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學校) 2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학교(學校) 2
장르 교육(敎育)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한국방송공사
방송(放送) 기간(期間) 1999년(年) 5월(月) 8일(日) ~ 2000년(年) 2월(月) 27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2TV 토요일(土曜日) 오후(午後) 7시(時) : 1회(回) ~ 24회(回),
1TV 일요일(日曜日) 오후(午後) 7시(時) 10분(分): 25회(回) ~ 42회(回)
방송(放送) 횟수(回數) 42부작(部作) + 스페셜 1부작(部作)
기획(企劃) 엄기백 김종식 (총괄(總括)프로듀서)
책임(責任)프로듀서 윤흥식 이녹영 (KBS 드라마운영(運營)팀)
제작사(製作社) KBS 드라마본부(本部)
연출(演出) 박찬홍 , 한준서 , 고영탁 , 이강현
조연출(助演出) 함영훈
각본(脚本) 이향희 , 진수완 , 김지우 , 구(舊)선경 , 김윤영
출연자(出演者) 김래원 , 기태영 , 김민주 , 추(錘)소영 , 재희 ,
김흥수 , 황윤미, 고호경 , 김민희 , 하지원 ,
명계남 , 박광정 , 이창훈 , 양정아 외(外)
여는 곡(曲) PUNCH의 〈비상(非常)〉
전편(前篇) 학교(學校)
후편(後篇) 학교(學校) 3
외부(外部) 링크  KBS 학교(學校)2 공식(公式) 홈페이지

학교(學校) 2 》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KBS 에서 1999년(年) 5월(月) 8일(日) 부터 2000년(年) 2월(月) 27일(日) 까지 방영(放映)한 교육(敎育) 드라마이다. 동광고등학교(銅鑛高等學校)를 배경(背景)으로 교육(敎育) 현장(現場)에서 아이들이 가르치는 교사(敎師)들과, 영화(映畫) 동아리 ‘채플린’의 아이들과 그 반(班) 친구(親舊)들이 학생(學生)으로서 겪는 방황(彷徨)과 고민(苦悶) 등(等) 학교(學校) 현장(現場)을 생생하게 그린 교육(敎育) 드라마이다.

월화(月火)드라마 《 학교(學校) 》종영(終映) 이후(以後), 수(數) 많은 시청자(視聽者)들의 계속적(繼續的)인 요청(要請)에 따라 지상파(地上波) 3사(社) 드라마 중(中) 최초(最初)로 시즌제(制)로 도입(導入)하여, 《 학교(學校) 3 》, 《 학교(學校) 4 》 등(等)으로 이어지다가 한동안 맥(脈)이 끊겼으나, 2012년(年) 《 학교(學校) 2013 》으로 시리즈가 부활(復活)하여 2015년(年) 《 후아유: 학교(學校) 2015 》로 이어진 시즌제(制) 교육(敎育) 드라마로 꼽혔다. 그리고 《학교(學校)》 제(第)33회(回) 〈어느 날 심장(心臟)이 말했다〉( 1999년(年) 12월(月) 19일(日) 방송분(放送分))의 대본(臺本)은 대한민국(大韓民國) 7차(次) 교육과정(敎育課程) 의 《 고등학교(高等學校) 국어(國語) (하(下))》 교과서(敎科書) 에 그 일부(一部)가 게재(揭載)되기도 하였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학생(學生) 역(役) [ 편집(編輯) ]

농구부(籠球部) 출신(出身)으로 특례대상(特例對象)이었으나, 십자인대(十字靭帶) 파열(破裂) 및 손상(損傷)으로 인(因)해 꿈을 접게 된 학생(學生). 초반(初盤)에 어두운 생활(生活)을 하다가 반학생(班學生)들의 도움으로 양지(陽地)로 나오게 된다.
  • 김용우 (기태영) - 유신화 역(驛). 채플린
철학자(哲學者)라는 별명(別名)을 가진 2학년(學年) 5반(班)&채플린의 해결사(解決士). 이름과 별칭(別稱)답게 '신화(神話)'의 '해결사(解決士)'가 제일(第一) 좋아하는 노래이다. 반장(班長) 지민(智旻)의 숨어있는 도우미이며, 항상(恒常) 반(班)에 문제(問題)가 생기는 토론(討論)이면 빠지지 않고 의견(意見)을 내세우는 성격(性格)이다.
2학년(學年) 5반(班)의 반장(班長)&채플린의 수장(首長). 성적(成跡)은 하위권(下位圈)이지만 책임감(責任感), 의리(義理)만큼은 그누구에게도 뒤쳐지지 않는다. 남자(男子)다운 성격(性格)이 콤플렉스이며, 추후(追後) 태훈에게 본인(本人)도 모르는 호감(好感)을 가지게 된다.
장동건을 100트럭을 준다해도 트럭만 받을 정도(程度)의 얼음공주(公主). 친구(親舊)들의 고민(苦悶)을 잘 들어주는 해결사(解決士)이며, 사실상(事實上) 여자(女子) 유신화 급(級)이다. 성적(成跡)도 우수(優秀)한 모범생(模範生)이다.
  • 이현균 (재희) - 이성제 역(驛). 채플린 (~27회(回))
학생회장(學生會長). 고아원(孤兒院)에서 살고 있으며, 자신(自身)은 어려운 처지(處地)에 있지만, 오히려 기죽지 않고 남들에게 지지 않으려 하는 대인(對人)배의 성격(性格)을 지니고 있다. 추후(追後) 외삼촌(外三寸)의 등장(登場)으로 전학(轉學)을 가게 된다.
학생부장(學生部長) 박광도의 아들. 친구(親舊)들이 아버지 박광도 욕(辱)을 하면, 간접적(間接的)으로 그만하라고 다그친다. 심지어(甚至於) 용구(用具)가 박광도 때문에 아내(즉(卽) 흥수(興首)의 엄마)가 세상(世上)을 떴다는 발언(發言)에 빡친(親) 나머지 용구(用具)에게 주먹을 날렸고, 이에 박광도는 몰래 용구(用具)의 치료비(治療費)를 계산(計算)한다. 컴퓨터에 일가견(一家見)이 있다.
연예인(演藝人)이 꿈인 공주병(公主病) 학생(學生). 하루빨리 연예인(演藝人)이 될 날만 꿈꾸고 있다.
엉뚱한 생각을 가진 깜찍한 학생(學生). 친구(親舊)들의 농담(弄談)을 진지(眞摯)하게 들어서 어리버리하다는 생각을 가지게 하지만 그 어리버리로 친구(親舊)들이 좋아하는 성격(性格)을 가지고 있다.
  • 김민희 - 신혜원(辛蕙園) 역(驛) (~24회(回))
초반(初盤) 이한(離韓)과 함께 어두운 과거생활(過去生活)을 하다가 극복(克服)한다. 즉(卽), 일진생활(一陣生活)을 했으나, 신화(神話)의 도움으로 일진(日辰)에서 탈퇴(脫退)한다. 이후(以後) 신화(神話)에게 호감(好感)을 가지게 되나, 전학(轉學)을 가게된다.
초반(初盤)엔 혜원의 꼬붕이었으나, 혜원(慧遠)이 일진(日辰)에서 탈퇴(脫退)를 하며 본인(本人)이 일진(一陣)으로 등극(登極)하고, 오히려 혜원(蕙園)을 괴롭히게 되지만, 혜원(慧遠)이 이를 도와준다. 혜원의 전학(轉學)으로 다시 일진(一陣)으로 복귀(復歸)했었지만, 전입생(轉入生) 연진(煙塵)의 도움으로 다시 양지생활(陽地生活)을 하게 된다.
  • 고동현 - 고동일 역(驛). 제우스→채플린
초반(初盤)에는 제우스 일원(一員)이지만 사실상(事實上) 따돌림을 당(當)하는 왕따(王따)다. 신화(神話)의 도움으로 제우스에서 탈퇴(脫退)하고, 영화(映畫)에 관심(關心)이 많았던 탓에 신화(神話)와 지민(智旻)의 건의(建議)로 채플린으로 들어온다. 꿈은 수의사(獸醫師)이며, 방학(放學)이 되면 동물병원(動物病院)에서 교육(敎育) 겸(兼) 아르바이트를 한다.
2학년(學年) 5반(班)의 분위기(雰圍氣)메이커 겸(兼) 정보통(情報通). 사실(事實) 유언비어(流言蜚語)의 정보(情報)가 많지만 쉽게 미워할수가 없는 캐릭터이다. 호기심(好奇心)에 피워본 담배를 피웠으나, 하필(何必)이면 장학사(奬學士)(심양홍)에게 2번(番) 들키며, 교감(校監)의 명령(命令)으로 금연반장(禁煙班長)이 되며 그후(後)로 담배를 혐오(嫌惡)하게 된다. 연진(煙塵)을 짝사랑한다.
제우스 리더. 신화(神話) 못지 않은 두뇌(頭腦)를 가지고 있지만, 신화(神話)와 다르게 반친구(半親舊)들에게 공감(共感)을 사지 못한다. 어릴때부터 본인(本人)은 남들과 다르다고 세뇌교육(洗腦敎育)을 받아왔으며, 불량배(不良輩)들의 협박(脅迫)에도 겁먹지 않는 깡도 가지고 있다.(신화의 별명(別名)이 철학자(哲學者)&해결사(解決士)라면 태훈의 별명(別名)은 황태자(皇太子))
  • 권지혜 - 서희진 역(役)
혜원(蕙園), 세진에 가려진 날라리. 밤만되면 락카페를 즐기며 땡땡이가 잦다. 추후(追後) 세진은 양지(陽地)로 나오지만 희진은 마지막회(回)까지도 삐뚤어진 역할(役割)로만 나온다.
태훈과 가장 친(親)한친구. 태훈과는 어릴적부터 친구(親舊)이며, 태훈의 생각은 바로 읽고있다.
  • 한아영 - 한아영 역(役)
희진과 가장 친(親)한친구. 희진과 함께 땡땡이를 치는 친구(親舊)이다.
  • 박준경 - 박준경 역(驛)
여학생(女學生)이지만 털털한 성격(性格)의 소유자(所有者). 흥수(興首)를 짝사랑한다.
혜원(慧遠)이 전학(轉學)가고 후반부(後半部)부터 등장(登場)한 전입생(轉入生). 부잣집(富者집) 딸이며 태훈, 형주와는 어릴적부터 친구(親舊)이고 세진을 양지생활(陽地生活)로 나오게 하는 일등공신(一等功臣)이다. 어머님이 안계시지만 떳떳하게 생활(生活)하는 학생(學生)이다.
어두운 생활(生活)을 하다가 마음을 잡고 복학(復學)한 복학생(復學生). 추후(追後)에 기초(基礎)를 다시 잡겠다며 1년(年) 더 유급(留級)하고, 유미의 삼촌(三寸) 편의점(便宜店)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 토모(土毛)(오카베 토모(土毛)아키) - 유진 역(驛) (33회(回)~)
미국(美國)에서 살다가 전입(轉入)온 학생(學生). 아이큐측정(測定)이 불가능(不可能)할 정도(程度)(뇌(腦)를 숫자(數字)로 평가(評價)하는게 고까워서 백지(白紙)로 냈다는 일화(逸話)도 있음)의 수재(秀才)이며, 우연히(偶然히) 약수터(藥水터)에서 광도(光度)와 흥수(興首)의 관계(關係)를 발견(發見)하며, 토라졌던 둘의 사이를 화해(和解)하게 하기도 한다. 정연을 짝사랑한다.

교사(敎師) 역(役) [ 편집(編輯) ]

시즌1 그대로 등장(登場)
  • 박광정 - 학생주임(學生主任)&영어교사(英語敎師) 박광도 역(驛)/흥수(興首) 아버지
시즌1 학생주임(學生主任)이었던 양동철( 강석우 )에 이은 2대(代) 학생주임(學生主任). 학교(學校)에서는 학생(學生)들을 쥐잡듯 잡는 학생주임(學生主任)이지만 집에선 흥수(興首)의 자상(仔詳)한 아버지이다.
  • 이창훈 - 영어교사(英語敎師) 이재하 역(驛) (~24회(回))/담임(擔任)
시즌1 그대로 등장(登場). 본인(本人)이 원(願)하던 유학(留學)에 합격(合格)하며 학교(學校)를 떠난다.
  • 양정아 - 국어교사(國語敎師) 나민주 역(役) (~24회(回))
시즌1 국어선생(國語先生)이었던 차현주( 염정아 )의 퇴직(退職)으로 들어온 국어선생(國語先生). 학생(學生)들의 의견(意見)을 가장 귀기울여 듣는 선생(先生)이다.
  • 최용민 - 사회교사(社會敎師) 노(老)일평 역(驛)
시즌1 그대로 등장(登場). 편애(偏愛)가 심(甚)해 편애대장(偏愛大將)이라는 별명(別名)이 있다.
  • 이혜숙 - 수학교사(數學敎師) 윤유란 역(驛)
시즌1 그대로 등장(登場).
  • 서갑숙 - 음악교사(音樂敎師) 나정희 역(驛) (~25회(回))
시즌1 그대로 등장(登場). 단(但) 시즌1에선 전공(專攻)이 가정(家庭)으로 나오나, 시즌2에서는 음악(音樂)으로 전공(專攻)이 바뀌는 컨셉이다.
  • 이한위 - 체육교사(體育敎師) 박복만 역(驛)
시즌1 그대로 등장(登場). 시즌1에선 학생(學生)들에게 그닥 주목(注目)을 받지 못하는듯 하지만 시즌2에서는 학생(學生)들 의견(意見)을 잘 들어주는 선생(先生)이다.
  • 조재현 - 국어교사(國語敎師) 조재현 역(驛) (25회(回)~)/담임(擔任)
초반(初盤)에 체육교사(體育敎師)같이 운동장(運動場)에서 시키지도 않는 운동(運動)을 해서 성격(性格)이 까칠할것같다는 오해(誤解)를 받지만, 추후(追後) 무늬만 다른 이재하 선생(先生)이라는 칭호(稱號)를 받게 된다. 전임(前任) 담임(擔任)인 이재하 만큼이나 학생(學生)들을 잘 달래는 선생(先生)인데 해당(該當) 작품(作品)이 25회(回)(99년(年) 10월(月) 24일(日))부터 1TV 일요일(日曜日) 오후(午後) 7시(時) 10분(分)으로 옮겨가면서 해당(該當) 작품(作品) 종영(終映) 뒤 1999년(年) 11월(月) 20일(日) 시작(始作)된 2TV 주말극(週末劇) 《 사랑하세요? 》에 연(連)달아 출연(出演)하여 [1] "시청자(視聽者)들에게 이미지 혼란(混亂)을 준다"는 혹평(酷評)을 받아왔으며 시즌 3에서도 출연(出演)했으나 SBS 수목(水木) 미니시리즈 《 줄리엣의 남자(男子) 》에 캐스팅되면서 [2] 자신(自身)이 가정교사(家庭敎師)로 있었을 때 제자(弟子)였던 서준희(이주(移住)랑 분(分))와 사랑하는 사이가 되는 사실(事實)이 알려져 학교(學校)를 떠나는 형식(形式)으로 16회(回)(2000년(年) 6월(月) 25일(日))를 끝으로 빠졌다.
  • 박주미 - 윤리교사(倫理敎師) 김정인 역(驛) (25회(回)~)
전공(專攻)은 다르지만 나민주와 비슷한 역할(役割)이며 시즌 3에서도 출연(出演)했으나 MBC 월화극(月火劇) 《 아줌마 》에 캐스팅되어 [3] 공부(工夫)를 더 해본다며 학교(學校)를 떠난다는 형식(形式)을 통해 11회(回)(2000년(年) 5월(月) 14일(日))를 끝으로 빠졌다.

그 외(外) 인물(人物)(게스트) [ 편집(編輯) ]

  • 심양홍 - 장학사(奬學士) 역(驛)
  • 김준희 - 3짱 역(驛)
  • 안해숙 - 4회(回), 23회(回), 40회(回). 태훈의 어머니 역(役)
  • 오태경 - 7회(回). 신화(神話)의 남동생(男동생) 역(役)(아역(兒役): 곽정욱 )
  • 허충호 - 8회(回). 철호 역(驛)
  • 박현정 (정시아) - 10회(回). 이수미 역(驛). 일진회(一進會) 탈퇴(脫退)하려는 학생(學生)
  • 수애(水涯) - 10회(回). 초반(初盤) 이수미(정시아)를 괴롭히는 단역(端役)
  • 조현숙 - 11회(回). 나민주 선생님(先生님)의 친구(親舊) 역(役). 혜원(慧遠)이 봉사활동(奉仕活動)을 하는 학교폭력상담소(學校暴力相談所) 간사(幹事)
  • 이서우 - 12회(回). 김성태(金聖泰) 역(驛). 교감(交感) 찾아온 제자(弟子)
  • 강소정 - 17회(回). 김고은 역(驛). 정연의 친구(親舊)로 옥상(屋上)에서 뛰어내려 자살(自殺)한 학생(學生)
  • 남윤정 - 17회(回). 고은의 어머니 역(役)
  • 김하균 - 17회(回). 고은의 자살사건(自殺事件)을 수사(搜査)하는 형사(刑事) 역(役)
  • 이용태 - 17회(回). 고은의 자살사건(自殺事件)을 수사(搜査)하는 형사(刑事) 역(役)
  • 양재원 - 17회(回). 레코드점(店) 주인(主人) 역(役)
  • 김현성 - 17회(回). 고은이 수면제(睡眠劑)를 사는 약국(藥局) 약사(藥師) 역(驛)
  • 한인수 - 18회(回). 우선생(于先生) 역(驛). 야학(夜學)에서 학생(學生)들 가르치는 재하(在荷)의 옛 스승
  • 강미(强䖹) (강옥순) - 18회(回). 희진의 어머니 역(役)
  • 김정은(金正恩) - 19회(回). 장세진의 친구(親舊). 윤경 역(驛)
  • 정찬(正餐) - 20회(回). 민영훈 역(驛). 임시(臨時) 음악교사(音樂敎師)
  • 최낙천 - 21회(回). 교감(校監)의 친구(親舊) 역(役)
  • 홍석천 - 21회(回). 중국집(中國집) 배달부(配達夫) 역(役)
  • 천정명 - 21회(回). 영화반(映畫班)에서 캠코더를 빌려가는 사진반(寫眞班) 학생(學生)인 단역(端役)
  • 류현경 - 22회(回). 이은주 역(役). 적응(適應)을 못해서 여러 학교(學校)로 전학(轉學)을 다녔으며 지민(智旻)에게 집착(執着)을 보이는 학생(學生) 역(役)
  • 이숙 - 22회(回). 은주의 어머니 역(役)
  • 마정무(政務) - 23회(回). 어린 태훈 역(驛)
  • 성인규 - 23회(回). 어린 형주 역(驛)
  • 전유경 - 1회(回) ~ 24회(回). 유경 역(驛)
  • 신동훈 - 24회(回), 29회(回). 세진의 아버지 역(驛)
  • 곽정희 - 24회(回), 29회(回). 세진의 어머니 역(役)
  • 강신조 - 25회(回). 동일(同一)이가 교통사고(交通事故)로 다친 강아지를 맡긴 동물병원(動物病院)의 수의사(獸醫師) 역(役)
  • 이영후 - 27회(回). 연진(煙塵)의 아버지 역(驛)
  • 서영진 - 27회(回). 성제(聖祭)를 찾아온 외삼촌(外三寸) 역(驛)
  • 오승윤 - 27회(回). 천사원(天使院) 아이 역(役). 성제와 같이 지내는 동생
  • 이주석 - 28회(回). 휘영 역(驛). 신화(神話)의 친구(親舊)로 애니메이션을 좋아하고 학교(學校)를 자퇴(自退)한 학생(學生)
  • 한소현 - 29회(回). 1일진(一陣) 역(驛)
  • 송승현 - 29회(回). 정아 역(驛). 세진의 친구(親舊)
  • 곽상호 - 29회(回). 상호(相互) 역(逆)
  • 최승일 - 29회(回). 승일(乘馹) 역(驛)
  • 이영재 - 31회(回). 지민(地民)이 사진(寫眞) 찍으려 간 사진관(寫眞館) 사진사(寫眞師) 역(驛)
  • 장수혜(腸受惠) - 31회(回). 유나 역(役). 지민(地民)이 보낸 편지(便紙)를 태훈에게 주는 아이
  • 이병욱 - 32회(回). 강산(江山)이 다니는 체육관(體育館)의 권투선수(拳鬪選手) 역(役)
  • 정인선 - 32회(回). 봄이 역(驛). 강산의 동생
  • 장순국 - 32회(回). 경찰(警察) 역(役)
  • 이규준 - 32회(回). 주유소(注油所) 직원(職員) 역(驛)
  • 장영주 - 32회(回). 복지관(福祉館)에서 봉사(奉仕)하는 아줌마 역(驛)
  • 문영미 - 33회(回), 41회(回). 용구(用具)의 어머니 역(役)
  • 양현태 - 34회(回), 학생회장(學生會長) 역(驛).
  • 이정우 - 35회(回). 영서(嶺西) 역(驛). 중도실명(中道失明) 시각장애인(視覺障礙人)
  • 구본영 - 35회(回). 도서관(圖書館) 직원(職員) 역(驛)
  • 박소정 - 36회(回). 김시연 역(驛). 연진(煙塵)의 친구(親舊)로 죽은 학생(學生)
  • 고은아 - 38회(回). 정소진 역(驛). 정연의 친구(親舊)로 임신(妊娠)한 학생(學生)
  • 정재순 - 38회(回). 정연의 어머니 역(役)
  • 박태진 - 38회(回). 준형 역(驛). 소진(蘇秦)의 남자친구(男子親舊)
  • 김해숙 - 39회(回). 소진(蘇秦)의 어머니 역(役)
  • 손무(孫武) - 40회(回). 창수 역(驛). 강산(江山)이 이웃에 사는 학생(學生). 용구(用具)에게 돈뜯는 일당(一黨) 중(中) 한명(名)
  • 이원종 - 40회(回). 창수의 아버지 역(驛)
  • 이원영(李源榮) - 40회(回). 용구(用具)에게 돈뜯는 남자(男子) 역(役)
  • 박유승 - 40회(回). 태훈이네 집 운전기사(運轉技士) 역(役)
  • 구자미 - 40회(回). 백화점(百貨店) 스포츠웨어점(點) 직원(職員) 역(驛)
  • 안성민 - 42회(回). 최세영 역(役). 연진(硏眞)이 세진에게 소개시켜 준 사진작가(寫眞作家)
  • 박준희 : 3회(回).
  • 임재욱 ( 포지션 ) : 36회(回). 본인(本人) 역(驛)
  • 김은성 : 36회(回). 아나운서. 본인(本人) 역(驛)
  • 강신조

방영(放映) 목록(目錄) [ 편집(編輯) ]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이모저모 [ 편집(編輯) ]

  • 총(總) 42회(回)에 걸쳐 방영(放映)되었으며, 학교(學校)2를 총정리(總整理)한 명장면(名場面) 특집(特輯)이 방영(放映)되었다.
  • 당시(當時) 이 드라마에 출연중(出演中)이던 배우(俳優) 서갑숙 은, 자신(自身)의 성(性) 경험(經驗)을 담은 저서(著書) 《나도 때론 포르노그라피의 주인공(主人公)이고 싶다》를 드라마 방영(放映) 기간(期間)에 출판(出版)하여 물의(物議)를 빚는 바람에 중도(中途) 하차(下車)해야 했다. [4]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김기철 김진평 (1999년(年) 12월(月) 14일(日)). ““깡패역(깡牌役)? 제 연기(演技)의 일부(一部)일 뿐이죠”” . 조선일보(朝鮮日報) . 2022년(年) 6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2. 김형호 (2000년(年) 9월(月) 29일(日)). “[스타데이트] '탤런트 조재현' .. "저를 우습게만 보지 마세요 " . 한국경제(韓國經濟) . 2022년(年) 6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손정인 (2000년(年) 8월(月) 24일(日)). “《방송가(放送街)》... 21세기(世紀) 가정(家庭) 패러다임 제시(提示)” . 국제신문(國際新聞) . 2022년(年) 6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4. 박구재 기자(記者) (1999년(年) 10월(月) 23일(日)). “자신(自身)의 성적(性的) 체험(體驗) 공개(公開) 탤런트 서갑숙 책(冊) 물의(物議) 방송사(放送社), 출연(出演)프로서 제외(除外)” . 경향신문(京鄕新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