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수열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허수열
출생(出生) 1951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경상북도(慶尙北道) 대구시(大邱市)
사망(死亡) 2023년(年) 1월(月) 29일(日)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분야(分野) 경제학(經濟學)
모교(母校)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수상(受賞) 대한민국학술원상(大韓民國學術院上)

허수열 (許粹烈, 1951년(年) ~ 2023년(年) 1월(月) 29일(日) )은 대한민국(大韓民國)의 경제학자(經濟學者)다. 식민지(植民地) 근대화론(近代化論) 에 대(對)한 비판(批判)으로 알려져 있다. [1]

논의(論議) [ 편집(編輯) ]

허수열은 《개발(開發) 없는 개발(開發)》 (2005)에서,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에 조선(朝鮮)이라는 지역(地域)은 개발(開發)되었지만, 조선인(朝鮮人)에게는 별(別) 의미(意味) 없는 개발(開發)이었다고 주장(主張)하였다. 《일제(日帝) 초기(初期) 조선(朝鮮)의 농업(農業)》 (2011)은 그 이후(以後) 다양한 비판(批判)에 대답(對答)하기 위하여 저술(著述)되었다. [1]

허수열은 1920년대(年代) 말(末)까지는 미곡생산(米穀生産)이 증가(增加)하지 않았다고 주장(主張)하였다. 이를 통하여 낙성대연구소(落星垈硏究所)에서의 농업(農業) 추계(推計) 및 GDP 추계(推計)가 잘못되었다고 주장(主張)하였다. 이로 인(因)해 김낙년 과 논쟁(論爭)하였다. [1]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경제(經濟)에서도, 이영훈(李榮薰) 과의 논쟁(論爭)을 하였다. 그는 두락당(斗落當) 지대량(大量)의 변화추세(變化趨勢)를 바로 두락당(斗落當) 생산량(生産量) 변화추세(變化趨勢)와 연결(連結)할 수 없다는 점(點), 이영훈의 회귀분석(回歸分析)의 문제점(問題點) 등(等)을 지적(指摘)하였다. 일제(日帝) 초기(初期) 김제(金堤)만경평야(平野) 수리시설(水利施設)과 관련(關聯)된 논쟁(論爭)에서 이영훈의 오류(誤謬)를 지적(指摘)하였다. 그에 따르면 1917년(年)까지 일본인(日本人)에 의(依)해 장대형(長大型) 방조제(防潮堤)가 축조(築造)되었다는 이영훈의 주장(主張)은 전혀(全혀) 객관적(客觀的)인 사실(事實)이 아니며, 이러한 장대형(長大型) 방조제(防潮堤)의 존재(存在)를 전제(前提)로 하는 이영훈의 서술(敍述) 역시(亦是) 근거(根據) 없는 잘못된 주장(主張)이 되어 버리게 된다는 것이다. [1]

경력(經歷) [ 편집(編輯) ]

  • 1988년(年): 교토 대학(大學) 초빙외국인학자(招聘外國人學者)
  • 1994년(年): 하버드 대학교(大學校) 교환교수(交換敎授)
  • 한국경제사학회장(韓國經濟史學會長)
  • 충남대학교(忠南大學校) 경상대학(經常大學) 경제학과(經濟學科) 교수(敎授), 명예교수(名譽敎授)

수상(受賞) [ 편집(編輯) ]

  • 2006년(年): 임종국상(上)
  • 2012년(年) 제(第)57회(回) 대한민국학술원상(大韓民國學術院上)
  • 2016년(年): 황조근정훈장(皇祖勤政勳章)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허수열, “식민지근대화론(植民地近代化論)의 주요(主要) 주장(主張)의 실증적(實證的) 검토(檢討)”. 《내일(來日)을 여는 역사(歷史)》 59 : 103-126. 20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