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스토리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허스토리
Herstory
감독(監督) 민규동
각본(脚本) 서혜림
정겨운
민규동
제작(製作) 민진수
출연(出演) 김희애
김해숙
촬영(撮影) 박정훈
편집(編輯) 정지은
음악(音樂) 김준성
제작사(製作社) 수(數)필름
배급사(配給社) NEW
개봉(開封)일
  • 2018년(年) 6월(月) 27일(日)  ( 2018-06-27 )
시간(時間) 121분(分)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일본어(日本語)

허스토리 》는 2018년(年) 에 개봉(開封)한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영화(映畫)이다. 1992년(年)부터 1998년(年)까지 6년간(年間) 일본군위안부(日本軍慰安婦) 피해자(被害者) 3명(名)과 여자근로정신대(女子勤勞挺身隊) 피해자(被害者) 7명(名) 등(等) 총(總) 10명(名)의 할머니들이 일본(日本) 정부(政府)를 상대(相對)로 공식적(公式的)인 사죄(謝罪)와 배상(賠償)을 청구(請求)한 관부재판(官府裁判) 을 소재(素材)로 한 영화(映畫)이다.

줄거리 [ 편집(編輯) ]

1991년(年) 부산(釜山)에서 여행사(旅行社)를 운영(運營)하는 문정숙(김희애)은 불미(不美)스러운 일로 영업정지(營業停止)를 당(當)하고 피해(被害)가 막심(莫甚)한 상태(狀態)다. 이미지 쇄신(刷新)을 위해 정신대(精神對) 피해자(被害者) 신고(申告) 센터를 임시(臨時) 운영(運營)하게 된다. 할머니들의 피해(被害) 접수(接受)가 들어오면서 정숙은 그의 집에서 수십년간(數十年間) 일한 배정길(김해숙)을 비롯한 박순녀(예수정), 서귀순(문숙), 이옥주(이용녀) 등(等)을 만나게 되고, 그들의 사연(事緣)에 함께 분노(憤怒)하며 적극적(積極的)으로 할머니들을 돕게 된다. 그리고 재일변호사(在日辯護士) 이상일(李相逸)(김준한)과 함께 일본(日本)국헌법(憲法)에 명시(明示)된 '도의적(道義的) 국가(國家)로서의 의무(義務)'를 근거(根據)로 정부(政府)의 공식(公式) 사과(謝過)와 손해배상(損害賠償)을 얻어내기 위해 부산(釜山)과 시모노세키를 오가며 기나긴 법정(法廷) 싸움을 시작(始作)한다. [1]

캐스팅 [ 편집(編輯) ]

  • 김희애  : 문정숙 역(驛) (실존(實存) 인물(人物) 김문숙 을 모델로 한 인물(人物))
  • 김해숙  : 배정길 역(驛)
  • 예수정  : 박순녀 역(驛)
  • 문숙  : 서귀순 역(驛)
  • 이용녀  : 이옥주 역(驛)
  • 김선영  : 신(申) 사장(社長) 역(役)
  • 김준한  : 이상(理想)일 역(役)
  • 이용(利用)이  : 유소득 할머니 역(役)
  • 최병모  : 배정길 아들 순모씨(純某氏) 역(驛)
  • 정인기  : 여행사(旅行社) 최(崔) 팀장(팀長) 역(驛)
  • 이설(異說)  : 딸 혜수 역(驛)
  • 박명신  : 정대협 대표(代表) 역(驛)
  • 이지하  : 이사장(理事長) 역(役)
  • 김인우  : 재판장(裁判長) 역(驛)
  • 요코우치(憂恥) 히로키  : 일본(日本) 검사(檢事) 역(役)
  • 윤슬  : 하나부사 에미코 후원회장(後援會長) 역(驛)
  • 금도자(襟度子) : 스기무라 선생(先生) 역(驛)
  • 야마노우치 타스쿠  : 아베 영사관(領事館) 과장(課長) 역(役)
  • 오상윤  : 일장기(日章旗)남 / 법정(法定) 우익(右翼) 역(驛)
  • 손승훈  : 마을주민(住民) / 법정(法定) 우익(右翼) 역(驛)
  • 한건태  : 온천장(溫泉場) 매니저 역(役)
  • 이준이  : 야무쿠치 겐지 변호사(辯護士) 역(驛)
  • 김리우  : 하시모토 시노부 변호사(辯護士) 역(驛)
  • 리민(吏民)  : 택시운전사(運轉士) 1 / 돌멩이 욕설(辱說)남 역(驛)
  • 오창경  : 택시운전사(運轉士) 2 역(驛)
  • 손강국  : 난징 가이드 역(役)
  • 박용수  : 뇌신경매독(腦神經梅毒) 의사(醫師) 역(役)
  • 임선우  : 일어 통역사(通譯士) 역(逆)
  • 김혜준  : 혜수 짝 역(驛)
  • 김시영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팀장(팀長) / 김희애, 김해숙 스탠드 인(人) 역(役)
  • 김효준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팀장(팀長) 역(驛)
  • 김한상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팀장(팀長) 역(驛)
  • 이승연(李丞涓) : 후쿠오카 후원회원(後援會員) 역(驛)
  • 김혜림  : 후쿠오카 후원회원(後援會員) 역(驛)
  • 한다경(茶經) : 후쿠오카 후원회원(後援會員) 역(驛)
  • 이율(理由)  : 후쿠오카 후원회원(後援會員) 역(驛)
  • 김연철 : 후쿠오카 후원회원(後援會員) 역(驛)
  • 최청자 : 정신대(挺身隊) 원고(原稿) 할머니들 역(驛)
  • 이영자(二嶺自) : 정신대(挺身隊) 원고(原稿) 할머니들 역(驛)
  • 황복순  : 정신대(挺身隊) 원고(原稿) 할머니들 역(驛)
  • 원근자 : 정신대(挺身隊) 원고(原稿) 할머니들 역(驛)
  • 홍희자 : 정신대(挺身隊) 원고(原稿) 할머니들 역(驛)
  • 박경현 : 정신대(挺身隊) 원고(原稿) 할머니들 역(驛)
  • 윤효진 : 정신대(挺身隊) 원고(原稿) 할머니들 역(驛)
  • 옥(玉)주리  : 여사장(女社長)들 역(驛)
  • 김주아  : 여사장(女社長)들 역(驛)
  • 박숙명  : 여사장(女社長)들 역(驛)
  • 서민경  : 여사장(女社長)들 역(驛)
  • 정미경(鄭美京)  : 여사장(女社長)들 역(驛)
  • 김세인  : 신고(申告)센터 자원(自願) 봉사자(奉仕者) 역(驛)
  • 안진영  : 신고(申告)센터 자원(自願) 봉사자(奉仕者) 역(驛)
  • 우연(偶然)서  : 신고(申告)센터 자원(自願) 봉사자(奉仕者) 역(驛)
  • 노준영  : 신고(申告)센터 자원(自願) 봉사자(奉仕者) 역(驛)
  • 노은정 : 이옥주 할머니 조카 역(役)
  • 고유림  : 온천장(溫泉場) 일본(日本) 엄마 역(役)
  • 황도(黃道)위 : 온천장(溫泉場) 일본(日本) 아이 역(役)
  • 박혜숙 : 이상일(李相逸) 모친(母親) 역(驛)
  • 김담로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상담부(相談部) 직원(職員) / 김준한 스탠드 인(人) 역(役)
  • 오진호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상담부(相談部) 직원(職員) 역(驛)
  • 이형석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상담부(相談部) 직원(職員) 역(驛)
  • 박정규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상담부(相談部) 직원(職員) 역(驛)
  • 김가은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상담부(相談部) 직원(職員) 역(驛)
  • 나서경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안내(案內) 데스크 직원(職員) 역(驛)
  • 이선민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안내(案內) 데스크 직원(職員) 역(驛)
  • 양영애 : 가정부(家政婦) 역(驛)
  • 최인환  : 문전박대(門前薄待) 남(南) 역(驛)
  • 이현동 : 간판(看板) 인부(人夫) 역(驛)
  • 정은택 : 간판(看板) 인부(人夫) 역(驛)
  • 하성영 : 신(申) 사장(社長) 식당(食堂) 일본(日本)손님 역(驛)
  • 박정헌  : 신(申) 사장(社長) 식당(食堂) 일본(日本)손님 / 온천장(溫泉長) 커플 역(驛)
  • 김명희(金明熙) : 온천장(溫泉場) 커플 역(驛)
  • 안수진  : 일본(日本) 법원(法院) 서기(書記) 역(驛)
  • 조유진  : 일본(日本) 법원(法院) 서기(書記) 역(驛)
  • 강일생 : 일본(日本) 법원(法院) 우익(右翼) 방청객(傍聽客) 역(驛)
  • 김성환 : 일본(日本) 법원(法院) 우익(右翼) 방청객(傍聽客) 역(驛)
  • 문성지 : 일본(日本) 법원(法院) 의사(醫師) 역(役)
  • 조정준 : 대한여행사(大韓旅行社) 경비원(警備員) 역(驛)
  • 최정화 : 전화(電話) 욕설(辱說) 역(驛)
  • 미유키 키노무라 : 이상일(李相逸) 모친(母親) 역(驛) (목소리)
  • 오유리 : 공항(空港), 항공(航空) 안내(案內) 방송(放送) 역(驛)
  • 이은경 : 일본(日本) 기자(記者) 역(驛) (목소리)
  • 민주홍  : 공원(公園) 여고생(女高生) 역(役)
  • 임서영 : 공원(公園) 여고생(女高生) 역(役)
  • 박진수 : 공원(公園) 여고생(女高生) 역(役)
  • 윤단비 : 공원(公園) 여고생(女高生) 역(役)
  • 문해(文解)랑 : 갓난 아기 역(驛)
  • 이명자  : 옆집 욕쟁이(辱쟁이) 할머니 역(役)
  • 전정일  : 일본검사(日本檢事) 2 역(驛)
  • 김성준 : 일본검사(日本檢事) 3 역(驛)
  • 한지민  : 혜수 윤리교사(倫理敎師) 역(役)(우정출연(友情出演))
  • 이유영  : 류선영 역(驛) (우정출연(友情出演))
  • 송영창  : 부산(釜山) 시장(市長) 역(驛) (우정출연(友情出演))
  • 진선규  : 사진사(寫眞師) (목소리) 역(驛) (우정출연(友情出演))
  • 박정자  : 집장촌 홍여사(洪女史) 역(役) (특별출연(特別出演))
  • 안세하(安世下)  : 택시운전사(運轉士) 3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정하담  : 임대(賃貸)아파트 새댁(새宅)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김용신 : 라디오TV 아나운서 (목소리)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수상(受賞)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허스토리> 위안부(慰安婦) 할머니들의 목소리” . 《씨네21》. 2018년(年) 6월(月) 27일(日) . 2019년(年) 8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