로 영조(英祖)의 특명(特命)으로 아버지 홍봉한 은 그에게 《소학(小學)(小學)》, 《내훈(內訓)(內訓)》, 《어제훈서(御製訓書)》를 가르쳤다 한다. 영조(英祖) 20년(年)인 1744년(年) (영조(英祖) 20년(年)) 10세(歲)의 나이로 세자빈(世子嬪)에 책봉(冊封)되어, 사도세자(思悼世子)와 가례(家禮)를 올리고 낳은 아들로는 의소세손(義疏世孫) 정조(正祖) 가 있다. 영조는 첫 손자(孫子)인 의소세손(義疏世孫) 이정이 태어나자 기대(期待)가 남달랐으나 의소세손(義疏世孫)은 곧 요절(夭折)했다. 그러나 2년(年) 만에 둘째 아들 세손(世孫) 이산이 태어났다.

나경언 사건(事件) [ 편집(編輯) ]

1762년(年) (영조(英祖) 38년(年)) 5월(月) 22일(日) 나경언 이란 자가(自家) 사도세자(思悼世子)의 10가지 비행(飛行)을 고(高)변하자, 영조는 친히(親히) 국문(國文)을 하였다. 나경언은 액정별감(液晶別監) 나상언의 형(刑)으로 사람됨이 불량(不良)하고 남을 잘 속였다. 가산(家産)이 탕진(蕩盡)되어 자립(自立)하지 못하게 되자 이에 세자(世子)를 제거(除去)할 계책(計策)을 내어 형조(刑曹)에 글을 올렸다. [1]

1762년(年) (영조(英祖) 38년(年)) 7월(月) 4일(日) (윤(尹) 5월(月) 13일(日) ) 부왕(父王) 영조는 사도세자(思悼世子)를 폐(廢)하여 서인(西人)으로 삼고, 뒤주 에 가두는 참혹(慘酷)한 형벌(刑罰)을 내렸다. [2]

1762년(年) (영조(英祖) 38년(年)) 7월(月) 12일(日) (윤(尹) 5월(月) 21일(日) ) 이러한 이유(理由) 때문에, 세자(世子)는 뒤주에서 나오지 못하고 폭염(暴炎) 속에서 사경(死境)을 헤매었고 결국(結局) 뒤주에 갇힌 지 8일(日) 만에 아사(餓死)(餓死)하였다. 영조가 세자(世子)에게 '사도(使徒)(思悼)'라는 시호(諡號)를 내리면서, 홍씨(洪氏)에게는 '혜빈(惠嬪)'의 호(號)를 내렸다. [3]

임오화변(壬午花邊)의 원인(原因)으로 영조가 노론(老論)을 견제(牽制)키 위해 키운 외척계(外戚界) 탕평당인(蕩平黨人) 홍봉한(洪鳳漢) 계열(系列)과 영조(英祖)의 탕평(蕩平)에 반발(反撥)하던 노론계(老論界)의 대립(對立)으로 기행(紀行)을 일삼던 사도세자(思悼世子) 문제(問題)가 정치적(政治的)으로 떠올랐는데 반(半) 탕평파(蕩平派)에서 홍봉한(洪鳳漢)을 공격(攻擊)하기 위해 그의 약점(弱點)이던 사도세자(思悼世子) 문제(問題)를 정치(政治) 문제화(問題化) 시켰다는 주장(主張)도 있다. 홍봉한(洪鳳漢)은 이를 덮기 위해 뇌물(賂物)까지 제공(提供)하며 은폐(隱蔽)하려 했지만 나경언의 고변(告變)까지 들어가고 더이상(以上) 어쩔 수 없는 상태(狀態)까지 오자 영조(英祖)가 종사를 위해 아들을 포기(抛棄)했고 손자(孫子)를 지키기 위(爲)해 홍봉한(洪鳳漢)에게 자신(自身)의 명(命)을 따르도록 종용(慫慂)했다고 한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당시(當時) 상당(相當)한 상소(上疏)에서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비행(飛行)을 은폐(隱蔽)하는 홍봉한에 대(對)한 공격(攻擊)이 나온다.

사도세자(思悼世子) 사망(死亡) 이후(以後) [ 편집(編輯) ]

1769년(年) 세손(世孫) 산은(産銀) 흥은부위(興銀部位) 정재화 등(等)과 함께 기방(妓房)에 출입(出入)했다가 화완옹주 , 홍국영 등(等)이 각각(各各) 목격(目擊)했다. 이는 화완옹주 , 홍국영 등(等)이 각각(各各) 혜경궁 홍씨(洪氏)에게 알렸고, 혜경궁은 친정아버지(親庭아버지) 홍봉한 을 찾아가 어린 세손이 사도세자(思悼世子)와 같이 될까봐 염려(念慮)된다며 사건(事件) 수습(收拾)을 요청(要請)했다. 홍봉한(洪鳳漢)은 개입(介入)하기를 거절(拒絶)했고, 혜경궁은 단식농성(斷食籠城)을 했다. 홍봉한(洪鳳漢)이 나서서 기생(妓生)들을 유배(流配)보내고 세손(世孫)에게 후보고(後報告)를 한 후(後) 사건(事件)을 수습(收拾)했다. 이는 왕조실록(王朝實錄)에는 기록(記錄)되지 않았으나, 혜경궁 홍씨(洪氏)의 한중록(閑中錄) 에 언급(言及)되었다.

1775년(年) (영조(英祖) 51년(年)) 영조(英祖)가 세손(世孫)에게 대리청정(代理淸淨)을 명(命)하자 홍인한은 극력(極力) 반대(反對)하였고, 이 문제(問題)로 정조(正祖)의 미움을 사서 정조(正祖) 즉위(卽位) 후(後) 사사(賜死)된다. 홍봉한(洪鳳漢)은 1770년(年) (영조(英祖) 46년(年))경(經) 반대파(反對派) 김귀주(金龜柱), 정후겸의 공격(攻擊)으로 정계(政界)에서 영원히(永遠히) 은퇴(隱退)하고 봉조하(奉朝賀)의 직함(職銜)으로 교외(郊外)에 거주(居住)했으며 이후(以後)에도 이복동생(異腹同生)이던 홍인한(洪麟漢)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 형(兄)을 배신(背信)했다고 정조(正祖)가 말한적이 있다. 사도세자(思悼世子) 생전(生前)부터 있었던 정순왕후 외척가문(外戚家門)과의 정쟁(政爭)으로 관직(官職)에서 물러났고 이후(以後)에도 김귀주(金龜柱) 정파(政派)의 홍봉한 탄핵(彈劾)이 여러번(番) 있었으며 정조(正祖) 즉위초(卽位初)에도, 정조(正祖) 사후(死後)에도 이들이 홍봉한에 대(對)한 공격(攻擊)을 주도(主導)했다.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추숭(追崇)에 대(對)해 당시(當時) 세손(世孫)이던 정조(正朝)와 사석(私席)에서 홍봉한(洪鳳漢)이 나눈 이야기를 김귀주(金龜柱)가 영조(英祖)에게 고자질해서 홍봉한(洪鳳漢)을 역적(逆賊)으로 몰기도 했었다.

정조(正祖)의 등극(登極) [ 편집(編輯) ]

1776년(年) (정조(正祖) 즉위년(卽位年)) 영조(英祖)가 83세(歲)에 서거(逝去)하고, 대리청정(代理淸淨)하던 세손(世孫) 이산이 25세(歲)의 젊은 나이에 등극(登極)하니, 곧 조선(朝鮮)의 제(第)22대(代) 왕(王) 정조(正祖)이다. 정조(正祖)는 아버지 사도세자(思悼世子)에게 '장헌(掌憲)(莊獻)'이라는 시호(諡號)를 올리고, 어머니 혜빈 홍씨(洪氏) 역시(亦是) '혜경궁(惠慶宮)'으로 궁호(窮戶)가 높아졌다. 당시(當時) 왕실(王室)에서 혜경궁 홍씨(洪氏)가 제일(第一) 연장자(年長者)였으나, 서열상(序列上) 10살 아래인 정순왕후 가 대비(大妃)의 위치(位置)를 차지하여 왕실(王室) 서열상(序列上) 제(第)2위(位)의 위치(位置)에 있었다.

1778년(年) (정조(正祖) 2년(年))에 효강(孝康), 1783년(年) (정조(正祖) 7년(年)) 자희(者喜)(慈禧), 1784년(年) (정조(正祖) 8년(年)) 정선(旌善)(貞宣), 1795년(年)(정조(正祖) 19)에는 그의 회갑(回甲)을 기념(記念)하여 휘목(徽穆)이란 존호(尊號)를 받았다.

1795년(年) (정조(正祖) 19년(年)) 그녀(그女)가 회갑(回甲)을 맞는 해에, 혜경궁 홍씨(洪氏)는 회고록(回顧錄)인 《《 한중록(閑中錄) 》》을 저술(著述)하였다. 《 한중록(閑中錄) 》은 한번(番)에 쓰인 게 아니라 십수년(十數年)에 걸쳐 여러 번(番) 쓰였으며 목적(目的)도, 내려준 사람도 각기(各其) 다른데 후대(後代)에 누군가가 모아서 책(冊)으로 엮은 것이다. 집안의 명예회복(名譽回復)이란 아들 정조(正祖)가 죽은 후(後) 벽파계(僻派系)의 공격(攻擊)에 의(依)해 친동생(親同生)이 사사(私私)당하고 아버지가 역적(逆賊)으로 다시 몰리자 그에 대(對)해 변호(辯護)한 것으로 가문(家門)의 원수(怨讐)였던 김귀주(金龜柱) 계열(系列), 벽파(碧波) 계열(系列)에 대(對)한 원한(怨恨)이 드러나 있으며 친동생(親同生)의 죄목(罪目)이나 아버지에 대(對)한 공격등(攻擊等)에 대(對)해 정조(正祖) 생전(生前)의 말이나 역사적(歷史的) 사실(事實)을 비교적(比較的) 상세(詳細)하게 거론(擧論)하며 조목조목(條目條目) 변론(辯論)하고 있다.

생애(生涯) 후반(後半) [ 편집(編輯) ]

1800년(年) 정조(正祖)가 죽고, 정조(正祖)의 아들이자 혜경궁 홍씨(洪氏)의 손자(孫子)인 순조(順調) 가 왕위(王位)에 올랐다. 그는 정조(正祖) 치세기간(治世期間)부터 집필(執筆)하던 회고록(回顧錄) 《 한중록(閑中錄) 》(閑中錄)의 제목(題目)을 순조(純祖) 즉위(卽位) 후(後) 《 한중록(閑中錄) 》(恨中錄)으로 고쳤다. 이를 두고 1910년(年) 부터 한국(韓國) 의 일부(一部) 사학자(史學者)들은 그가 《 한중록(閑中錄) 》을 쓴 이유(理由)가 자신(自身)을 변호(辯護)하고, 자신(自身)의 친정(親庭)을 변호(辯護)하기 위(爲)한 것이 목적(目的)이 아니냐고 의혹(疑惑)을 제기(提起)하였다.

생전(生前) 그는 효강 자희(者喜) 정선(旌善) 휘목 혜빈(孝康慈禧貞宣徽穆惠嬪)의 존호(尊號)를 받았다. 1805년(年) (순조(純祖) 5년(年))부터는 담현증(淡眩症)(痰?症)을 앓아 오래 병석(病席)에 누웠다. 1815년(年) (순조(純祖) 15년(年)) 창경궁(昌慶宮) 경춘전에서 81세(歲)를 일기(一期)로 생(生)을 마감하며 헌경빈(獻敬嬪)의 시호(諡號)를 받았다. 이는 총명하고 예지(叡智)(睿知)함을 헌(獻)이라 하고 밤낮으로 경계(警戒)함을 일러 경(警)(敬)이라 하였다 한다. [4] 순조(純祖) 즉위(卽位) 직후(直後) 혜경궁은 아들 정조(正祖) 의 약속(約束)을 이유(理由)로 친정(親庭)에 대(對)한 신원(身元)을 요구(要求)했고, 1814년(年) (순조(純祖) 14년(年)) 그의 친정집(親庭집)은 신원(身元), 복권(福券)된다. 또한 홍봉한 의 죽음 직전(直前)에 그를 비난(非難)했던 정이환, 이심도 등(等)의 처벌(處罰)을 요구(要求)한다. 이심도는 사형(死刑)에 처(處)해진다.

사후(事後) [ 편집(編輯) ]

1854년(年) (철종(哲宗) 5년(年)) 유정(惟政)(裕靖)의 존호(尊號)가 추가(追加)되었다. 1899년(年) (광무(光武) 3년(年)) 8월(月) 3일(日) 에 경연특진관(經筵特進官) 서상조(徐相祖)의 상소(上疏)로 장헌세자(莊獻世子)를 왕(王)으로 추존(推尊)할 것을 청(請)하여 고종(高宗) 이 승인(承認)하여 장헌세자(莊獻世子)가 장종대왕(王)으로 추존(推尊) 되자, 함께 헌경왕후로 추존(推尊) 되었고, 대한제국(大韓帝國) 성립(成立) 이후(以後)인 1899년(年) (광무(光武) 3년(年)) 장(章)종이 '장조(長調)의황제(皇帝)(莊祖懿皇帝)'로 격상(格上)되자 그녀(그女) 역시(亦是) '헌경의황후(醫皇后)(獻敬懿皇后)'로 격상(格上)되었다. 시호 효강자희정선휘목유정인철계성헌경왕후 (孝康慈禧貞宣徽穆裕靖仁哲啓聖獻敬王后)이다.

능(陵)은 경기도(京畿道) 화성시(華城市)에 위치(位置)한 융릉(隆陵) (隆陵)으로 남편(男便)인 장조(長調)와 함께 묻혀 있으며 인근(隣近)에는 아들 정조(正祖)와 며느리인 효의왕후 의 능(陵)인 건릉(健陵) (健陵)도 위치(位置)하여 있다.

평가(評價) [ 편집(編輯) ]

한중록(閑中錄) 》은 혜경궁 홍씨(洪氏)의 자전적(自傳的) 회고록(回顧錄)이자 수필(隨筆)로서, 정사(情事)에서는 알 수 없는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죽음과 왕실내(王室內)의 비화(飛火), 여러 인물(人物)들의 성격(性格) 묘사(描寫)와 사건(事件) 및 대화(對話) 등(等)을 상세히(詳細히) 저술(著述)하였다.

가족(家族) 관계(關係) [ 편집(編輯) ]

조선(朝鮮)의 추존(推尊) 왕비(王妃)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추존(推尊) 황후(皇后)   
    헌경의황후(醫皇后) 홍씨(洪氏)   
獻敬懿皇后 洪氏
출생(出生) 사망(死亡)
1735년(年) 7월(月) 26일(日) ( 음력(陰曆) 6월(月) 18일(日) )
조선의 기 조선(朝鮮) 한성부(漢城府) 반송방(搬送房)
1816년(年) 1월(月) 1일(日) ( 1815년(年) 음력(陰曆) 12월(月) 15일(日) ) (80세(歲))
조선의 기 조선(朝鮮) 한성부(漢城府) 창경궁(昌慶宮) 경춘전

부모(父母) [ 편집(編輯) ]

본관(本館) 생몰년(生沒年) 부모(父母) 비고(備考)
  부(部)   영풍부원군(府院君) 永豊府院君
홍봉한 洪鳳漢
풍산 1713년(年) - 1778년(年) 홍현보 洪鉉輔
풍천 임씨(林氏) 豊川 任氏
정명공주 의 현손(玄孫) [5]
모(某) 한산부부(閑散夫婦)인 韓山府夫人
이씨(李氏) 李氏
한산(閑散) 1713년(年) - 1755년(年) 이집 李潗
기계(機械) 유씨(劉氏) 杞溪 兪氏

부군(夫君) [ 편집(編輯) ]

조선(朝鮮)의 추존(推尊) 국왕(國王)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추존(推尊) 황제(皇帝)   
    장조(莊祖) 의황제(醫皇帝)    
莊祖 懿皇帝
출생(出生) 사망(死亡)
1735년(年) 2월(月) 2일(日) ( 음력(陰曆) 1월(月) 21일(日) )
조선 조선(朝鮮) 한성부(漢城府) 창경궁(昌慶宮) 집복헌(集福軒)
1762년(年) 7월(月) 1일(日) ( 음력(陰曆) 윤(尹)5월(月) 21일(日) ) (27세(歲))
조선 조선(朝鮮) 한성부(漢城府) 창경궁(昌慶宮) 문정전(文政殿)

자녀(子女) [ 편집(編輯) ]

작호(爵號) 이름 생몰년(生沒年) 배우자(配偶者) 비고(備考)
장남(長男) 의(醫)소태자 懿昭太子
의소세손(義疏世孫) 懿昭世孫
정(情) ? 1750년(年) - 1752년(年) 1899년(年) (광무(光武) 3년(年)) 세자(世子)로 격상(格上)
1901년(年) (광무(光武) 5년(年)) 태자(太子)로 격상(格上)
차남(次男) 정조(正祖) 선황제(先皇帝) 正祖宣皇帝
정조대왕(正祖大王) 正祖大王
산 ? 1752년(年) - 1800년(年) 효의선황후(孝義選皇后) 김씨(金氏) 孝懿宣皇后 金氏
효의왕후 孝懿王后
제(第)22대(代) 국왕(國王)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추존(推尊) 황제(皇帝)
장녀(長女) 청연공주(靑煙公州) 淸衍公主
청연군주(靑煙君主) 淸衍郡主
1754년(年) - 1821년(年) 광은위(狂恩威) 光恩尉 김기성 金箕性 1899년(年)(광무(光武) 3년(年)) 공주(公主)로 격상(格上)
차녀(次女) 청선공주(靑扇公州) 淸璿公主
청선군주(靑扇君主) 淸璿郡主
1756년(年) - 1802년(年) 흥은위(興恩威) 興恩尉 정재화 鄭在和

손(孫)자녀 [ 편집(編輯) ]

정조(正祖) 청연공주(靑煙公州) 청선공주(靑扇公州)
문효태자(子) 文孝太子
순조대왕(純祖大王) 純祖大王
숙선옹주 淑善翁主 김재창 金在昌
김재삼 金在三
조재규의 처(妻) 김씨(金氏) 정의(正義) 鄭? 민치성의 처(妻) 정씨(鄭氏)
홍혁의 처(妻) 정씨(鄭氏)

헌경왕후가 등장(登場)하는 작품(作品) [ 편집(編輯) ]

소설(小說) [ 편집(編輯) ]

  • 붉은 왕세자빈 》(The Red Queen, 한글판(版) 부제(副題) : 영혼(靈魂)의 ‘《 한중록(閑中錄) 》.’마거릿 드래블, 전경자 옮김, 문학사상사(文學思想史), 2005, ISBN   89-7012-697-X )
  • 《왕(王)의 언약(言約)》 김경민, 눈과마음, 2008, ISBN   978-89-5751-536-5
  • 《사도세자(思悼世子)》 김경민, 테라스북(北), 2012, ISBN   978-89-94300-12-2

드라마 [ 편집(編輯) ]

뮤지컬 [ 편집(編輯) ]

  • 2007년(年) 뮤지컬 《정조대왕(正祖大王)》 - 조미정

영화(映畫) [ 편집(編輯) ]

다큐멘터리 [ 편집(編輯) ]

  • 2008년(年) 다큐멘터리 《한국사(韓國史) 전(前)》 - 이선영 아나운서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영조실록(英祖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99권(卷) 38년(年)(1762년(年) 임오(壬午) / 청(靑) 건륭(乾隆)(乾隆) 27년(年)) 5월(月) 22일(日)(을묘(乙卯)) 2번째(番째) 기사(記事)”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 영조실록(英祖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99권(卷) 38년(年)(1762년(年) 임오(壬午) / 청(靑) 건륭(乾隆)(乾隆) 27년(年)) 윤(尹)5월(月) 13일(日)(을묘(乙卯)) 2번째(番째) 기사(記事)”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3. 영조실록(英祖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99권(卷) 38년(年)(1762년(年) 임오(壬午) / 청(靑) 건륭(乾隆)(乾隆) 27년(年)) 윤(尹)5월(月) 21일(日)(을묘(乙卯)) 2번째(番째) 기사(記事)”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4. 순조실록(純祖實錄) 18권(卷), 순조(純祖) 15년(年)(1815 을해년(乙亥年) / 청(靑) 가경(佳境) 20년(年)) 12월(月) 25일(日)(을해(乙亥)) 2번째기사(番째記事), "빈청(賓廳)에서 혜경궁의 시호(諡號)를 다시 의논(議論)하여 올리다"
  5. 선조(宣祖) 정명공주 홍만용 → 홍중기 → 홍현보 → 홍봉한 혜경궁 홍씨(洪氏)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