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하임 (음악인(音樂人))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하임 (음악인(音樂人))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하임
Haihm
기본(基本) 정보(情報)
본명(本名) 김하임
예명(藝名) haihm
출생(出生) 1974년(年)(49–50세(歲))
성별(性別) 여성(女性)
국적(國籍)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직업(職業) 대중음악가(大衆音樂家) , 작곡가(作曲家) , 편곡가(編曲家)
장르 전자(電子) 음악(音樂) , 신스팝 , 글리치 , 앰비언트
활동(活動) 시기(時期) 2008년(年) ~ 현재(現在)
소속사(所屬社) Miah Records, miah Lab.
웹사이트 https://haihm.bandcamp.com

하임 ( 영어(英語) : haihm , 본명(本名) 김하임, 1974년(年) ~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전자음악(電子音樂) 작곡가(作曲家) , 싱어송라이터 , 미디어 아트 퍼포머 다. 주로(主로) 글리치 , 앰비언트 장르에 기반(基盤)한 활동(活動)을 하고 있다.

생애(生涯) 및 활동(活動) [ 편집(編輯) ]

서울 예원학교(藝苑學校) 서울예술고등학교(藝術高等學校) 를 졸업(卒業)하고 1993년(年)부터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의 피아노 과정(過程)에 수학(受學)하던 중(中) 1997년(年)에 중도(中途) 하차(下車)하고 대중(大衆) 음악(音樂) 으로 선회(旋回)하였다. [1] 2004년(年)부터 본격적(本格的)으로 일렉트로니카 음악(音樂) 을 시작(始作)하여 2008년(年) 스스로 제작(製作)한 1집(輯) 음반(音盤) 《haihm》을 발표(發表)하였고, 2009년(年) 제(第)6회(回) 한국대중음악상(韓國大衆音樂上) '최우수(最優秀) 댄스&일렉트로닉 음반(音盤)' 부분(部分)의 수상(首相) 후보(候補)로 올랐다.

이후(以後) 윤상 , 아이유 , 가인 , 스윗소로우 등(等) 다수(多數) K-pop 아티스트의 음반(音盤)에 작곡(作曲) 및 편곡(編曲), 리믹스, 믹싱으로 참여(參與)하였다. 한편(한便) 베를린에서 시작(始作)된 'Yellow Lounge' 프로그램의 서울과 싱가포르 공연(公演)에서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등(等)과 함께 공연(公演)하였다. [2] 또한 KBS 다큐멘터리 누들로드 의 사운드트랙에 음악(音樂) 감독(監督)이었던 윤상 과 함께 참여(參與)하였다.

2014년(年)을 기점(起點)으로 전자음악가(電子音樂家)로서의 개인(個人) 작업(作業)에 전념(專念)하고 독립(獨立) 음악(音樂) 으로 전향(轉向)하게 된다. 자신(自身)의 레이블 Miah Records를 통(通)해 EP 《Point 9》를 발매(發賣)했고, 2015년(年) 제(第)12회(回) 한국대중음악상(韓國大衆音樂床)에서 《Point 9》은 '최우수(最優秀) 댄스&일렉트로닉 음반(音盤)' 후보(候補)에 올랐다.

이후(以後) 인터랙티브 퍼포먼스 , 미디어 아트 , 현대(現代) 무용(舞踊) 과 전자음악(電子音樂)의 접목(椄木)을 시도(試圖)하게 된다. 2014년(年) 네이버문화재단(文化財團) 온스테이지 를 통해 VJ 박훈규(PARPUNK)와 협업(協業)하여 제작(製作)한 프로젝션 맵핑 미디어 아트 작품(作品)인 'BEATCUBE'를 통해 《Point 9》의 수록곡(收錄曲) 중(中) 일부(一部)를 공연(公演)했다. [3] 이후(以後) 2015년(年) 미디어 아트 퍼포머 나솔(奈率)과 작업(作業)한 'Fluxion', 2019년(年) 시각(視覺) 예술(藝術) 작가(作家) 박봉수 , 현대무용가(現代舞踊家) 차진엽과 런던 코로넷 극장(劇場)에서 공동협업한(共同協業韓) 'DREAM RITUAL'과(科) 같은 작품(作品)들을 선보인다. [4] 2016년(年) 3월(月)에는 피해의식(被害意識) , 마마무 , 자이언티 등(等)과 함께 미국(美國) 텍사스주(텍사스州) 오스틴 에서 열린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 (SXSW)에 초청(招請)되어 공연(公演)하였다. [5]

2019년(年) 트리오 밴드 프로젝트 신노(宸怒)이(SINNOI)의 일원(一員)으로서 국악인(國樂人) 김보라, 재즈 베이시스트 이원술과 함께 1집(輯) 《THE NEW PATH》를 발표(發表)하였다. 국악(國樂) 재즈 , 전자(電子) 음악(音樂) 과 융합(融合)하여 한국(韓國) 전통음악(傳統音樂)을 재해석(再解釋)했다. 신(新)노이의 공연작품(公演作品) '新(신(新)) 심방곡(心方曲)'은 전통음악(傳統音樂) '심방곡(心方曲)'을 재해석(再解釋)한 작품(作品)으로, 2021년(年) 한국문화예술위원회(韓國文化藝術委員會) '공연예술창작산실(公演藝術創作産室) 올해의 신작(新作)'에 선정(選定)되어 서울 대학로예술극장(大學路藝術劇場) 등(等)에서 공연(公演)했다. [6] [7]

2021년(年) 앰비언트 장르의 정규(正規) 2집(輯) 《NOWHERE》를 본인(本人)의 레이블 miah Lab.을 통해 발표(發表)했으며 인디 음악(音樂) 레이블 미러볼뮤직을 통해 배급(配給)했다.

음반(音盤) [ 편집(編輯) ]

정규(正規) 음반(音盤) [ 편집(編輯) ]

싱글 및 미니 음반(音盤) [ 편집(編輯) ]

참여(參與) 음반(音盤) 및 수록곡(收錄曲) [ 편집(編輯) ]

작곡(作曲) [ 편집(編輯) ]

편곡(編曲), 리믹스 [ 편집(編輯) ]

피쳐링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하임 '고고(孤高)한 클래식 버린 지금(只今)이 행복(幸福)해요 ' . 중앙일보(中央日報). 2008년(年) 10월(月) 23일(日).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2. “제(第)3회(回) Amfair 음악가(音樂家) 소개(紹介) '하임 haihm ' . 영기획. 2014년(年) 11월(月) 24일(日).  
  3. 차우진 (2014년(年) 11월(月) 20일(日)). “음악(音樂)의 공감각적(共感覺的) 경험(經驗), 하임” . 《온스테이지》.  
  4. “DREAM RITUAL” . 《한국문화원》 (영어(英語)) . 2021년(年) 6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5. “힙합·메탈·EDM…K팝 국가대표(國家代表)들, 자부심(自負心) 품고 세계(世界)로” . 노컷뉴스. 2016년(年) 3월(月) 8일(日).  
  6. " 21세기(世紀) 전통음악(傳統音樂)은 실패(失敗)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 . 2021년(年) 2월(月) 2일(日).  
  7. 성도현 (2021년(年) 1월(月) 19일(日)). “트리오 밴드 신노(宸怒)이, 전통음악(傳統音樂) 재해석(再解釋) '신(新) 심방곡(心方曲)' 공연(公演)”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