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도(咸鏡道)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함경도(咸鏡道)
咸鏡道
조선(朝鮮)
1413년(年)?1895년(年)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함경도(咸鏡道).
주도(主導) 함흥부
역사적(歷史的) 시대(時代) 근세(近世)
? 설치(設置)
1413년(年)
? 해체(解體)
1895년(年)
오늘날

함경도(咸鏡道) (咸鏡道)는 조선(朝鮮) 시대(時代)의 행정(行政) 구역(區域)이다. 철령(鐵嶺) 의 북쪽(北쪽)에 있다고 하여, 관북(關北) 지방(地方) (關北地方)이라고도 한다. 감영(監營) 소재지(所在地)는 함흥부(현(現)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흥시 )였다. 1896년(年) 함경북도(咸鏡北道) 함경남도(咸鏡南道) 로 분할(分割)되었다. 함흥(咸興)과 경성(鏡城)의 머리글자(머리글字)를 따서 만든 지명(地名)이다.

명칭(名稱) 변천(變遷) [ 편집(編輯) ]

원래(元來)부터 고조선(古朝鮮) , 고구려(高句麗) , 발해(渤海) 의 영토(領土)였다. 고려(高麗) 초에는 화주(貨主)( 영흥군(永興郡) ) 이남(以南)까지만 영토(領土)로 편입시켰고, 그 북쪽(北쪽) 지역(地域)은 여진족(女眞族) 등(等)의 북방(北方) 민족(民族)이 차지했다. 고려(高麗)-몽골 전쟁(戰爭) 으로 철령(鐵嶺) 이북(以北)을 상실(喪失)하여 전부(全部) 원나라(元나라) 가 차지했다가, 공민왕 때에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 를 탈환(奪還)하면서 길주(吉州) 까지 회복(回復)하였고, 이후(以後) 조선(朝鮮) 초(秒)에 6진(陣) 등(等) 북방(北方) 개척(開拓)으로 두만강(豆滿江) 까지 회복(回復)했다. 명칭(名稱)의 변천(變遷)은 아래와 같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고려(高麗) [ 편집(編輯) ]

이후(以後) 후고구려 의 영역(領域)이 되었다가, 고려(高麗) 가 후삼국(後三國)을 통일(統一)하면서 남부지역(南部地域)은 고려(高麗)의 영토(領土)가 되었다. 그러나 화주(貨主)(和州 : 영흥군(永興郡) ) 북쪽(北쪽)은 여진족(女眞族) 의 땅이 되었다.

성종(成宗) 때 10도(度)를 두면서 강원도(江原道) 지역(地域)과 함께 삭방도(朔方道)(朔方道, 삭방(削榜)은 안변(安邊) 의 별호(別號)이다)가 되었다가 현종(顯宗) 때 5도(道) 양계(兩界)로 정비(整備)하면서 동계(冬季) 가 되었다. 윤관(尹瓘) 이 여진족(女眞族)을 정벌(征伐)하고 동북(東北) 9성(星) 을 쌓았으나, 얼마 후(後) 동북(東北) 9성(性)은 여진족(女眞族)에게 돌려주었다. 1258년(年) 원나라(元나라) 가 차지하고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 를 설치(設置)하면서 1356년(年) 에 공민왕(恭愍王)이 되찾을 때까지 약(約) 100년(年)동안 원나라(元나라)의 영토(領土)가 되었다. 이후(以後) 동북면(東北面)이(李) 되었고, 또 강릉삭방도(江陵朔方道)(江陵朔方道), 삭방(削榜)강릉도(朔方江陵道) 등(等)으로 불리다가 공양왕 때가 되어서야 강릉도( 강원도(江原道) )와 분리(分離)되어 별개(別個)의 행정(行政) 구역(區域)이 되었다.

조선(朝鮮) [ 편집(編輯) ]

조선(朝鮮) 시대(時代)가 되어 영토(領土)를 북쪽(北쪽)으로 회복(回復)했고, 세종(世宗) 육진(六鎭) 을 개척(開拓)하면서 지금(只今)의 함경도(咸鏡道)의 영역(領域)이 완성(完成)되었다.

태종(太宗) 13년(年)(1413년(年))에 도내(道內) 영흥부(永興府)와 길주목(注目)(吉州牧)의 이름을 따서 영길도 (永吉道)가 되었다. 조사의의(調査意義) 난(亂) 이 일어나자 1416년(年) 에 영흥(永興)을 화주목(和州牧)으로 강등(降等)하고 함주목(函注目)(咸州牧)을 함흥부로 승격(昇格)하여 감영(監營)을 함흥(咸興)으로 옮기고 함길도(咸吉道) (咸吉道)로 개칭(改稱)하였다. 세종(世宗) 때 화주목이 영흥대도호부(永興大都護府)로 승격(昇格)한 이후(以後)에도 함길도(咸吉道)라고 부르다가, 길주(吉州)에서 이시애(李施愛)의 난(亂) 이 일어나자 예종(睿宗) 원년(元年)( 1468년(年) )에 '길주목(注目)'을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降等)하고, '길주(吉州)' 대신(代身)~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머리글자(글字)'를 따서 함경도(咸鏡道) (咸鏡道)가 되었다. 성종(成宗) 1년(年)(1469년(年))에는 함흥(咸興)에서 반란군(叛亂軍)을 따라 관찰사(觀察使)를 살해(殺害)했다 하여 함흥부를 군(軍)으로 강등(降等)하고, 감영(監營)을 다시 영흥(永興)으로 옮기고 영흥(永興)과 안변(安邊)의 머리글자(머리글字)를 따서 영안도(永安道) (永安道)가 되었다. 중종(中宗) 4년(年) ( 1509년(年) )에 감영(監營)을 함흥(咸興)으로 옮기고, 함흥(咸興)을 다시 함흥부로 승격(昇格)시키고 영안도도(永安道度) 함경도(咸鏡道) 로 개칭(改稱)하였다. 이후(以後) 함경도(咸鏡道)라는 명칭(名稱)이 정착(定着)되었다.

1895년(年) 팔도(八道) 가 폐지(廢止)되고 이십삼부(二十三府) 가 설치(設置)되면서 함흥부, 갑산부(甲山部), 경성부(京城府)로 분할(分割)되어 함경도(咸鏡道)는 폐지(廢止)되었다. 1896년(年) 에 이십삼부(二十三府)가 폐지(廢止)되고 십삼도(十三道) 가 설치(設置)되면서 함흥부와 갑산부(甲山部)를 합(合)쳐 함경남도(咸鏡南道) , 경성부(京城府)는 함경북도(咸鏡北道) 가 되었다.

직제(職制) 및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경국대전(經國大典) 》에서 함경도(咸鏡道)(영안도(永安道))의 관할(管轄)로 1부(部) 1대도호부(大都護府) 11도호부(都護府) 5군(軍) 4현(絃)을 규정(規定)하고 있으며, 영안도(永安道) 관찰사(觀察使)가 영흥(永興) 부윤(府尹)을, 북도·남도 절도사(節度使)가 각각(各各) 경성(京城)과 북청(北靑) 도호부사(都護府使)를 겸임(兼任)한다고 규정(規定)하였다. 이후(以後) 《 속대전(續大典) 》에서는 함경도(咸鏡道) 관찰사(觀察使)가 함흥(咸興) 부윤(府尹)을 겸임(兼任)한다고 규정(規定)하였다.

상급(上級) 관청(官廳) [ 편집(編輯) ]

함경도(咸鏡道) 소재(所在) 상급(上級) 행정(行政) 및 군사(軍事) 관청(官廳)은 아래와 같다.

조선(朝鮮) 시대(時代) 법전(法典)에 따른 함경도(咸鏡道)의 행정(行政) 구역(區域) 직제(職制) [1]
수령(守令)과 그 품계(品階) 경국대전(經國大典) (1484) 대전통편(大典通編) (1785) 대전회통(大典會通) (1865)
부(部): 부윤(府尹)(府尹), 종(種)2품(品) 1:
  • 영흥(永興)(永興)
1:
  • 함흥(咸興)(咸興)
1:
  • 함흥(咸興)(咸興)
부(部):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都護府使), 정(情)3품(品) 1:
  • 안변(安邊)(安邊)
1:
  • 영흥(永興)(永興)
1:
  • 영흥(永興)(永興)
목: 목사(牧師)(牧使), 정(情)3품(品) ? 1:
  • 길주(吉州)(吉州)
1:
  • 길주(吉州)(吉州)
부(部): 도호부사(都護府使)(都護府使), 종(種)3품(品) 11:
  • 경성(京城)(鏡城)
  • 경원(慶源)(慶源)
  • 회령(會寧)(會寧)
  • 종성(終聲)(鍾城)
  • 온성(穩城)(穩城)
  • 경흥(慶興)(慶興)
  • 부령(富寧)(富寧)
  • 북청(北靑)(北靑)
  • 덕원(德源)(德源)
  • 정평(定評)(定平)
  • 갑산(甲山)(甲山)
16:
  • 안변(安邊)(安邊)
  • 경성(京城)(鏡城)
  • 경원(慶源)(慶源)
  • 회령(會寧)(會寧)
  • 종성(終聲)(鍾城)
  • 온성(穩城)(穩城)
  • 경흥(慶興)(慶興)
  • 부령(富寧)(富寧)
  • 북청(北靑)(北靑)
  • 덕원(德源)(德源)
  • 정평(定評)(定平)
  • 갑산(甲山)(甲山)
  • 삼수(三水)
  • 단천(端川)(端川)
  • 명천(明川)(明川)
  • 무산(霧散)(茂山)
18:
  • 안변(安邊)(安邊)
  • 경성(京城)(鏡城)
  • 경원(慶源)(慶源)
  • 회령(會寧)(會寧)
  • 종성(終聲)(鍾城)
  • 온성(穩城)(穩城)
  • 경흥(慶興)(慶興)
  • 부령(富寧)(富寧)
  • 북청(北靑)(北靑)
  • 덕원(德源)(德源)
  • 정평(定評)(定平)
  • 갑산(甲山)(甲山)
  • 삼수(三水)
  • 단천(端川)(端川)
  • 명천(明川)(明川)
  • 무산(霧散)(茂山)
  • 장진(長津)
  • 후주(後周)(厚州)
군(軍): 군수(郡守)(郡守), 종(種)4품(品) 5:
  • 삼수(三水)
  • 문천(文川)(文川)
  • 고원(高原)(高原)
  • 단천(端川)(端川)
  • 함흥(咸興)(咸興)
2:
  • 문천(文川)(文川)
  • 고원(高原)(高原)
2:
  • 문천(文川)(文川)
  • 고원(高原)(高原)
현(現): 현감(縣監)(縣監), 종(種)6품(品) 4:
  • 홍원(弘遠)(洪原)
  • 이성(異性)(利城)
  • 길성(吉星)(吉城)
  • 명천(明川)(明川)
2:
  • 홍원(弘遠)(洪原)
  • 이성(異性)(利城)
2:
  • 홍원(弘遠)(洪原)
  • 이원(利原)(利原)
비고(備考) 길성(吉星)→길주(吉州)
무산(霧散)(신설(新設))
장진·후주(신설(新設))
이성(異性)→이원(利原) 개칭(改稱)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