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한강대로(漢江大路)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한강대로(漢江大路)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도
21
시도 제21호선
서울역과 한강대로 (서울로 7017에서 촬영, 2017)
서울역(서울驛) 과 한강대로(漢江大路) ( 서울로(서울路) 7017 에서 촬영(撮影), 2017)
한강대로(漢江大路)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도 제(第)21호선(號線) 의 일부(一部) (안내용(案內容))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도 제(第)22호선(號線) 의 일부(一部) (관리용(管理用))
총연장(總延長) 4.2 km
기점(起點)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용산구(龍山區) 이촌동(二村洞)
한강대교북단교차로(漢江大橋北端交叉路)
주요(主要)
경유지(經由地)
용산역(龍山驛)
신용산역(信用山役)
삼각지역(三角地域)
숙대입구역(入口驛)
서울역(서울驛)
종점(終點)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中區) 남대문로5가(街)
서울역(서울驛)
주요(主要)
교차도로(交叉道路)
양녕로
이촌(二村)로
서빙고(西氷庫)로
새창(새腸)로
백범(白凡)로
이태원로(路)
두텁바위로
후암로
퇴계로(退溪路)
통일(統一)로

한강대로(漢江大路) (漢江大路)는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용산구(龍山區) 한강대교(漢江大橋) 북단사거리(北端四거리)에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中區) 서울역(서울驛) 까지를 잇는 총(總) 연장(延長) 4.2 km, 왕복(往復) 10차로(車路)의 도로(道路)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 1966년(年) 11월(月) 26일(日) : ‘서울역(서울驛)(중구(中區) 동자동 43-1)~제(第)1한강교(용산구 한강로3가(街) 65)’ 구간(區間)을 한강로 (漢江路)로 지정(指定) [1]
  • 1981년(年)  : 한강로의 기점(起點)을 용산역(龍山驛) 사거리(四거리)에서 한강대교(漢江大橋) 북단사거리(北端四거리)로 연장(延長)
  • 1984년(年)  : 한강로의 기점(起點)을 다시 한강대교(漢江大橋) 남단사거리(南端四거리)로 연장(延長)
  • 2010년(年)  : 도로(道路) 명칭(名稱)을 한강대로(漢江大路) 로 변경(變更) 및 기점(起點)을 한강대교(漢江大橋) 북단사거리(北端四거리)로 단축(短縮)

노선(路線) [ 편집(編輯) ]

지점(支店) 접속(接續) 노선(路線) 소재지(所在地) 비고(備考)
양녕로 와 직결(直結)
한강대교(漢江大橋) 북단(北端) 용산구(龍山區) 이촌동(二村洞)
한강대교북단교차로(漢江大橋北端交叉路) 강변북로(江邊北路)
이촌(二村)로
용산역(龍山驛) 서빙고(西氷庫)로 , 한강대로(漢江大路)23길 한강로2가(街)
용산역사거리(龍山驛射距離) 한강대로(漢江大路)29길, 한강대로(漢江大路)30길
전자상가입구교차로(電子商街入口交叉路)
신용산역(信用山役)
새창(새腸)로
용산우체국(郵遞局) 삼거리(三거리) 한강대로(漢江大路)38길
삼각지역(三角地域) 사거리(射距離) 백범(白凡)로 , 이태원로(路) 한강로1가(街)
남영삼거리(三거리) 한강대로(漢江大路)77길 갈월동
숙대입구역(入口驛) 사거리(射距離) 두텁바위로
후암로 동자동
서울역(서울驛) 사거리(射距離) 통일(統一)로
퇴계로(退溪路)
중구(中區) 남대문로 5가(街)
세종대로(世宗大路) 와 직결(直結)

버스 중앙(中央) 전용(專用) 차로제(車路制)와 공사계획(工事計劃) [ 편집(編輯) ]

'한강대교북단(漢江大橋北端)' 버스정류장(停留場)
  • 현재(現在) 버스 중앙(中央) 전용(專用) 차로제(車路制)가 시행(施行)되고 있는 곳은 한강대교(漢江大橋) 북단(北端) 사거리(四거리)에서 갈월동 으로 3.5 km구간(區間)이고, 한강대교(漢江大橋) 북단(北段)에서부터 한강대교북단(漢江大橋北端)(양방향(兩方向)), 신용산역(信用山役) 지하철(地下鐵)4호선(號線)(양방향(兩方向)), KT용산지사(龍山知事)(양방향(兩方向)), 삼각지역(三角地域) 지하철(地下鐵) 4, 6호선(號線) 환승역(換乘驛)(양방향(兩方向)), 숙대입구역(入口驛) 지하철(地下鐵)4호선(號線)(양방향(兩方向)), 갈월동(한강대교방향(漢江大橋方向)), 갈월동(서울역(서울驛))(시청방향(市廳方向)) 등(等)의 중앙정류소(中央停留所)가 있고 전구간(全區間)에 추월차로(追越車路)가 없다.
  • 서울역고가도로(서울驛高架道路) 는 안전상(安全上)의 이유(理由)로 철거(撤去), 재건축(再建築)하여 2017년(年)에 서울로(서울路) 7017 로 재개장(再開場)하였다. 또한 서울역(서울驛) 앞에 버스 환승(換乘)센터 가 2009년(年) 7월(月) 25일(日) 개통(開通)하였다. 이곳에는 방향별(方向別) 4개(個)의 중앙차(中央差)로 정류소(停留所)와 1개(個)의 가로변(街路邊) 정류소(停留所) 택시 승하차(乘下車) 승강장(乘降場) 등(等)이 있고, 환승(換乘)센터 중간(中間)에 지하철(地下鐵) 1, 4호선(號線)과 연결(連結)되는 통로(通路)도 갖추어졌다. [2]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