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한강철교(漢江鐵橋)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한강철교(漢江鐵橋)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한강철교(漢江鐵橋)
한강철교(漢江鐵橋)와 한강대교(漢江大橋)
교통시설(交通施設) 경부선(京釜線)
횡단(橫斷)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동작구(銅雀區) 용산구(龍山區) 사이의 한강(漢江)
국적(國籍)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관리(管理)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 , 한국철도시설공단
구조(救助) 와렌 트러스교
3경간(驚癎) 연속(連續) 더블 프랫(Pratt) 변단면복사재(便團面複寫再) 트러스
길이 제(第)1철도교(鐵道橋): 1,113.6m
제(第)2철도교(鐵道橋): 1,110.07m
제(第)3철도교(鐵道橋): 1,113m
제(第)4철도교(鐵道橋): 1,113m
폭(幅) 제(第)1, 2철도교(鐵道橋): 5.6m
제(第)3, 4철도교(鐵道橋): 10m
착공일(着工日) 1897년(年) 3월(月) 29일(日)
개통(開通)일 제(第)1철도교(鐵道橋): 1900년(年) 7월(月) 5일(日)
제(第)2철도교(鐵道橋): 1912년(年) 9월(月)
제(第)3철도교(鐵道橋): 1944년(年) 8월(月) 1일(日)
복구(復舊): 1957년(年) 7월(月) (제(第)3철도교(鐵道橋))
복구(復舊): 1969년(年) 6월(月) (제(第)1, 2철도교(鐵道橋))
제(第)4철도교(鐵道橋): 1994년(年) 12월(月)
폐쇄(閉鎖)일 1950년(年) 6월(月) 28일(日) (폭파(爆破))
Map
위치(位置)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동작구(銅雀區) 본동(本洞) ~ 용산구(龍山區) 이촌(二村)2동(棟)

한강철교(漢江鐵橋) (漢江鐵橋)는 한강(漢江) 의 교량(橋梁) 중(中) 최초(最初)로 건설(建設)된 교량(橋梁) [1] 으로 경부선(京釜線) , 수도권(首都圈) 전철(電鐵) 1호선(號線) 노량진역(鷺梁津驛) 용산역(龍山驛) 사이를 잇는 철교(鐵橋)이다. 1900년(年) 한강(漢江) 이남(以南)으로 노량진역(鷺梁津驛) 에서 끊겨 있던 경인선(京仁線) 용산역(龍山驛) 남대문역 (현(現) 서울역(서울驛) )까지 연장(延長)하기 위하여 건설(建設)된 철도(鐵道) 전용(專用) 교량(橋梁)이다. 수도권(首都圈) 전철(電鐵) 1호선(號線) 의 열차(列車)가 이용(利用)하는 교량(橋梁)이다.

구성(構成) [ 편집(編輯) ]

한강철교(漢江鐵橋)는 A, B, C, D선(線)의 4개(個) 교량(橋梁)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A선(線)과 B선(船)은 단선교량(單線橋梁)이며, C선(線)과 D선(船)은 복선교량(複線橋梁)이다. 상부구조(上部構造)는 용산방향(方向)의 북단(北端)은 단순(單純) 판형교(桁橋), 노량진방향(鷺梁津方向)의 남단(南端)은 트러스교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간략(簡略)한 구조(構造)도
구조(構造)도

각각(各各)의 구간(區間)을 지나는 열차(列車)는 다음과 같다.

상부구조(上部構造)는 용산방향(方向)의 북단(北端)은 단순(單純) 경간(驚癎) 20m의 강판형교(鋼板桁橋), 노량진방향(鷺梁津方向)의 남단(南端)은 트러스교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그 중(中)에서 A, B선(船)은 단순(單純) 싱글 와렌(warren) 트러스교/단순(單純) 강상로판형교(桁橋), C선(線)과 D선(船)은 3경간(驚癎) 연속(連續) 더블 프랫(Pratt) 변단면복사재(便團面複寫再) 트러스/단순(單純) 강하(降下)로판형교(桁橋)로 되어 있는데 A선, B선, C선(船)은 무도상(無挑上) 교량(橋梁), D선(船)은 유도상 교량(橋梁)이다.

대한제국(大韓帝國) 때 착공(着工)한 A, B선(線)과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말기(末期)에 개통(開通)된 C선(船)은 2006년(年) 에 후술(後述)할 대한민국(大韓民國)의 국가등록문화재(國家登錄文化財) 로 지정(指定)되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한강철교(漢江鐵橋)에서 본 한강(漢江) 강변(江邊)의 모습
한강철교(漢江鐵橋)와 여의도(汝矣島) 의 모습

개요(槪要) [ 편집(編輯) ]

처음에 정부(政府)와 정식(正式)으로 교량(橋梁) 건설(建設) 계약(契約)을 맺은 사람은 미국(美國) 인(人) 제임스 모스였다. 그는 경인철도(京仁鐵道) 부설권(敷設權)과 함께 교량(橋梁) 가설권(假說權)도 획득(獲得)하였다. 처음 계약(契約)에 따르면 보행자(步行者)의 편의(便宜)를 위하여 다리 한쪽이나 양쪽(兩쪽)에 보도(報道)를 만들어야 하며, 선박(船舶)의 운항(運航)을 위하여 개폐부(肺腑)를 만들거나 충분히(充分히) 높게 가설(架設)하도록 규정(規定)하였다.

1897년(年) 3월(月) 29일(日) 기공식(起工式)을 갖고 철도(鐵道) 공사(工事)가 시작(始作)되었으나, 곧 인력난(人力難)과 재정난(財政難)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에 더하여 일본(日本) 의 압력(壓力)으로 위협(威脅)을 느낀 모스는 철도(鐵道) 부지(敷地)의 토목(土木) 공사(工事)가 끝날 무렵 부설권(敷設權)을 일본(日本)에 넘겼다. 일본(日本)은 계약(契約)을 인수(引受)한 뒤 공사비(工事費)가 많이 든다는 핑계로 이미 계약(契約)되어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는 보도(報道) 가설계약(假說契約)을 파기(破棄)하였다. 일본(日本)은 인력난(人力難)으로 시일(時日)을 끌다가 1900년(年) 7월(月) 에야 완공(完工)되었다. 완공(完工) 당시(當時) 한강철교(漢江鐵橋)는 근대식(近代式) 토목(土木) 공사(工事)로는 가장 규모(規模)가 컸다.

한강철교(漢江鐵橋)에는 교각(橋脚)이 9개(個)였는데, 모스가 그 가운데 제(第)1, 2, 9호(號) 교각(橋脚)을 만들었으나 일본(日本)이 안전도(安全度) 검사(檢査)를 한 뒤 위험(危險)하다고 주장(主張)하며 다시 가설(架設)하였다. 모스가 만든 교량(橋梁)의 양(兩) 기둥으로 그대로 사용(使用)하였다. 철교(鐵橋)를 만들 때 들어간 재료(材料)는 철강(鐵鋼)이 1,200톤, 벽돌(甓돌)이 120만(萬) 장(腸), 시멘트가 5천(千) 포(抛), 석재(石材)가 5만(萬) 개(個) 이상(以上)이며, 상부구조(上部構造)를 이루는 철재(鐵材)는 61미터짜리로 미국산(美國産)이었다. 완성(完成)된 교량(橋梁)은 628.9미터였고, 교각(橋脚)은 위쪽을 뾰족하게 하여 장방형(長方形)으로 만들었다. 아래 둘레는 8.2미터, 폭(幅)은 2.1미터였고, 위쪽 둘레는 7.6미터, 폭(幅) 1.8미터이며, 교각(橋脚)의 수면(水面) 위 높이는 11.2미터였다. 교량(橋梁)의 상부구조(上部構造)는 하로 트러스/상로(商路) 판형교(判型校)였는데 트러스 양식(樣式)은 파커트러스 [2] 교(絞)로 추정(推定)된다.

경인선(京仁線) 및 한강철교(漢江鐵橋)가 개통(開通)되기 이전(以前)에는 서울 에서 인천(仁川) 까지 육로(陸路)로 12시간(時間), 배편(배便)으로 8시간(時間)이 걸렸으나, 완공(完工) 뒤에는 1시간(時間)에서 2시간(時間)이 걸렸다. 철교(鐵橋)는 그때까지 나루터였던 곳이었으며, 일본인(日本人)에 대(對)한 반감(反感)으로 나룻배를 계속(繼續) 이용(利用)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원래(元來) 계약(契約)에 있었던 보도(步道) 설치(設置)는 1917년(年) 인도교(人道橋) (人道橋, 현(現) 한강대교(漢江大橋) )가 가설(架設)됨으로써 이루어졌다. [1]

이어 경부선(京釜線)이 개업(開業)하고 경인선(京仁線)과 공용(共用)하는 경성(京城) - 영등포(永登浦) 구간(區間)의 복선화(複線化)를 위하여 1912년(年) 10월(月) A선(線)의 상류측(上流側)에 동일(同一)한 양식(樣式)의 교량(橋梁)을 병설(竝設)하여 B선(線)이 개통(開通)되면서 복선화(複線化)되었다. 북쪽(北쪽) 교대(敎大)는 1925년(年) 을축년(乙丑年) 대홍수(大洪水) 때 유실(遺失)되어 다시 세웠으며 이때 벽돌(甓돌)에서 콘크리트 구조(構造)로 바뀌었다.

그리고 여러 노선(路線) 개통(開通)으로 경성(京城)(서울)을 기점(起點)으로 하는 열차운행횟수(列車運行回數)의 증가(增加)와 중일전쟁(中日戰爭)과 태평양전쟁(太平洋戰爭) 등(等) 일제(日帝)의 대륙침략전쟁(大陸侵略戰爭) 가속화(加速化)로 경부선(京釜線)의 완전(完全)한 복선화(複線化)를 위(爲)해 1944년(年) 8월(月) 1일(日) A선(線)의 하류(下流) 측(側)에 A·B선(線)과 다른 트러스 양식(樣式)의 복선(伏線) 교량(橋梁)을 병설(竝設)하여 C선(線)이 개통(開通)되었다. 이를 계기(契機)로 경성(京城) - 영등포(永登浦) 구간(區間)을 공용(共用)하는 경인선(京仁線)과 경부선(京釜線)이 분리(分離)되는 형태(形態)로 2복선(複線) 구간(區間)이 탄생(誕生)하였다 [3] .

1950년(年) 6월(月) 28일(日) 한국전쟁(韓國戰爭) 으로 서울이 함락(陷落)될 위기(危機)에 처(處)하자 북한군(北韓軍)의 진격(進擊)을 막기 위해 다리를 모두 폭파(爆破)했다(한강 인도교(人道橋) 폭파(爆破)). 하지만 한강(漢江) 인도교(人道橋)(지금(只今)의 한강대교(漢江大橋))와는 달리 약간인(若干人) 파손(破損)만 입었기 때문에 북한(北韓) 육군(陸軍)이 도섭판을 깔고 T-34 전차(電車)를 영등포로 직접(直接) 투입(投入)했을 정도(程度)였다. 그러나 북한군(北韓軍)이 계속(繼續) 남진(南進)하면서 보급로(補給路)를 차단(遮斷)할 수 있는 중요(重要)한 목표물(目標物)로 지목(指目)되면서 반복적(反復的)인 폭격(爆擊)으로 많은 부분(部分)이 완파(完破)되어 교량(橋梁)으로서의 기능(機能)을 상실(喪失)했다. 한국전쟁(韓國戰爭) 당시(當時) 투하(投下)한 것으로 추정(推定)되는 불발탄(不發彈)이 40여년(餘年) 후(後) D선 교각(橋脚) 기초공사(基礎工事) 때 발견(發見)되었을 정도(程度)였다. 이후(以後) 서울을 탈환(奪還)한 다음 1951년(年) 미(美) 육군(陸軍) 공병(空甁)대인 미군(美軍) 제(第)62공병단(工兵團)에 의(依)해 A선(善)만 가복구(街復舊)했으며, 열차(列車)가 임시(臨時)로 운행(運行)하게 되었다. 전쟁(戰爭)이 끝나고 열차(列車) 운행(運行)이 증가(增加)하면서 B선(船)을 1952년(年)부터 복구(復舊)하기 시작(始作)했으며, 1957년(年) 7월(月) C선(船)을 완전복구(完全復舊)하여 복선(伏線) 운행(運行)을 다시 시작(始作)하였다 [4] .

이후(以後) 열차(列車) 운행(運行)이 증가(增加)하고 1965년(年) 경인선(京仁線) 복선화(複線化)로 C선 하나만으로는 선로용량(線路用量)이 감당(堪當)할 수 없게되어 전술(前述)한 C선(線)의 복구(復舊) 이후(以後) 방치(放置)되어 있던 A선(線)과 B선도(先導) 1969년(年) 6월(月)에 완전히(完全히) 복구(復舊)하여 서울 - 영등포간(永登浦間) 복복선(複複線)의 운행(運行)이 재개(再開)되었다. 이때 A선(線)과 B선(線)의 트러스를 전면교체(全面交替) [5] 하고, 이때 기존(旣存) 트러스는 후술(後述)할 구(區) 완도대교(莞島大橋)의 건설(建設) 등(等)으로 유용(流用)되었다.

1980년대(年代) 후반(後半)부터 경인선(京仁線)의 급속(急速)한 승객(乘客) 증가(增加)로 경인선(京仁線) 2복선화(複線化)가 시작(始作)되면서 이미 2복선화(複線化) 구간(區間)이었던 용산(龍山)-구로(九老) 구간(區間)의 3복선화(複線化)가 착수(着手)되었다. 이를 위(爲)해 A선(線)과 C선 사이 복선철교(複線鐵橋)로 C선(線)과 동일(同一)한 양식(樣式)의 D선(線)을 새로 건설(建設)하였으며 D선(線)이 1994년(年) 12월(月) 개통(開通)되어 지금(只今)의 한강철교(漢江鐵橋)가 완성(完成)되었다. 기존(旣存) A, B선(線)을 사용(使用)하는 수도권(首都圈) 전철(電鐵) 본선(本選)은 D선(線)으로 바뀌었으며 A, B선(船)은 경인선(京仁線) 2복선화(複線化)로 운행(運行)을 개시(開始)한 경인선(京仁線) 급행(急行)이 사용(使用)하게 되었다.

연혁(沿革) [ 편집(編輯) ]

문화재(文化財) 지정(指定) [ 편집(編輯) ]

한강철도교(漢江鐵道橋)
대한민국(大韓民國) 국가등록문화재(國家登錄文化財)
한강철교(漢江鐵橋)와 한강대교(漢江大橋)
지정번호(指定番號) 국가등록문화재(國家登錄文化財) 제(第)250호(號)
( 2006년(年) 6월(月) 19일(日) 지정(指定))
소재지(所在地)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용산구(龍山區) 이촌동(二村洞)
~ 동작구(銅雀區) 노량진동
제작시기(製作時期) 1900년(年) 7월(月) 5일(日)

2006년(年) 6월(月) 10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의 국가등록문화재(國家登錄文化財) 제(第)250호(號)로 지정(指定)되었다. [7]

1900년(年)에 건립(建立)된 제(第)1철도교(鐵道橋)(A선)는 우리나라 최초(最初)의 철로인(鐵路人) 경인철도(京仁鐵道) 건설시(建設時) 건립(建立)된 한강(漢江) 최초(最初)의 다리이다. 이후(以後) 1912년(年)에 제(第)2철도교(鐵道橋)(B선)가, 1944년(年)에 제(第)3철도교(鐵道橋)(C선)가 건립(建立)되었다. 규모(規模) 및 구조(構造)는 제(第)1철도교(鐵道橋)가 폭(幅) 5.6m, 길이 1,113.6m의 단순(單純) 와렌(warren) 트러스, 제(第)2철도교(鐵道橋)는 폭(幅) 5.6m,길이 1,110.07m의 단순(單純) 와렌(warren) 트러스, 제(第)3철도교(鐵道橋)는 폭(幅) 10m, 길이 1,113m의 연속(連續) 더블 와렌(warren) 트러스 구조(構造)이다. 6·25전쟁(戰爭)으로 세 교량(橋梁) 모두 폭파(爆破)된 것을 1957년(年)에 제(第)3철도교(鐵道橋)를, 1969년(年)에 제(第)1, 2철도교(鐵道橋)를 복구(復舊)하여 오늘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에 일제(日帝)의 식민지배(植民支配)와 수탈(收奪)에 이용(利用)된 현장(現場)이었다는 점(點), 6·25 전란(戰亂)의 고난(苦難)을 상징(象徵)하는 점(點) 그리고 산업(産業)·경제발전(經濟發展)과 교통혁명(交通革命)의 상징(象徵)이라는 점(點)에서 의미(意味)가 있는 시설물(施設物)로 역사적(歷史的), 건설사적(建設私的), 교량사적(橋梁私的) 가치(價値)가 있다.

기타 [ 편집(編輯) ]

1969년(年) 제(第)1, 2철도교(鐵道橋)를 복구(復舊)하면서 기존(旣存) 트러스 구조물(構造物)을 전면(全面) 교체(交替)하였는데, 이 중(中) 일부(一部)는 전라남도(全羅南道) 완도대교(莞島大橋) 가설(架設) 공사(工事)에 사용(使用)되었다. 이렇게 가설(假設)된 완도대교(莞島大橋) 는 한강철교(漢江鐵橋)를 꼭 빼닮은 모양(模樣)으로 1968년(年) 에 개통(開通)되어 완도군(莞島郡) 교통(交通)의 중심(中心) 역할(役割)을 하였다. 이후(以後) 1985년(年) 까지 사용(使用)되다가 2012년(年) 신완도대교(新莞島大橋) 개통(開通)으로 철거(撤去)되었다. [8]

참고(參考) 서적(書籍) [ 편집(編輯) ]

  • 《서울 구로간(歐露間) 3복선(複線) 전철건설지(電鐵建設地)》, 철도청(鐵道廳), 1996년(年)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김은신 (1995년(年) 11월(月) 1일(日)). 《이것이 한국(韓國) 최초(最初)》. 삼문(三門). 279~282쪽. ISBN   978-89-85407-35-9 .  
  2. 경의선(京義線)의 대동강철교(大同江鐵橋)와 압록강철교(鴨綠江鐵橋) 구(區) 교량(橋梁)도 같은 양식(樣式)이다.
  3. 이때 해당(該當) 구간(區間)의 경부본선(京釜本選)이 경부(京釜)1선(線), 경인선(京仁線)이 경부(京釜)2선(線)으로 분리(分離)된 것으로 추정(推定)
  4. 다만 이시점(時點)에서 열차운행(列車運行)은 C선(線)이 담당(擔當)하고 A, B선(船)은 1965년(年) 경인선(京仁線) 복선화(複線化)에 따른 완전(完全) 복구(復舊)까지 사용(使用)이 보류(保留)된 것으로 보인다.
  5. 현재(現在)의 와렌트러스 양식(樣式)은 이때부터 등장(登場)하였다.
  6. “架橋竣工式” . 황성신문(皇城新聞). 1900년(年) 7월(月) 4일(日) . 2021년(年) 1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7. 문화재청고시제(文化財廳考試制)2006-58호(號), 《문화재(文化財) 등록(登錄)》, 문화재청장(文化財廳長), 대한민국(大韓民國) 관보(官報) 제(第)16277호(號), 2006-06-19
  8. 舊 완도대교(莞島大橋) 역사(歷史)속으로 묻힌다 , 시민일보(市民一步), 2010년(年) 9월(月) 19일(日) 작성(作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