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헤드윅 (뮤지컬)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헤드윅 (뮤지컬)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헤드윅
Hedwig and the Angry Inch
음악(音樂) 스티븐 트래스크
가사(家事) 스티븐 트래스크

헤드윅 》( Hedwig and the Angry Inch )은 존 카메론 미첼 스티븐 트래스크 가 창작(創作)한 락(落) 뮤지컬로, 동독(東獨) 출신(出身)의 성별정체성(性別正體性)이 모호(模糊)한 젠더퀴어 인(人) 헤드윅과 그가 이끄는 가상(假想)의 락앤롤 밴드, 앵그리 인치에 관(關)한 뮤지컬이다.

1998년(年) 2월(月) 14일(日)부터 2000년(年) 4월(月) 9일(日)까지 미국(美國) 뉴욕의 호텔 리버뷰 제인 스트리트 극장(劇場) ( Jane Street Theatre )에서 공연된 이후(以後), 2000년(年) 9월(月) 19일(日)부터 11월(月) 4일(日)까지 영국(英國) 런던의 웨스트 엔드 플레이하우스 극장(劇場) ( Playhouse Theatre )에서 공연되었다. 그 후(後), 전세계(全世界) 수백개(數百個)의 프로덕션 작품(作品)으로 공연된 헤드윅은 2014년(年) 4월(月), 브로드웨이 버전으로 재탄생되어 벨라스코 극장(劇場) (Belasco Theatre)에서 공연되었으며, 토니 어워드 베스트 리바이벌 뮤지컬 상(上)(Tony Award for Best Musical of a Revival)을 수상(受賞)했다.

한국(韓國)에서는 2005년(年) 4월(月) 첫 공연(公演)이 된 이후(以後), 꾸준히 재연(再燃)되어 왔으며, 2016년(年) 3월(月), 헤드윅: 뉴 메이크업 의 타이틀로 공연되고 있다.

시놉시스 [ 편집(編輯) ]

헤드윅의 원제(原題)는 "Hedwig and the Angry Inch" 우리말로는 헤드윅과 열(熱)받은 일(一) 인치다. 공연(公演)이 진행(進行)되면서 관객(觀客)은 헤드윅이 누구이며, 열(熱)받은 일(一)인치의 사연(事緣)이 무엇인가를 주인공(主人公) 헤드윅의 독백(獨白)과 노래, 하드락 밴드, 그리고 애니메이션을 통해 알게 된다.

이야기는 1961년(年) 동독(東獨)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베를린 장벽(障壁)이 세워질 때, 동(同) 베를린에서 엄마와 단둘이 살고 있는 한셀은 소심(小心)한 소년(少年)이다. 그의 유일(唯一)한 즐거움은 좁은 아파트에서 미군(美軍) 방송(放送)을 통해 듣는 락 음악(音樂)이다. 대학(大學)에서 쫓겨나고 암울(暗鬱)한 인생(人生)을 살던 한셀에게 기회(機會)가 찾아온다. 동베를린에 파견(派遣)된 미군(美軍) 루터가 성전환수술(性轉換手術)을 조건(條件)으로 결혼(結婚)을 제의(提議)한 것. 한셀은 엄마의 이름인 헤드윅으로 이름을 바꾸고 성전환(性轉換) 수술(手術)을 받지만 싸구려 수술(手術)의 실패(失敗)로 그의 성기(性器)엔 여자(女子)의 그것 대신(代身) 일(一) 인치의 살덩어리만 남게 된다.

미국(美國)으로 건너온 헤드윅은 루터에게 버림받고, 정션 시티의 트레일러하우스에서 연명(延命)하는 신세(身世)가 된다. 그러던 중(中) 헤드윅은 자신(自身)의 첫 사랑 음악(音樂)을 통해 새 출발(出發)을 꿈꾼다. 그녀(그女)는 화장(化粧)을 하고, 가발(假髮)을 쓰고, 락(落) 밴드 앵그리인치를 만들어 변두리(邊두리)의 바와 패스트 푸드 레스토랑을 전전(轉轉)하며 노래를 부른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그女)는 16세(歲)의 소년(少年) 토미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락 음악(音樂)을 가르쳐 주지만, 일(一) 인치의 살덩이의 존재(存在)를 알게 된 토미는 그녀(그女)를 배신(背信)하고 그녀(그女)가 만든 곡(曲)들을 훔쳐 세계적(世界的)인 락스타로 성공(成功)한다. 깊은 상처(傷處)를 받은 헤드윅은 크로아티아 투어 중(中) 최후(最後)의 유태인(猶太人) 드랙퀸 이츠학을 만나, 그가 다시는 여장(女裝)을 하지 않는다는 조건(條件)으로 이츠학을 미국(美國)으로 데려온다. 이츠학은 헤드윅에 남편(男便)이자, 앵그리인치 밴드의 백보컬을 맡는다.

토미의 전국(全國) 투어 콘서트를 따라다니며 토미의 공연장(公演場) 옆에 위치(位置)한 레스토랑 등(等)에서 공연(公演)을 하던 헤드윅은 어느날 길에서 우연히(偶然히) 토미를 만난다. 배신(背信)의 상처(傷處)와 증오(憎惡)의 감정(感情)을 접어둔 채, 잠시(暫時) 재회(再會)의 기쁨을 나누던 중(中), 이들이 운전(運轉)하던 차(車)가 스쿨버스를 들이 받으면서 큰 사고(事故)가 나고, 이 사고(事故)를 통해 비로소 헤드윅의 존재(存在)가, 그리고 기구(崎嶇)한 일(一)인치의 사연(事緣)이 세상(世上)에 드러난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헤드윅은 1994년(年) LA에서 뉴욕으로 가는 비행기(飛行機) 옆 좌석(座席)에 앉게 된 두 남자(男子)의 우연한 만남에서 탄생(誕生)했다. 존 카메론 미첼은 옆 자리 청년(靑年)이 파스빈더의 책(冊)을 읽고 있는 것을 보고 ‘영화(映畫)에 관심(關心)이 있느냐’고 물었다. 스티븐 트래스크라는 이름의 그 남자(男子)는 영화(映畫)에 대(對)한 관심(關心)뿐만 아니라 삶의 많은 부분(部分)에서 카메론 미첼과 통하는 점(點)이 많았다. 가장 중요(重要)한 공통점(共通點)은 그들이 둘 다 창작(創作)에 재능(才能)이 있었다는 사실(事實)이었다. 밴드 ‘Cheater’의 리더로 베이스를 연주하면서 작사(作詞)와 작곡(作曲)까지 하던 뮤지션 스티븐 트래스크는 당시(當時) 뉴욕의 유명(有名)한 드랙퀸 클럽 ‘스퀴즈 박스’에서 연주(演奏)를 하면서 음악감독(音樂監督) 일을 하고 있었다.

일찌감치 스스로의 성정체성(性正體性)을 인정(認定)한 동성애자(同性愛者)였지만 미국(美國) 게이 커뮤니티의 분위기(雰圍氣)를 달가워하지 않았고, 그 문화(文化)에 익숙하지 않았던 미첼은 스퀴즈 클럽에서 처음으로 드랙퀸 쇼를 보았다. 화려(華麗)한 여장(女裝)을 하고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처럼 게이 아이콘이 된 팝 디바의 노래를 립싱크하면서 과장(誇張)된 무대(舞臺)를 보여주는 것이 전형적(典型的)인 드랙퀸쇼였지만, 스퀴즈박스는 퍼포머가 자신(自身)의 육성(肉聲)으로 노래를 하는 등(等) 새로운 시도(試圖)를 하면서 당시(當時) 뉴욕의 젊은 아티스트들에게 관심(關心)을 받고 있었다. 그러한 시점(時點)에 존 카메론 미첼은 드랙퀸으로 분장(扮裝)한 한 명(名)의 배우(俳優)가 직접(直接) 노래를 하면서 스탠드업 코미디를 보여주고 드라마도 가미(加味)하는 공연(公演)을 구상(構想)하게 된다.

트래스크는 타고난 이야기꾼이자 뛰어난 배우(俳優)인 미첼이 해준 온갖 이야기 중(中)에서도 철학자(哲學者) 아리스토파네스가 향연(饗宴) 에서 설파(說破)했던 인류(人類)의 기원(起源)에 대(對)한 이야기에 매료(魅了)되었다. 그 주장(主張)에 따르면 인류(人類)는 원래(元來) 두 개(個)의 머리와 네 개(個)의 팔, 그리고 네 개(個)의 다리를 가진 완전(完全)한 존재(存在)였는데, 각각(各各) 남자(男子)와 여자(女子), 남자(男子)와 남자(男子), 그리고 여자(女子)와 여자(女子) 세 부류(部類)로 이루어져있었다. 하지만 이 최초(最初)의 인간(人間)들은 스스로의 완전(完全)함으로 인(因)해 교만해졌고, 그에 분노(憤怒)한 신(神)이 번개를 내리쳐 그들을 둘로 쪼개 누어버린 것이 지금(只今) 우리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애초(애初)에 남자(男子)와 여자(女子)가 붙어있는 한 몸이었다가 갈라진 인간(人間)들은 이성애자(異性愛者)가 되고, 남자(男子)와 남자(男子)였거나 여자(女子)와 여자(女子)로 한 몸이었던 인간(人間)들은 동성애자(同性愛者)가 되었다는 것이 다양한 성정체성(性正體性)이 존재(存在)하는 데 대(對)한 고대(古代) 그리스인의 그럴듯한 설명(說明)이다.

반(半)으로 갈라진 불완전(不完全) 존재(存在)로서 원래(元來) 자신(自身)의 일부(一部)였던 잃어버린 반쪽(半쪽)을 찾아 떠도는 인간(人間)의 숙명(宿命)을 노래로 만들어달라는 미첼의 부탁(付託)을 받고 트래스크가 곡(曲)을 쓰고 가사(歌詞)를 붙인 것이 헤드윅의 메인 테마곡(曲)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랑의 기원(起源)‘ Origin of love’이다. 이어서 토미와 헤드윅이 반복(反復)해서 부르는 ‘Wicked little town'이(李) 완성(完成)되었고, 기존(旣存)의 곡(曲)들을 가사(歌詞)만 바꾸어 부르는 식(式)으로 부족(不足)한 곡수(穀數)를 채우는 과정(過程)을 지나 점차(漸次) 오리지널 넘버의 비중(比重)을 높여나갔다. 1994년(年) 7월(月)29일(日) 밤 뉴욕 소호의 스퀴즈박스에서 처음 무대(舞臺)에 올려진 헤드윅이 제대로 된 공연(公演)의 형태(形態)를 갖추게 되자 이 작품(作品)의 열렬(熱烈)한 지지자(支持者)가 된 초기(初期) 투자자(投資者) 8명(名)이 2만(萬) 9천(千) 달러를 모았다. 일단(一旦) 헤드윅을 위한 전용공연장(專用公演場)이 필요(必要)하다는 쪽으로 의견(意見)이 모였고, 그 극장(劇場)이 일반적(一般的)인 공연장(公演場)과는 완전히(完全히) 달라야 한다는 데도 뜻이 통했다.

그들이 선택(選擇)한 곳은 한 때 ‘정육점(精肉店) 구역(區域)’으로 불렸고 밤이 되면 매춘부(賣春婦)들을 흔히 볼 수 있는 허드슨 강(江) 인근(隣近)의 호텔 리버뷰의 폐쇄(閉鎖)된 볼룸이었다. 여기저기서 얻어온 벽지(壁紙)와 의자(椅子)로 극장(劇場)이 꾸며졌고 타이타닉 침몰(沈沒) 사건(事件)의 생존자(生存者)들이 묵었다는 호텔의 실제(實際) 역사(歷史)는 대본(臺本)에 반영(反映)이 되었다. 밤이 되면 을씨년스러운 밤바람과 미심(未審)쩍은 여인(女人)들이 다가오는 쾌적(快適)하지 않은 지역(地域)의 분위기(雰圍氣)는 헤드윅을 보러오는 관객(觀客)들에게 자신(自身)들이 앞으로 경험(經驗)하게 될 작품(作品)이 결코(決코) 평범(平凡)하지 않을 것이라는 마음의 준비(準備)를 하게 하는 데 제격(제格)이었다.

1998년(年) 2월(月) 14일(日), 밸런타인데이에 막(幕)을 연 헤드윅의 오프 브로드웨이 초연(初演)은 대성공(大成功)을 거두었고, 헤드윅이 작품(作品) 속에서 자신(自身)의 록 히어로로 언급(言及)한 데이비드 보위가 관객(觀客)의 한 사람으로 극장(劇場)을 찾는 드라마 같은 순간(瞬間)도 있었다. 뮤지컬 헤드윅의 열렬(熱烈)한 팬을 자처(自處)한 인물(人物) 중(中)에는 마돈나와 로지 오도넬이 포함(包含)되어 있다.

미국(美國)에서 가장 권위(權威) 있는 록 매거진인 롤링 스톤지가 이 작품(作品)을 가리켜 ‘그 길고 보잘 것 없는 록뮤지컬의 역사(歷史) 속에서 진정(眞正)한 록을 선보이는 첫 번째(番째) 뮤지컬’이라고 찬사(讚辭)를 보낸 배경(背景)에는 브로드웨이와는 일면식(一面識)도 없었던 스티븐 트래스크가 만든 음악(音樂)과, 뮤지컬 문법(文法)에 익숙했지만 그 이전(以前)에 ‘로큰롤 베이비’로 자라왔고 글램록(錄)의 정신(精神)을 누구보다 잘 이해(理解)했던 존 카메론 미첼의 만남이 있었다.

등장인물(登場人物) [ 편집(編輯) ]

헤드윅 [ 편집(編輯) ]

헤드윅 로빈슨, 본명(本名)은 한셀 슈미트. 로빈슨은 루터의 성(城)이며 헤드윅이라는 이름은 미국(美國)으로 이주(移住)할 때 어머니에게 받은 이름이다. 남자(男子)인지 여자(女子)인지, 독일인(獨逸人)인지 미국인(美國人)인지 단정(斷定)할 수 없는 불가사의(不可思議)한 존재(存在). 자유(自由)를 위해 남성성(男性性)을 포기(抛棄)하려 했지만 싸구려 성전환(性轉換) 수술(手術)이 실패(失敗)한 후(後) 성난 1인치의 살덩이가 남은 이도 저도 아닌 몸으로 자기(自己) 존재(存在)의 이유(理由)를 찾아서 떠돌고 있다.

이츠학 [ 편집(編輯) ]

헤드윅의 남편(男便). 인종청소(人種淸掃)가 한창이던 세르비아에서 미국(美國)으로 빠져나온 유태인(猶太人) 드랙퀸 스타. 헤드윅이 미국행(美國行)을 돕는 대신(代身) 내건 계약조건(契約條件) 때문에 여장(女裝)을 포기(抛棄)하고 남자(男子)로서 살아간다. 극중(劇中) 여장(女裝)을 포기(抛棄)한 트랜스여성(女性)으로 고음역대(高音域代)가 가능(可能)한 여자배우(女子俳優)가 연기(演技)한다.

토미 [ 편집(編輯) ]

본명(本名)은 토미 스펙이지만 헤드윅이 지어준 이름인 토미 노시(老視)스로 활동(活動)하고 있는 락스타. 헤드윅의 곡(曲)을 훔쳐 낸 1집(輯) 앨범으로 대성공(大成功)을 거두지만 두 번째(番째) 앨범은 흥행(興行)에 실패(失敗)한다. 미군(美軍) 장성(將星)의 아들이자 독실(篤實)한 크리스천이기도 하다. 헤드윅에게 진짜(眞짜) 영혼(靈魂)의 짝을 찾았다는 확신(確信)을 심어준 순간(瞬間) 그를 배신(背信)한다.

루터 [ 편집(編輯) ]

동베를린에 파견(派遣)된 미군(美軍). 한셀의 슈가 대디가 되어 한셀에게 성전환(性轉換) 수술(手術)을 받으면 미국(美國)으로 데려가 주겠다고 제안(提案)한다. 하지만 결혼(結婚)을 하고 미국(美國)으로 돌아온 후(後) 얼마 되지 않아 헤드윅을 버린다.

영화(映畫) [ 편집(編輯) ]

2000년(年) 존 카메론 미첼 주연(主演)으로 영화화(映畫化)되었다. 한국(韓國)에서는 2002년(年) 8월(月) 9일(日) 개봉(開封) [1] 했으며 2017년(年)에 재개봉(再開封) [2] 하였다.

뮤지컬과의 차이점(差異點) [ 편집(編輯) ]

영화(映畫)의 플롯은 뮤지컬과 다르지 않으나 차이점(差異點)이 있다.

배경(背景) [ 편집(編輯) ]

영화(映畫)와 뮤지컬이라는 형식(形式)의 차이(差異)에서 비롯된 차이점(差異點)이다. 뮤지컬 헤드윅은 토미의 공연장(公演場) 옆 호텔 리버뷰에서 자신(自身)의 이야기를 한다는 점(點)과 달리 영화(映畫) 헤드윅은 무대(舞臺)가 계속(繼續) 바뀐다.

이츠학 [ 편집(編輯) ]

뮤지컬에서는 헤드윅이 이츠학을 크로아티아의 드랙퀸이며 남편(男便)이라고 소개(紹介)한다. 그러나 영화(映畫)의 경우(境遇) 이츠학에 대(對)한 설명(說明)이 나오지 않아 영화상(映畫上) 이츠학의 성별(性別)에 대(對)한 논란(論難)이 있었다.

토미 [ 편집(編輯) ]

뮤지컬에서는 헤드윅이 청중(聽衆)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形式)으로, 토미 역(驛)에 배우(俳優)를 따로 쓰지 않고 헤드윅이 토미를 연기(演技)한다. 하지만 영화(映畫)에서는 토미 역(驛)에 배우(俳優)를 캐스팅해 개별(個別)된 인물(人物)로 만들었다.

넘버 [ 편집(編輯) ]

공연(公演)과 OST의 버전마다 약간(若干)의 차이(差異)가 있지만 기본적(基本的)인 틀은 같다. 다음은 2014년(年) 한국(韓國) 라이센스 버전 [3] 에 따른다.

  1. Tear Me Down
  2. Origin of Love
  3. Sugar Daddy
  4. Angry Inch
  5. Wicked Little Town
  6. Wig In A Box
  7. The Long Grift
  8. Hedwig's Lament
  9. Exquisite Corpse
  10. Wicked Little Town
  11. Midnight Radio

한국(韓國)의 헤드윅 [ 편집(編輯) ]

2005년(年) 첫 개막(開幕) 이후(以後) 2016년(年)부터는 헤드윅: 뉴 메이크업 [4] 의 타이틀로 공연되고 있다.

날짜 극장(劇場) 캐스팅
2005.04.12 ~ 2005.06.26 대학로(大學路) 라이브 극장(劇場) 오만석 조승우 송용진 김다현 이영미 백주연
2005.11.01 ~ 2006.02.26 대학로(大學路) 라이브 극장(劇場) 오만석 엄기준 송용진 김다현 송창의 이영미 백주연 전혜선 홍미옥
2006.10.14 ~ 2007.05.13 대학로(大學路) 클럽SH 이석준 김수용 조승우 송용진 김다현 조정석 서문탁 전혜선 이영미 안유진
2008.06.27 ~ 2009.01.11 KT&G 상상(想像)아트홀 김다현 송용진 이석준 이주광 김수용 조정석 전혜선 김영지 문혜원
2009.11.14 ~ 2010.02.28 KT&G 상상(想像)아트홀 윤도현 강태을 송용진 송창의 윤희석 최재웅 전혜선 리사 최우리 최소영
2011.05.14 ~ 2011.08.21 KT&G 상상(想像)아트홀 김재욱 김동완 최재웅 조정석 이영미 전혜선 최우리
2012.08.11 ~ 2012.10.28 KT&G 상상(想像)아트홀 오만석 박건형 이영미 안유진
2013.06.08 ~ 2016.09.08 백암(白巖)아트홀 조승우 송창의 손승원 구민진(舊民進) 조진아
2014.05.13 ~ 2014.09.28 백암(白巖)아트홀 박건형 조승우 손승원 송용진 김동완 서문탁 이영미 전혜선 최우리
2016.03.01 ~ 2016.05.29 홍익대 대학로(大學路) 아트센터 대극장(大劇場) 윤도현 조승우 조정석 정문성 변요한 서문탁 임진아 제이민(第移民)
2017.08.18 ~ 2017.11.05 홍익대 대학로(大學路) 아트센터 대극장(大劇場) 오만석 마이클리(里) 정문성 유연석 조형균 전혜선 제이민(第移民) 유리아
2019.08.16 ~ 2019.11.03 홍익대 대학로(大學路) 아트센터 대극장(大劇場) 오만석 마이클리(里) 정문성 이규형(李揆亨) 전동석 윤소호 제이민(第移民) 유리아 홍서영

헤드윅: 뉴 메이크업 [ 편집(編輯) ]

2016 시즌부터 공연장(公演場)의 규모(規模)가 커지면서 전체적(全體的)인 연출(演出)에 변화(變化) [5] 가 생겼다. 기존(旣存)의 배경(背景)인 호텔리버뷰에서 브로드웨이로 배경(背景)이 바뀌었고, 그에 따라 무대(舞臺) 배경(背景)도 폐차장(廢車場)과 크레인을 도입(導入)했다. 기존(旣存)에 객석(客席)을 지나쳐 퇴장(退場)하던 결말(結末)에서 무대(舞臺)에서 관객(觀客)을 등지고 퇴장(退場)하는 결말(結末)로 바뀌며 '열린 결말(結末)'의 효과(效果)를 가져왔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헤드윅” . 2018년(年) 5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2. “[뉴스컬처] 록 뮤지컬 영화(映畫)의 전설(傳說) ‘헤드윅’ 28일(日) 재개봉(再開封) 확정(確定)…압도적(壓倒的) 비주얼의 포스터 공개(公開)” . 《뉴스컬처》. 2017년(年) 6월(月) 14일(日) . 2018년(年) 5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3. “더뮤지컬” . 2018년(年) 5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4. “공연(公演)의 모든 것 - 플레이DB” . 2018년(年) 5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5. tf.co.kr (2016년(年) 5월(月) 11일(日)). “[TF인터뷰] '헤드윅: 뉴 메이크업' 손지은 연출(演出), 무엇이 어떻게 왜 변화(變化)했나①” . 《더팩트》 . 2018년(年) 5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