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兄弟)의 강(江)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형제(兄弟)의 강(江)
장르 시대극(時代劇)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SBS , PSB 부산방송(현(現) KNN 부산경남방송(釜山慶南放送))
방송(放送) 기간(期間) 1996년(年) 10월(月) 2일(日) ~ 1997년(年) 4월(月) 3일(日) (본방(本邦))
2000년(年) 11월(月) 13일(日) ~ 2001년(年) 3월(月) 27일(日) (재방(再放))
방송(放送) 시간(時間) , 9시(時) 50분(分) ~ 10시(時) 50분(分)(본방(本邦))
월(月) ~ 아침 11시(時) ~ 12시(時)(재방(再放))
방송(放送) 분량(分量) 6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54부작(部作)
추가(追加) 채널 채널에버
연출(演出) 장형일
극본(劇本) 이희우
출연자(出演者) 박근형 , 김영애 외(外)
음성(陰性) 한국어(韓國語)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아날로그 제작(製作) 방송(放送)

형제(兄弟)의 강(江) 》은 1996년(年) 10월(月) 2일(日) 부터 1997년(年) 4월(月) 3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SBS 수목(水木)드라마 이다.

제작(製作) 당시(當時) 1차(次) 지역민방(地域民放)TV인 PSB 부산방송(현(現) KNN 부산경남방송(釜山慶南放送))이 이 드라마의 제작(製作)에 함께 참여(參與)하였다. [1]

기획(企劃) 의도(意圖) [ 편집(編輯) ]

'개발(開發) 독재(獨裁)'의 경제(經濟) 논리(論理) 앞에 무너져 내린 전통(傳統) 가족(家族) 제도(制度)의 따사한 모습을 되새기는 가족(家族)드라마로, 지난 62년(年) 5.16 직전(直前)부터 80년대(年代) 말(末)에 이르기까지 격동(激動)의 30여(餘) 년(年) 동안 경남(慶南) 밀양(密陽)을 무대(舞臺)로 산업화(産業化)의 여파(餘波)에 뒤틀린 우리의 가족사(家族史)를 잔잔하게 보여주는 드라마.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준식네 [ 편집(編輯) ]

  • 김주승  : 서준수 역(役) (아역(兒役) : 육동일, 출세욕(出世慾)이 강(强)한 장남(長男))
  • 박상민  : 서준식 역(役) (아역(兒役) : 정수범, 순박(淳朴)한 차남(次男))
  • 임상아  : 서정자 역(驛) (아역(兒役) : 곽세련, 학교(學校) 진학(進學)을 포기(抛棄)했던 딸)
  • 김정현  : 서준호 역(驛) (아역(兒役) : 안성태, 소아마비(小兒痲痹)의 막내)
  • 박근형  : 서복만 역(驛) (준수, 정자(亭子), 준식, 준호(俊豪)의 아버지, 소거간꾼(소居間꾼))
  • 김영애  : 이순례 역(驛) (준수, 정자(亭子), 준식, 준호(俊豪)의 어머니)

소희네 [ 편집(編輯) ]

  • 염정아  : 박소희 역(驛) (아역(兒役) : 이지혜, 이정윤 , 준식과 준수의 사랑을 받는 여자(女子))
  • 김기섭  : 박혁세 역(驛) (소희의 아버지, 접골원(接骨院) 원장(院長))
  • 이덕희  : 오진숙 역(驛) (소희의 어머니, 밀양(密陽) 약국(藥局)의 약사(藥師))

주변(周邊)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김애경  : 언양 댁(宅) 역(驛) ( 국밥 집 주인(主人))
  • 남포동  : 장달구 역(驛)
  • 김영기  : 이춘섭 역(驛) (순례(巡禮)의 남동생(男동생)이자 준수(遵守), 정자(亭子), 준식, 준호(俊豪)의 외삼촌(外三寸))
  • 백윤식  : 최정호 역(驛) (준식, 정자(亭子), 준호(俊豪)의 국민학교(國民學校) 시절(時節) 교사(敎師) )
  • 김병기(金炳基)  : 임창구 역(驛) (준수, 정자(亭子), 준식, 준호(俊豪)의 고모부(姑母夫))
  • 김보연  : 서옥님 역(驛) (복만(服滿)의 여동생(女同生)이자 준수(遵守), 정자(亭子), 준식, 준호(俊豪)의 고모(姑母))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결방(決放) 사유(思惟) 및 편성(編成) 변경(變更) [ 편집(編輯) ]

  • 1996년(年) 11월(月) 14일(日) : 9시(時) 20분(分)부터 창사기획(創社企劃) 3부작(部作) 드라마 '가을 소나타' 편성(編成)으로 [2] 인(因)해 결방(決放)
  • 1997년(年) 1월(月) 1일(日) : 9시(時) 25분(分)부터 신년특집(新年特輯) 2부작(部作) 드라마 '불타는 노을' 편성(編成)으로 [3] 인(因)해 결방(決放)
  • 1997년(年) 2월(月) 6일(日) : 8시(時) 55분(分)부터 설날특선영화(特選映畫) < 장군(將軍)의 아들 > 편성(編成)으로 [4] 인(因)해 결방(決放)
  • 1996년(年) 11월(月) 13일(日) : 13회(回), 14회(回) 연속(連續) 방송(放送)
  • 1997년(年) 1월(月) 2일(日) : 9시(時) 15분(分)부터 27회(回), 28회(回) 연속(連續) 방송(放送)
  • 1997년(年) 2월(月) 5일(日) : 37회(回), 38회(回) 연속(連續) 방송(放送)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지역민방(地域民放)TV 드라마 9월(月) 전국(全國) 방영(放映)” . 매일경제(每日經濟). 1996년(年) 5월(月) 15일(日) . 2015년(年) 11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2. “SBS 창사(創社) 6주년(周年) 특집(特輯) 드라마「가을 소나타」 (SBS·오후(午後)9:20)” . 경향신문(京鄕新聞). 1996년(年) 11월(月) 14일(日) . 2018년(年) 12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3. 김경애 (1997년(年) 1월(月) 1일(日)). ' 아버지 바람'새해도 거세다” . 한겨레신문(新聞) . 2018년(年) 12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4. “★영화(映畫)「장군(將軍)의 아들」(SBS·우후(虞侯)8:55)” . 경향신문(京鄕新聞). 1997년(年) 2월(月) 6일(日) . 2018년(年) 12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오관철 (1996년(年) 9월(月) 4일(日)). “드라마·CF '3김시대(金時代)' 활짝” . 경향신문(京鄕新聞) . 2015년(年) 11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6. 신연수 (1996년(年) 9월(月) 21일(日)). “김주승 "아픈만큼 성숙(成熟)한 연기(演技) "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5년(年) 11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7. 김종태(金鍾泰) (1996년(年) 9월(月) 4일(日)). “PD들 연기자(演技者) 횡포(橫暴)에 공동대응(共同對應)” . 한겨레신문(新聞) . 2015년(年) 11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8. “「형제(兄弟)의 강(江)」3위(位)로"아듀 " . 동아일보(東亞日報). 1997년(年) 4월(月) 8일(日).  
SBS 수목(水木)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