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하프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하프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하프
중세 하프 (왼쪽)와 현대 페달 하프
중세(中世) 하프 (왼쪽)와 현대(現代) 페달 하프
중세(中世) 하프 (왼쪽)와 현대(現代) 페달 하프
현악기(絃樂器)
호른보스텔
작스 분류(分類)
322-5
( 퉁겨서 소리 내는 현명악기(絃鳴樂器) )
발전(發展) 고대(古代)
음역(音域)
(현대 페달 하프)
관련(關聯) 악기(樂器)
거리의 하피스트.( 퀘벡 시(時) )

하프 ( 영어(英語) : harp )는 많은 수(數)의 현(玄)을 가진 발현악기(撥絃樂器) 이다. 현(玄)의 수효(數爻)나 구조(救助)는 종류(種類)에 따라 다르다. 현재(現在) 가장 일반적(一般的)으로 쓰이고 있는 것은 페달로 반음(半音) 조작(造作)을 할 수 있는 페달 하프이며, 이 밖에도 후크로 현(玄)의 음높이(音높이)를 바꾸는 아이리시 하프가 있다. 페달 하프는 보통(普通) 현(縣)의 수(數)가 47줄이고, 한 옥타브에 7줄씩으로 온음계적(온音階敵)으로 조율(調律)이 된다. 페달은 7개(個)가 있으며 1개(個)의 페달은 모든 옥타브에 걸쳐 같은 음(音)에 작용(作用)한다. 페달이 가장 위에 있을 때는 현(玄)은 가장 길어져 개방상태(開放狀態)에 있고, 페달을 밟아 중앙(中央)까지 내리면 현(玄)은 짧아져 반음(半音) 올라간다. 다시 페달을 밟아 아래까지 내리면 현(玄)은 더욱 짧아져 다시 반음(半音)이 올라간다. 이와 같이 페달을 두 번(番) 밟을 수 있는 반음조작(半陰造作)을 더블 액션 시스템이라고 한다. 이 더블 액션 시스템으로 근대(近代)의 하프는 많은 연주상(演奏上)의 자유(自由)를 획득(獲得)하였으나 페달 조작(造作)의 편의(便宜) 때문에 악보(樂譜)는 항상(恒常) 임시기호(臨時記號)가 많은 것이 되었다. 따라서 보통(普通) 하프의 개방현(開放絃)은 내림다조로 조율(調律)된다. 음넓이(音넓이)는 다1음(陰)으로부터 마4음까지이다. [1]

하프는 현(玄)을 타는 데 양손(兩손)의 손가락이 쓰이며 좌우(左右) 각각(各各) 새끼손가락을 뺀 4개(個)의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연주한다. 하프 주자(朱子)의 효과(效果)를 발휘(發揮)하는 주법(州法)으로 멜로디를 연주(演奏)하기보다는 화음(和音)이나 아르페지오 또는 글리산도를 연주할 수 있다. 또 특별한 주법(走法)으로 많이 쓰이는 것은 현(玄)의 반(半) 가량(假量)을 손바닥으로 누르고 연주하는 하모닉스( 영어(英語) : Harmonics )이다. 하프의 역사(歷史)는 일찍이 수렵시대(狩獵時代)에 사냥꾼의 활에서 고안(考案)된 것이라 하며 앞기둥이 있는 3각형(角形)의 하프가 발달(發達)한 것은 중세(中世)에 들어서부터이며, 특히(特히) 아일랜드의 아이리시 하프는 앞기둥, 줄감개집, 울림통(울림筒)의 3가지가 갖추어진 악기(樂器)로서 널리 유럽에서 쓰였다. 그러나 하프가 음량(音量)과 반음조작(半音造作)에 관(關)하여 발전(發展) 개량(改良)된 것은 근세(近世)에 이르러서이며 특히(特히) 프랑스의 에라르는 오늘날의 더블 페달 시스템의 기초(基礎)를 확립(確立)하였다. [1] 하프를 연주하는 사람은 하피스트 ( 영어(英語) : Harpist )라고 한다. 현재(現在)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최연소(最年少) 하피스트로는 12세(歲)인 김채원 1명(名)이 있다. 사람들은 김채원을 전(全) 세계적(世界的)으로 하프 신동(神童)이라고 부른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기원(起源) [ 편집(編輯) ]

현대(現代)의 틀 하프( Frame harp )는 두 가지 기본형(基本形)에서 유래(由來)되었는데 하나는 활형(활形)( Bow harp ) 하프 또는 아치형( Arched ) 하프이고 다른 하나는 각형(角形)(Angular) 하프이다. [2]

활형(활形) 또는 아치형 하프 [ 편집(編輯) ]

하프의 기원(起源)은 사냥꾼의 활이었다는 설(說)이 있다. 활형(활形) 하프는 기원전(紀元前) 3,000년경(年頃) 서아시아(西아시아) 에 등장(登場)하여 종교(宗敎) 의식(儀式)이나 연회(宴會)에서 연주(演奏)되었다. 악기(樂器)의 받침 부분(部分)에 있는 공명기(共鳴器)와 구부러진 목 사이에 줄이 매여져 있었다. 이 하프의 대부분(大部分)은 1m가 넘는 길이었으며, 황소 머리를 본뜬 장식(裝飾)이 달려 있었다. 최초(最初)의 이집트 하프로 알려진 것은 제(第)4왕조(王朝) 시대(時代) 를 기원(起源)으로 하고 있다. 이 악기(樂器)는 큰 규모(規模)의 합주(合奏)뿐 아니라, 노래 반주(伴奏)에도 사용(使用)되었다. 보통(普通) 여성(女性)이 연주하는 악기(樂器), 즉(卽) 손으로 지탱(支撐)하며 어깨에 기대는 악기(樂器)부터 남성(男性)이 연주하는 대형(大型) 악기(樂器)까지 크기가 다양하였다. 람세스 3세(歲) 의 무덤 벽화(壁畫)에 그려진 높이 2m가 넘는 하프가 그 예(例)이다. 공명기(共鳴器)를 바닥에 놓고 연주하는 이 악기(樂器)는 사람 머리 모양(模樣)이 조각(彫刻)되어 있다. 오늘날 아치형 하프는 주로(主로) 아프리카 동아시아(東아시아) 에 남아 있다. [2]

각형(角形) 하프 [ 편집(編輯) ]

최초(最初) 각형(角形) 하프의 흔적(痕跡)은 기원전(紀元前)2,000년경(年頃)의 앉아 있는 음악가(音樂家)들을 새긴 3개(個)의 작은 대리석(大理石) 조각(彫刻)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여성(女性)이 연주했던 이 악기(樂器)는 이 악기(樂器)는 한 변(邊)이 약(約) 55cm인 이등변(二等邊) 삼각형(三角形) 모양(模樣)으로, 현(玄)은 연주자(演奏者)의 오른쪽 넓쩍다리에 놓인 공명기(共鳴器)에서 60˚로 목에 연결(連結)되어 있다. 각형(角形) 하프는 기원전(紀元前) 1,500년경(年頃)에 이집트에서 도입(導入)되었으나 정착(定着)하기까지는 수세기(數世紀)가 걸렸다. 이 하프는 똑바로 세워 공명기(共鳴器)를 몸으로 지탱(支撐)하고, 목은 연주자(演奏者)의 무릎에 놓고 연주하였다. 이집트의 하프 연주자(演奏者)들은 현(玄)의 진동(振動)을 손바닥으로 멈추게 하는, 크게 진전(進展)된 연주(演奏) 기술(技術)을 발전시켰고, 또 개방(開放) 현(玄)의 고안(考案)뿐 아니라 현(縣)을 제어(制御)하는 연주법(演奏法)도 고안(考案)하였다. 그리스 에서 하프는 리라 만큼 보급(普及)되지 못했는데, 이는 플라톤 이 하프를 여성(女性)들이 연주하는 몽상적(夢想的)인 악기(樂器)라고 해서 멀리하게 되었다. 각형(角形) 하프는 로마 제국(帝國) 에서 널리 쓰여져 행렬(行列), 제사(祭祀), 이시스 숭배(崇拜)의 종교(宗敎) 의식(意識) 등(等)에서 여성(女性)들이 자주 연주하였는데, 이시스는 로마가 이집트에서 받아들인 여신(女神)이다. [3]

발전(發展)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서유럽(西유럽) [ 편집(編輯) ]

서유럽(西유럽) 에서는 하프가 7세기(世紀)에 와서야 알려졌다. 8세기(世紀) 앵글로색슨의 필사본(筆寫本)에 틀 하프가 그려져 있으며, 9세(歲)게 위트레흐트 시편(詩篇)에도 하프 이야기가 나타나 있다. 또한 시인(詩人) 와이스가 12세기(世紀)에 쓴 〈로만 드 브루트〉 시(詩)에서도 하프를 언급(言及)하고 있다. 각형(角形) 하프가 삼각형(三角形)의 제(第)3변(變)이 열려 있는 것에 반(反)해, 틀 하프는 현(玄)이 틀의 안쪽으로 둘러싸이도록 필라(Pillar, 기둥)라고 하는 부품(部品)이 장착(裝着)되어 있다. 초기(初期) 유럽 하프에는 대부분(大部分) 이 기둥이 구부러져 있다. [4]

아이리시 하프 [ 편집(編輯) ]

가는 목, 기둥, 공명기(共鳴器)를 갖춘 아이리시 하프(Irish harp)의 초기(初期) 흔적(痕跡)은 9세기(世紀) 돌십자가(十字架) 부조(浮彫)에서 보여진다. 이 악기(樂器)는 기둥이 바깥쪽으로 현저(顯著)하게 구부러져 있고, 낮은 목이 돌출(突出)되어 있어 연주자(演奏者)는 왼쪽 어깨로 지탱(支撐)하며 연주(演奏)한다. 높은 음역(音域)의 금속현(金屬玄)을 연주할 때는 왼손의 긴 손톱을 사용(使用)한다. 초기(初期)에는 60 cm 정도(程度)의 높이에 30현(縣)이 장착(裝着)되었으며, 16세기(世紀)에 와서는 43현(縣)까지 대형화(大型化)되었다. 초기(初期) 하프가 양손(兩손)으로 연주하였던 것에 비해 새로운 하프는 한쪽 손으로 몸통을 지탱(支撐)하고 다른 손으로 연주하였다. 아이리시 하프는 실질적(實質的)으로 18세기(世紀) 말에 사라졌다. [5]

웨일스 하프 [ 편집(編輯) ]

텔린(Telyn)이라고 알려진 웨일스 하프(Welsh harp)는 10세기(世紀) 시집(詩集)에서 언급(言及)되어 있다. 당시(當時) 하프는 자유(自由) 시민(市民)의 소중(所重)한 세 가지의 소유물(所有物) 중(中) 하나로 중시(重視)되었다. 친척(親戚) 관계(關係)인 아이리시 하프와는 다르게 웨일스 하프는 31현(玄)이나 34현(絃)으로 되어 있으며 말총이나 양(量)의 창자로 만들어졌다. 17세기(世紀) 말(末) 전통적(傳統的)인 웨일스 하프는 모든 조(條)에서, 어느 음(音)이라도 낼 수 있는 반음계(半音階) 악기(樂器)인 트리플 하프(Triple harp)로 교체(交替)되었는데, 이것은 19세기(世紀)까지 전형적(典型的)인 음유(吟遊) 시인(詩人)의 악기(樂器)로 명맥(命脈)이 이어졌다. 온음계(온音階) 현(玄)은 바깥쪽에 2열(列)로 배열(配列)되어 있고 같은 음(音)으로 조현(朝見)되어 양손(兩손)을 사용(使用)하면 반복음(反復音)을 연주할 수 있었다. 안쪽열의(熱意) 현(玄)은 반음(半音)으로 조현(朝見)되었다. 악기(樂器)는 어깨로 받쳤으며 보통(普通) 왼손은 고음(高音) 현(絃)을 뜯었고, 오른손은 저음(低音) 현(絃)을 뜯었다 하지만 양손(兩손)다 활용(活用) 가능(可能)하다. [5]

현대(現代) 하프 [ 편집(編輯) ]

반음계(半音階) 연주(演奏)가 가능(可能)했던 고리 하프는 목에 부착(附着)된 U자형(字形) 갈고리를 돌려 현(絃)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길게 변화시켜 반음(半音)을 올리거나 내렸다. 이 방식(方式)의 단점(短點)은 모든 것을 손으로 조작(造作)하기 때문에 연주자(演奏者)가 각(各) 현(玄)의 음높이(音높이)를 바꿀 때는 한 손밖에 사용(使用)할 수 없다는 것이다. 1720년경(年頃) 도나우뵈르트 의 야콥 호흐부루커와 뉘른베르크 의 요한 베터는 페달 하프를 발명(發明)해서 이러한 문제(問題)들을 해결(解決)하였다. 최초(最初)의 페달 하프는 속이 빈 기둥을 통해 쇠줄을 고리까지 연결(連結)시킨 5개(個)의 페달을 갖고 있었다. 페달 중(中) 하나를 밟으면 같은 음(音)의 모든 현(玄)이 반음(半音) 높은 음(音)을 낼 수 있게 되었다. 각각(各各)의 페달은 독립적(獨立的)으로 작동(作動)되어서 온음계(온音階)의 7음(音)에 해당(該當)하는 7개(個)의 페달이 있었다. 이것은 오늘날까지 페달의 표준(標準) 개수(個數)로 사용(使用)되고 있다. [6]

기능(機能)의 개량(改良)(고리를 레버나 포크 모양(模樣)으로 된)은 18세기(世紀) 말(末) 프랑스의 쿠지노와 에라트에 의(依)해 이루어졌다. 에라트는 페달을 한 번(番)만 밟으면 반음(半音)이 높아지고, 두 번(番) 밟으면 온음(온音)이 높아지는 겹페달 하프를 제작(製作)했다. 18세기(世紀)와 19세기(世紀)에는 하프가 여성(女性)이 연주하기에 어울리는 악기(樂器)라고 인식(認識)되어 많은 가정(家庭)에서 하프를 구입(購入)했다. 20세기(世紀) 유명(有名)한 하프 제작자(製作者) 빅터 살비(撒肥)는 1954년(年) 그의 첫 하프를 만들었으며, 이탈리아 의 전통적(傳統的)인 조각(彫刻) 기술(技術)과 합판(合板) 기술(技術)을 습득(習得)하기 위해 뉴욕에서 이탈리아 제노바 로 이주(移住)해 그 곳에서 '오케스트라'라는 하프 제작(製作)에 전념(專念)했다. 그가 이룬 기술(技術) 혁신(革新)은 윤활유(潤滑油)가 필요(必要) 없는 스테인리스 스틸 연결(連結) 체제(體制)와 나일론 베어링에 있었다. 1970년대(年代) 살비(撒肥)의 하프는 164cm의 안젤리카에서 188.5cm의 일렉트라까지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졌다. [7]

전기(電氣) 하프 [ 편집(編輯) ]

앰프가 달린 하프를 최초(最初)로 사용(使用)한 사람은 미국(美國) 하프 연주자(演奏者) 로이드 린드로스 로 1964년(年) 전기(電氣) 하프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그 후(後)로도 그는 하프의 음(音)을 굽어지게 만드는 와와 페달 을 장착(裝着)하는 등(等) 전기(電氣) 기타를 개조(改造)했다.` [7]

하피스트 목록(目錄) [ 편집(編輯) ]

연주(演奏) 곡목(曲目) [ 편집(編輯) ]

하프 파트가 있는 최초(最初)의 교향곡(交響曲)은 엑토르 베를리오즈 의 《환상(幻想) 교향곡(交響曲)》이다. 그 이전(以前)에는 헨델과 글루크 가 오페라에서 오케스트라에 특수한 효과(效果)를 주기 위해 사용(使用)하는 정도(程度)였다. 모차르트 의 《플루트와 하프를 위한 협주곡(協奏曲)》은 1778년(年) 부유(富裕)한 플루트 연주자(演奏者)의 의뢰(依賴)를 받아 작곡(作曲)한 예외적(例外的)인 작품(作品) 중(中) 하나였다. 리하르트 바그너 의 《라인과 황금(黃金)》 끝부분(部分)에는 신(神)들이 6대(代)의 하프를 포함(包含)한 오케스트라에 이끌려 발할라 신전(神殿)에 등장(登場)하였다. 드뷔시와 라벨 은 경쟁(競爭) 관계(關係)인 하프 제작자(製作者)들의 의뢰(依賴)를 받아 《하프를 위한 실내악곡(室內樂曲)》을 제작(製作)했다. 민속(民俗) 음악(音樂)에서와 같이 현대(現代) 하프는 때때로 노래 반주(伴奏)에 사용(使用)되기도 하였다. 예(例)를 들면, 팔랴와 베버른 의 작품(作品)과 벤저민 브리튼 의 《캐롤의 재전(齋殿)》이 있다. [7]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세계음악(世界音樂)/서양음악(西洋音樂)의 기초(基礎)와 역사(歷史)/서양음악(西洋音樂)의 기초지식(基礎知識)/악(惡) 기(基)
  2. Max Wade-Matthews (2004). 《세계(世界)의 악기(樂器) 백과(百科) 사전(事典) : 악기(樂器)의 기원(起源)과 발전(發展)》. 번역(飜譯) 이용일, 나재용, 양은주. 교학사(敎學社). 114쪽.  
  3. Max Wade-Matthews (2004). 《세계(世界)의 악기(樂器) 백과(百科) 사전(事典) : 악기(樂器)의 기원(起源)과 발전(發展)》. 번역(飜譯) 이용일, 나재용, 양은주. 교학사(敎學社). 114-115쪽.  
  4. Max Wade-Matthews (2004). 《세계(世界)의 악기(樂器) 백과(百科) 사전(事典) : 악기(樂器)의 기원(起源)과 발전(發展)》. 번역(飜譯) 이용일, 나재용, 양은주. 교학사(敎學社). 115쪽.  
  5. Max Wade-Matthews (2004). 《세계(世界)의 악기(樂器) 백과(百科) 사전(事典) : 악기(樂器)의 기원(起源)과 발전(發展)》. 번역(飜譯) 이용일, 나재용, 양은주. 교학사(敎學社). 116쪽.  
  6. Max Wade-Matthews (2004). 《세계(世界)의 악기(樂器) 백과(百科) 사전(事典) : 악기(樂器)의 기원(起源)과 발전(發展)》. 번역(飜譯) 이용일, 나재용, 양은주. 교학사(敎學社). 116-117쪽.  
  7. Max Wade-Matthews (2004). 《세계(世界)의 악기(樂器) 백과(百科) 사전(事典) : 악기(樂器)의 기원(起源)과 발전(發展)》. 번역(飜譯) 이용일, 나재용, 양은주. 교학사(敎學社). 117쪽.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